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 62년 지뢰 피해 여전…언제까지?
입력 2015.03.02 (07:39)
수정 2015.03.02 (08: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인류가 만든 가장 비인간적인 무기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뢰인데요.
분단 62년이 지난 지금도 지뢰 피해자들의 눈물은 계속되고 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지만, 지뢰 제거 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62살 김정호 씨는 50년이 지난 지금도 12살 때 악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친구들과 학교를 가다 산길 옆에 있던 지뢰를 잘못 만져 오른쪽 눈은 실명하고, 왼쪽 손목과 다리를 크게 다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정호(지뢰 피해자) : "꽝하는 폭탄소리가 머릿속에 박혀서 계속 그게 터져 나와요."
지난해 10월, 인천 대청도에서도 대인 지뢰가 터져 민간인 2명이 숨지는 등 지뢰 피해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인터뷰> 이상호(지뢰 피해자) : "우리는 옛날에 살던 사람이라서 알고 (지뢰지대를) 있는데, 그나마 알고 있어도 (터질까 두려워요.)"
분단 62년을 맞은 지금도, 국내 지뢰 매설 지역은 천 백여 곳이나 됩니다.
확인되지 않은 지뢰지대만도 9,700만여 ㎡에 이릅니다.
여의도 면적의 12배나 됩니다.
군 당국이 지난 1998년부터 17년 동안 6만 9천여 발의 지뢰를 제거했지만, 매설이 확인된 지뢰 97만 발의 7%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지뢰 제거 작업이 더뎌지는 이유는 인력과 장비의 절대적 부족 때문입니다.
한해 4억여 원의 예산으로 우리 군이 지뢰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는 면적은 20만 ㎡ 정도.
미확인 지대 지뢰까지 모두 제거하는 데는 무려 489년이 걸립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인류가 만든 가장 비인간적인 무기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뢰인데요.
분단 62년이 지난 지금도 지뢰 피해자들의 눈물은 계속되고 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지만, 지뢰 제거 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62살 김정호 씨는 50년이 지난 지금도 12살 때 악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친구들과 학교를 가다 산길 옆에 있던 지뢰를 잘못 만져 오른쪽 눈은 실명하고, 왼쪽 손목과 다리를 크게 다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정호(지뢰 피해자) : "꽝하는 폭탄소리가 머릿속에 박혀서 계속 그게 터져 나와요."
지난해 10월, 인천 대청도에서도 대인 지뢰가 터져 민간인 2명이 숨지는 등 지뢰 피해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인터뷰> 이상호(지뢰 피해자) : "우리는 옛날에 살던 사람이라서 알고 (지뢰지대를) 있는데, 그나마 알고 있어도 (터질까 두려워요.)"
분단 62년을 맞은 지금도, 국내 지뢰 매설 지역은 천 백여 곳이나 됩니다.
확인되지 않은 지뢰지대만도 9,700만여 ㎡에 이릅니다.
여의도 면적의 12배나 됩니다.
군 당국이 지난 1998년부터 17년 동안 6만 9천여 발의 지뢰를 제거했지만, 매설이 확인된 지뢰 97만 발의 7%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지뢰 제거 작업이 더뎌지는 이유는 인력과 장비의 절대적 부족 때문입니다.
한해 4억여 원의 예산으로 우리 군이 지뢰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는 면적은 20만 ㎡ 정도.
미확인 지대 지뢰까지 모두 제거하는 데는 무려 489년이 걸립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분단 62년 지뢰 피해 여전…언제까지?
-
- 입력 2015-03-02 07:54:24
- 수정2015-03-02 08:28:11

<앵커 멘트>
인류가 만든 가장 비인간적인 무기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뢰인데요.
분단 62년이 지난 지금도 지뢰 피해자들의 눈물은 계속되고 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지만, 지뢰 제거 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62살 김정호 씨는 50년이 지난 지금도 12살 때 악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친구들과 학교를 가다 산길 옆에 있던 지뢰를 잘못 만져 오른쪽 눈은 실명하고, 왼쪽 손목과 다리를 크게 다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정호(지뢰 피해자) : "꽝하는 폭탄소리가 머릿속에 박혀서 계속 그게 터져 나와요."
지난해 10월, 인천 대청도에서도 대인 지뢰가 터져 민간인 2명이 숨지는 등 지뢰 피해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인터뷰> 이상호(지뢰 피해자) : "우리는 옛날에 살던 사람이라서 알고 (지뢰지대를) 있는데, 그나마 알고 있어도 (터질까 두려워요.)"
분단 62년을 맞은 지금도, 국내 지뢰 매설 지역은 천 백여 곳이나 됩니다.
확인되지 않은 지뢰지대만도 9,700만여 ㎡에 이릅니다.
여의도 면적의 12배나 됩니다.
군 당국이 지난 1998년부터 17년 동안 6만 9천여 발의 지뢰를 제거했지만, 매설이 확인된 지뢰 97만 발의 7%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지뢰 제거 작업이 더뎌지는 이유는 인력과 장비의 절대적 부족 때문입니다.
한해 4억여 원의 예산으로 우리 군이 지뢰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는 면적은 20만 ㎡ 정도.
미확인 지대 지뢰까지 모두 제거하는 데는 무려 489년이 걸립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인류가 만든 가장 비인간적인 무기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뢰인데요.
분단 62년이 지난 지금도 지뢰 피해자들의 눈물은 계속되고 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지만, 지뢰 제거 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62살 김정호 씨는 50년이 지난 지금도 12살 때 악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친구들과 학교를 가다 산길 옆에 있던 지뢰를 잘못 만져 오른쪽 눈은 실명하고, 왼쪽 손목과 다리를 크게 다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정호(지뢰 피해자) : "꽝하는 폭탄소리가 머릿속에 박혀서 계속 그게 터져 나와요."
지난해 10월, 인천 대청도에서도 대인 지뢰가 터져 민간인 2명이 숨지는 등 지뢰 피해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인터뷰> 이상호(지뢰 피해자) : "우리는 옛날에 살던 사람이라서 알고 (지뢰지대를) 있는데, 그나마 알고 있어도 (터질까 두려워요.)"
분단 62년을 맞은 지금도, 국내 지뢰 매설 지역은 천 백여 곳이나 됩니다.
확인되지 않은 지뢰지대만도 9,700만여 ㎡에 이릅니다.
여의도 면적의 12배나 됩니다.
군 당국이 지난 1998년부터 17년 동안 6만 9천여 발의 지뢰를 제거했지만, 매설이 확인된 지뢰 97만 발의 7%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지뢰 제거 작업이 더뎌지는 이유는 인력과 장비의 절대적 부족 때문입니다.
한해 4억여 원의 예산으로 우리 군이 지뢰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는 면적은 20만 ㎡ 정도.
미확인 지대 지뢰까지 모두 제거하는 데는 무려 489년이 걸립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
김영준 기자 yjkim1@kbs.co.kr
김영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