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 중장년층 소비 급락…노후 불안이 원인
입력 2015.03.11 (06:40)
수정 2015.03.11 (17: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내수를 살려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게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이죠.
그런데 내수의 한 축인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득이 가장 많은 50대까지 소비를 줄이고 있어 경제에 활기가 돌지 않고 있는데요,
실태와 원인을 임승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벤처 회사에 다니는 54살 황남준씨,
월 200만원 정도인 자녀 교육비에 매달 50만원의 주택 대출금까지 갚다보면 생활비는 늘 빠듯합니다.
그래서 영화관람이나 외식에 쓰던 문화생활비를 30만 원에서 5만 원으로 확 줄였습니다.
바로 노후 준비 때문입니다.
<인터뷰> 황남준(50대 직장인) : "오늘 내일 퇴직하는 친구들도 있고 아무 준비 없이 내몰리는 친구도 있는데...먹는 거 입는 거 기본적인 거 외에는 다 줄이게 됩니다."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은 81.3세로 OECD 32개 나라 가운데 13위지만 노후를 대비한 연금투자 비중은 30위로 최하위권입니다.
이렇게 노후생활이 불안하다보니, 지난해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50대부터 뚝 떨어졌습니다.
50대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백만 원 정도로 가장 많은데도, 허리띠를 미리 졸라매고 있는 겁니다.
이렇게 중장년층이 소비를 줄이면 우리 경제도 1990년대 일본처럼 장기 침체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근태(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90년대 일본에서도 경제 성장 활력 저하와 고령화가 같이 진행되면서 경기 침체가 길어진 경험이 있었는데 내수 위축을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
중장년층의 노후 불안을 덜어줘야 내수 위축을 막을 수 있다는 얘깁니다.
이 때문에 고령화 추세에 맞춰 정년은 늘리고 퇴직후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내수를 살려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게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이죠.
그런데 내수의 한 축인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득이 가장 많은 50대까지 소비를 줄이고 있어 경제에 활기가 돌지 않고 있는데요,
실태와 원인을 임승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벤처 회사에 다니는 54살 황남준씨,
월 200만원 정도인 자녀 교육비에 매달 50만원의 주택 대출금까지 갚다보면 생활비는 늘 빠듯합니다.
그래서 영화관람이나 외식에 쓰던 문화생활비를 30만 원에서 5만 원으로 확 줄였습니다.
바로 노후 준비 때문입니다.
<인터뷰> 황남준(50대 직장인) : "오늘 내일 퇴직하는 친구들도 있고 아무 준비 없이 내몰리는 친구도 있는데...먹는 거 입는 거 기본적인 거 외에는 다 줄이게 됩니다."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은 81.3세로 OECD 32개 나라 가운데 13위지만 노후를 대비한 연금투자 비중은 30위로 최하위권입니다.
이렇게 노후생활이 불안하다보니, 지난해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50대부터 뚝 떨어졌습니다.
50대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백만 원 정도로 가장 많은데도, 허리띠를 미리 졸라매고 있는 겁니다.
이렇게 중장년층이 소비를 줄이면 우리 경제도 1990년대 일본처럼 장기 침체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근태(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90년대 일본에서도 경제 성장 활력 저하와 고령화가 같이 진행되면서 경기 침체가 길어진 경험이 있었는데 내수 위축을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
중장년층의 노후 불안을 덜어줘야 내수 위축을 막을 수 있다는 얘깁니다.
이 때문에 고령화 추세에 맞춰 정년은 늘리고 퇴직후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0대 이상 중장년층 소비 급락…노후 불안이 원인
-
- 입력 2015-03-11 06:42:12
- 수정2015-03-11 17:01:19

<앵커 멘트>
내수를 살려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게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이죠.
그런데 내수의 한 축인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득이 가장 많은 50대까지 소비를 줄이고 있어 경제에 활기가 돌지 않고 있는데요,
실태와 원인을 임승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벤처 회사에 다니는 54살 황남준씨,
월 200만원 정도인 자녀 교육비에 매달 50만원의 주택 대출금까지 갚다보면 생활비는 늘 빠듯합니다.
그래서 영화관람이나 외식에 쓰던 문화생활비를 30만 원에서 5만 원으로 확 줄였습니다.
바로 노후 준비 때문입니다.
<인터뷰> 황남준(50대 직장인) : "오늘 내일 퇴직하는 친구들도 있고 아무 준비 없이 내몰리는 친구도 있는데...먹는 거 입는 거 기본적인 거 외에는 다 줄이게 됩니다."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은 81.3세로 OECD 32개 나라 가운데 13위지만 노후를 대비한 연금투자 비중은 30위로 최하위권입니다.
이렇게 노후생활이 불안하다보니, 지난해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50대부터 뚝 떨어졌습니다.
50대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백만 원 정도로 가장 많은데도, 허리띠를 미리 졸라매고 있는 겁니다.
이렇게 중장년층이 소비를 줄이면 우리 경제도 1990년대 일본처럼 장기 침체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근태(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90년대 일본에서도 경제 성장 활력 저하와 고령화가 같이 진행되면서 경기 침체가 길어진 경험이 있었는데 내수 위축을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
중장년층의 노후 불안을 덜어줘야 내수 위축을 막을 수 있다는 얘깁니다.
이 때문에 고령화 추세에 맞춰 정년은 늘리고 퇴직후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내수를 살려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게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이죠.
그런데 내수의 한 축인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득이 가장 많은 50대까지 소비를 줄이고 있어 경제에 활기가 돌지 않고 있는데요,
실태와 원인을 임승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벤처 회사에 다니는 54살 황남준씨,
월 200만원 정도인 자녀 교육비에 매달 50만원의 주택 대출금까지 갚다보면 생활비는 늘 빠듯합니다.
그래서 영화관람이나 외식에 쓰던 문화생활비를 30만 원에서 5만 원으로 확 줄였습니다.
바로 노후 준비 때문입니다.
<인터뷰> 황남준(50대 직장인) : "오늘 내일 퇴직하는 친구들도 있고 아무 준비 없이 내몰리는 친구도 있는데...먹는 거 입는 거 기본적인 거 외에는 다 줄이게 됩니다."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은 81.3세로 OECD 32개 나라 가운데 13위지만 노후를 대비한 연금투자 비중은 30위로 최하위권입니다.
이렇게 노후생활이 불안하다보니, 지난해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50대부터 뚝 떨어졌습니다.
50대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백만 원 정도로 가장 많은데도, 허리띠를 미리 졸라매고 있는 겁니다.
이렇게 중장년층이 소비를 줄이면 우리 경제도 1990년대 일본처럼 장기 침체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근태(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90년대 일본에서도 경제 성장 활력 저하와 고령화가 같이 진행되면서 경기 침체가 길어진 경험이 있었는데 내수 위축을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
중장년층의 노후 불안을 덜어줘야 내수 위축을 막을 수 있다는 얘깁니다.
이 때문에 고령화 추세에 맞춰 정년은 늘리고 퇴직후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