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양비론 개탄”…미 셔먼 차관 ‘과거사 발언’ 비판
입력 2015.03.02 (12:00)
수정 2015.03.02 (16: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야는 한·중·일 과거사 갈등과 관련해 '양비양시론'적 언급을 한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새누리당 김을동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미국이 피해자를 외면하는 입장을 견지하면 세계 경찰국가로서의 위상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일본의 진정한 반성과 사과가 있을 때 한일 관계가 발전할 수 있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미국이 찬물을 끼얹었다고 말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정부의 외교적 무능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고, 같은 당 오영식 최고위원은 미국은 일본에 과거를 덮고 가자는 식으로 입장 정리가 가능할지 모르지만, 식민 지배를 당한 피해자에게 이런 말이 가능할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은 오늘 라디오 방송에 잇따라 출연해 일본이 역사문제 등에 대해 적극적 외교를 펼쳐 그 효과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면서 이 문제를 가볍게 볼 것만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미국의 입장 변화라고 확대 해석할 것까지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셔먼 차관은 최근, 카네기 국제평화연구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정치 지도자가 과거의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다면서 그러나 이 같은 도발은 진전이 아니라 마비를 초래한다고 말했습니다.
새누리당 김을동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미국이 피해자를 외면하는 입장을 견지하면 세계 경찰국가로서의 위상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일본의 진정한 반성과 사과가 있을 때 한일 관계가 발전할 수 있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미국이 찬물을 끼얹었다고 말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정부의 외교적 무능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고, 같은 당 오영식 최고위원은 미국은 일본에 과거를 덮고 가자는 식으로 입장 정리가 가능할지 모르지만, 식민 지배를 당한 피해자에게 이런 말이 가능할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은 오늘 라디오 방송에 잇따라 출연해 일본이 역사문제 등에 대해 적극적 외교를 펼쳐 그 효과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면서 이 문제를 가볍게 볼 것만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미국의 입장 변화라고 확대 해석할 것까지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셔먼 차관은 최근, 카네기 국제평화연구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정치 지도자가 과거의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다면서 그러나 이 같은 도발은 진전이 아니라 마비를 초래한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야 “양비론 개탄”…미 셔먼 차관 ‘과거사 발언’ 비판
-
- 입력 2015-03-02 12:00:41
- 수정2015-03-02 16:04:31
여야는 한·중·일 과거사 갈등과 관련해 '양비양시론'적 언급을 한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새누리당 김을동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미국이 피해자를 외면하는 입장을 견지하면 세계 경찰국가로서의 위상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일본의 진정한 반성과 사과가 있을 때 한일 관계가 발전할 수 있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미국이 찬물을 끼얹었다고 말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정부의 외교적 무능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고, 같은 당 오영식 최고위원은 미국은 일본에 과거를 덮고 가자는 식으로 입장 정리가 가능할지 모르지만, 식민 지배를 당한 피해자에게 이런 말이 가능할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은 오늘 라디오 방송에 잇따라 출연해 일본이 역사문제 등에 대해 적극적 외교를 펼쳐 그 효과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면서 이 문제를 가볍게 볼 것만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미국의 입장 변화라고 확대 해석할 것까지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셔먼 차관은 최근, 카네기 국제평화연구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정치 지도자가 과거의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다면서 그러나 이 같은 도발은 진전이 아니라 마비를 초래한다고 말했습니다.
새누리당 김을동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미국이 피해자를 외면하는 입장을 견지하면 세계 경찰국가로서의 위상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일본의 진정한 반성과 사과가 있을 때 한일 관계가 발전할 수 있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미국이 찬물을 끼얹었다고 말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정부의 외교적 무능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고, 같은 당 오영식 최고위원은 미국은 일본에 과거를 덮고 가자는 식으로 입장 정리가 가능할지 모르지만, 식민 지배를 당한 피해자에게 이런 말이 가능할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은 오늘 라디오 방송에 잇따라 출연해 일본이 역사문제 등에 대해 적극적 외교를 펼쳐 그 효과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면서 이 문제를 가볍게 볼 것만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미국의 입장 변화라고 확대 해석할 것까지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셔먼 차관은 최근, 카네기 국제평화연구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정치 지도자가 과거의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다면서 그러나 이 같은 도발은 진전이 아니라 마비를 초래한다고 말했습니다.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