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담배광고 규제 강화해야

입력 2015.03.11 (06:36) 수정 2015.03.11 (07: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정부는 지난해 9월 담뱃값 인상안을 발표하며 이같은 편의점 담배광고들도 전면 금지하도록 법개정을 한다고 했는데요.

반 년이 지났지만 편의점 업주 반발 등을 이유로 광고 규제책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0년 동안 편의점을 운영해 온 40대 남성입니다.

점포 임대료를 못 낼 정도로 고비가 있었지만 매월 담배회사에서 받는 담배광고비 덕분에 버틸 수 있었습니다.

<인터뷰> 편의점 운영자 : "(담배회사에서)130만원정도 받는 것 같아요. 월세가 충당이 되니까 엄청나게 유용하죠."

편의점과 담배회사는 서로 이익을 보는 공생관곕니다.

11년 전 텔레비전 광고가 금지되자 담배회사들은 편의점 광고에서 돌파구를 찾았습니다.

실핏줄처럼 전국에 퍼진 편의점은 모두 3만 여 개.

담배를 진열하고 LED 광고판을 설치하는 대가로 받는 돈은 연간 천 5백 여 억원으로 추산됩니다.

이렇게 편의점이 담배마켓팅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있지만 비가격 정책을 강화하겠다던 정부는 멈칫거리고 있습니다.

<녹취> 기획재정부 관계자(음성변조) : "편의점들에게는 (담배광고비가) 주 수입원이어서 완전히 없앤다는 것도 어렵고 여러가지 상황을 보고 있습니다."

영국과 호주,태국 등에서 담뱃값을 대폭 올리고 편의점 담배 광고와 진열도 금지하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인터뷰> " 조홍준(대한금연학회장) : "새로운 흡연자를 만들고 흡연을 유지하기 때문에 (편의점)광고를 금지하는 것이 대단히 효과적인 담배규제정책이고..."

정부의 금연종합대책이 세수확보를 위한 꼼수였다는 비판을 해소하기 위해서도 편의점 담배 광고를 규제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편의점 담배광고 규제 강화해야
    • 입력 2015-03-11 06:38:39
    • 수정2015-03-11 07:29:37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정부는 지난해 9월 담뱃값 인상안을 발표하며 이같은 편의점 담배광고들도 전면 금지하도록 법개정을 한다고 했는데요.

반 년이 지났지만 편의점 업주 반발 등을 이유로 광고 규제책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0년 동안 편의점을 운영해 온 40대 남성입니다.

점포 임대료를 못 낼 정도로 고비가 있었지만 매월 담배회사에서 받는 담배광고비 덕분에 버틸 수 있었습니다.

<인터뷰> 편의점 운영자 : "(담배회사에서)130만원정도 받는 것 같아요. 월세가 충당이 되니까 엄청나게 유용하죠."

편의점과 담배회사는 서로 이익을 보는 공생관곕니다.

11년 전 텔레비전 광고가 금지되자 담배회사들은 편의점 광고에서 돌파구를 찾았습니다.

실핏줄처럼 전국에 퍼진 편의점은 모두 3만 여 개.

담배를 진열하고 LED 광고판을 설치하는 대가로 받는 돈은 연간 천 5백 여 억원으로 추산됩니다.

이렇게 편의점이 담배마켓팅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있지만 비가격 정책을 강화하겠다던 정부는 멈칫거리고 있습니다.

<녹취> 기획재정부 관계자(음성변조) : "편의점들에게는 (담배광고비가) 주 수입원이어서 완전히 없앤다는 것도 어렵고 여러가지 상황을 보고 있습니다."

영국과 호주,태국 등에서 담뱃값을 대폭 올리고 편의점 담배 광고와 진열도 금지하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인터뷰> " 조홍준(대한금연학회장) : "새로운 흡연자를 만들고 흡연을 유지하기 때문에 (편의점)광고를 금지하는 것이 대단히 효과적인 담배규제정책이고..."

정부의 금연종합대책이 세수확보를 위한 꼼수였다는 비판을 해소하기 위해서도 편의점 담배 광고를 규제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