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중 엄동설한에도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은 연초 효과로 다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은 1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채권 잔액이 1천264조3천억원으로 한달전보다 8조7천억원 늘었다고 2일 밝혔다.
이 중 가계대출은 518조6천억원으로 4천억원이 늘었다.
이는 전월의 5조5천억원 증가에 비하면 증가세가 약화한 것이지만 1월이 전통적인 이사 비수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증가세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5년간 1월 중 주택대출 증감 현황을 보면 2010년 -1조원, 2011년 -3천억원, 2012년 -2조8천억원, 2013년 -3조4천억원, 2014년 -2조6천억원 등 모두 감소세였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1월 중 1조6천억원 늘어 가계대출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금감원은 주택거래가 활기를 띠고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이 촉진되면서 주택대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기업대출은 187조3천억원으로 1월중 4조원 늘었다. 이는 전월의 5천억원에서 증가폭이 확대된 것이다.
중소기업대출은 526조8천억원으로 1월중 4조4천억원이 늘었다. 이는 전월의 감소(-4조2천억원)가 증가로 전환한 것이다.
1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71%로 전월말보다 0.07%포인트 올랐다.
이는 통상 연말에 연체율을 낮춘 데 따라 연초에 반등하는 현상으로 1년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0.1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86%로 전월말보다 0.09%포인트, 가계대출 연체율은 0.53%로 전월말보다 0.04%포인트 올랐다. 주택대출 연체율은 0.43%로 한 달 전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1월말 연체율이 작년말보다 올랐지만 작년 동월 대비 하락 추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금감원은 다만 건설업 등 취약업종의 부실화 가능성 및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감안해 은행의 자산 건전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연체율은 연초 효과로 다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은 1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채권 잔액이 1천264조3천억원으로 한달전보다 8조7천억원 늘었다고 2일 밝혔다.
이 중 가계대출은 518조6천억원으로 4천억원이 늘었다.
이는 전월의 5조5천억원 증가에 비하면 증가세가 약화한 것이지만 1월이 전통적인 이사 비수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증가세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5년간 1월 중 주택대출 증감 현황을 보면 2010년 -1조원, 2011년 -3천억원, 2012년 -2조8천억원, 2013년 -3조4천억원, 2014년 -2조6천억원 등 모두 감소세였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1월 중 1조6천억원 늘어 가계대출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금감원은 주택거래가 활기를 띠고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이 촉진되면서 주택대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기업대출은 187조3천억원으로 1월중 4조원 늘었다. 이는 전월의 5천억원에서 증가폭이 확대된 것이다.
중소기업대출은 526조8천억원으로 1월중 4조4천억원이 늘었다. 이는 전월의 감소(-4조2천억원)가 증가로 전환한 것이다.
1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71%로 전월말보다 0.07%포인트 올랐다.
이는 통상 연말에 연체율을 낮춘 데 따라 연초에 반등하는 현상으로 1년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0.1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86%로 전월말보다 0.09%포인트, 가계대출 연체율은 0.53%로 전월말보다 0.04%포인트 올랐다. 주택대출 연체율은 0.43%로 한 달 전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1월말 연체율이 작년말보다 올랐지만 작년 동월 대비 하락 추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금감원은 다만 건설업 등 취약업종의 부실화 가능성 및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감안해 은행의 자산 건전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엄동설한에도 은행 1월 가계대출 4천억원↑…연체율도 상승
-
- 입력 2015-03-02 13:34:22
1월 중 엄동설한에도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은 연초 효과로 다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은 1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채권 잔액이 1천264조3천억원으로 한달전보다 8조7천억원 늘었다고 2일 밝혔다.
이 중 가계대출은 518조6천억원으로 4천억원이 늘었다.
이는 전월의 5조5천억원 증가에 비하면 증가세가 약화한 것이지만 1월이 전통적인 이사 비수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증가세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5년간 1월 중 주택대출 증감 현황을 보면 2010년 -1조원, 2011년 -3천억원, 2012년 -2조8천억원, 2013년 -3조4천억원, 2014년 -2조6천억원 등 모두 감소세였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1월 중 1조6천억원 늘어 가계대출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금감원은 주택거래가 활기를 띠고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이 촉진되면서 주택대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기업대출은 187조3천억원으로 1월중 4조원 늘었다. 이는 전월의 5천억원에서 증가폭이 확대된 것이다.
중소기업대출은 526조8천억원으로 1월중 4조4천억원이 늘었다. 이는 전월의 감소(-4조2천억원)가 증가로 전환한 것이다.
1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71%로 전월말보다 0.07%포인트 올랐다.
이는 통상 연말에 연체율을 낮춘 데 따라 연초에 반등하는 현상으로 1년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0.1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86%로 전월말보다 0.09%포인트, 가계대출 연체율은 0.53%로 전월말보다 0.04%포인트 올랐다. 주택대출 연체율은 0.43%로 한 달 전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1월말 연체율이 작년말보다 올랐지만 작년 동월 대비 하락 추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금감원은 다만 건설업 등 취약업종의 부실화 가능성 및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감안해 은행의 자산 건전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