‘공중전화 부스’의 변신…전기차 충전·안전 지대 역할도
입력 2015.03.02 (06:51)
수정 2015.03.02 (07: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화를 걸기 위해 공중전화부스 앞에서 줄 서서 기다리던 기억, 다들 한두 번은 있으실텐데요.
이제는 휴대전화에 밀려 찬밥 신세가 돼버린 공중전화 부스가 다양한 용도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골목길로 경차가 진입합니다.
운전자가 차를 세운 곳은 공중전화부스 앞, 전화를 걸기 위해서가 아니라 전기차 충전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 임혁(서울시 노원구) : "충전소가 적어서 시내 나올때 마다 걱정을 많이 했는데요. 이렇게 공중전화 옆에 충전소가 설치되니 이제 안심하고..."
이 곳을 포함해 서울시내 3곳의 공중전화 부스에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됐습니다.
지하철 역 앞에 세워진 공중전화부스는 범죄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는 안전 지대입니다.
<녹취> 박형수(업체 관계자) : "오셔서 이걸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문이 자동으로 닫히고요. 그 다음에 112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공중전화 사용이 줄면서 공중전화의 수는 1999년 15만 여대를 정점으로 줄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유지 보수 비용으로 매년 100억 원이 넘게 들지만 무작정 없앨 수 없다보니 이렇게 다양한 용도를 찾게 됐습니다.
<인터뷰> 이홍주(KT링커스 팀장) : "매출이 감소하다보니까 내부적으로 위기 의식을 느껴서 공중전화와 결합된 다른 사업모델을 찾아보자, 또 공공가치를 높이는 식으로 (부스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세월에 밀려난 줄 알았던 공중전화부스...
새로운 쓰임새를 갖춘 다양한 공간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전화를 걸기 위해 공중전화부스 앞에서 줄 서서 기다리던 기억, 다들 한두 번은 있으실텐데요.
이제는 휴대전화에 밀려 찬밥 신세가 돼버린 공중전화 부스가 다양한 용도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골목길로 경차가 진입합니다.
운전자가 차를 세운 곳은 공중전화부스 앞, 전화를 걸기 위해서가 아니라 전기차 충전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 임혁(서울시 노원구) : "충전소가 적어서 시내 나올때 마다 걱정을 많이 했는데요. 이렇게 공중전화 옆에 충전소가 설치되니 이제 안심하고..."
이 곳을 포함해 서울시내 3곳의 공중전화 부스에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됐습니다.
지하철 역 앞에 세워진 공중전화부스는 범죄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는 안전 지대입니다.
<녹취> 박형수(업체 관계자) : "오셔서 이걸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문이 자동으로 닫히고요. 그 다음에 112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공중전화 사용이 줄면서 공중전화의 수는 1999년 15만 여대를 정점으로 줄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유지 보수 비용으로 매년 100억 원이 넘게 들지만 무작정 없앨 수 없다보니 이렇게 다양한 용도를 찾게 됐습니다.
<인터뷰> 이홍주(KT링커스 팀장) : "매출이 감소하다보니까 내부적으로 위기 의식을 느껴서 공중전화와 결합된 다른 사업모델을 찾아보자, 또 공공가치를 높이는 식으로 (부스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세월에 밀려난 줄 알았던 공중전화부스...
새로운 쓰임새를 갖춘 다양한 공간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중전화 부스’의 변신…전기차 충전·안전 지대 역할도
-
- 입력 2015-03-02 06:52:27
- 수정2015-03-02 07:33:58

<앵커 멘트>
전화를 걸기 위해 공중전화부스 앞에서 줄 서서 기다리던 기억, 다들 한두 번은 있으실텐데요.
이제는 휴대전화에 밀려 찬밥 신세가 돼버린 공중전화 부스가 다양한 용도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골목길로 경차가 진입합니다.
운전자가 차를 세운 곳은 공중전화부스 앞, 전화를 걸기 위해서가 아니라 전기차 충전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 임혁(서울시 노원구) : "충전소가 적어서 시내 나올때 마다 걱정을 많이 했는데요. 이렇게 공중전화 옆에 충전소가 설치되니 이제 안심하고..."
이 곳을 포함해 서울시내 3곳의 공중전화 부스에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됐습니다.
지하철 역 앞에 세워진 공중전화부스는 범죄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는 안전 지대입니다.
<녹취> 박형수(업체 관계자) : "오셔서 이걸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문이 자동으로 닫히고요. 그 다음에 112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공중전화 사용이 줄면서 공중전화의 수는 1999년 15만 여대를 정점으로 줄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유지 보수 비용으로 매년 100억 원이 넘게 들지만 무작정 없앨 수 없다보니 이렇게 다양한 용도를 찾게 됐습니다.
<인터뷰> 이홍주(KT링커스 팀장) : "매출이 감소하다보니까 내부적으로 위기 의식을 느껴서 공중전화와 결합된 다른 사업모델을 찾아보자, 또 공공가치를 높이는 식으로 (부스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세월에 밀려난 줄 알았던 공중전화부스...
새로운 쓰임새를 갖춘 다양한 공간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전화를 걸기 위해 공중전화부스 앞에서 줄 서서 기다리던 기억, 다들 한두 번은 있으실텐데요.
이제는 휴대전화에 밀려 찬밥 신세가 돼버린 공중전화 부스가 다양한 용도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골목길로 경차가 진입합니다.
운전자가 차를 세운 곳은 공중전화부스 앞, 전화를 걸기 위해서가 아니라 전기차 충전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 임혁(서울시 노원구) : "충전소가 적어서 시내 나올때 마다 걱정을 많이 했는데요. 이렇게 공중전화 옆에 충전소가 설치되니 이제 안심하고..."
이 곳을 포함해 서울시내 3곳의 공중전화 부스에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됐습니다.
지하철 역 앞에 세워진 공중전화부스는 범죄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는 안전 지대입니다.
<녹취> 박형수(업체 관계자) : "오셔서 이걸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문이 자동으로 닫히고요. 그 다음에 112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공중전화 사용이 줄면서 공중전화의 수는 1999년 15만 여대를 정점으로 줄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유지 보수 비용으로 매년 100억 원이 넘게 들지만 무작정 없앨 수 없다보니 이렇게 다양한 용도를 찾게 됐습니다.
<인터뷰> 이홍주(KT링커스 팀장) : "매출이 감소하다보니까 내부적으로 위기 의식을 느껴서 공중전화와 결합된 다른 사업모델을 찾아보자, 또 공공가치를 높이는 식으로 (부스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세월에 밀려난 줄 알았던 공중전화부스...
새로운 쓰임새를 갖춘 다양한 공간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