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폐기물 시멘트 제조 기술 세계 최초로 개발

입력 2015.03.11 (19:23) 수정 2015.03.11 (2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고철을 철로 만들때 나오는 폐기물을 재활용 해 시멘트를 만드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습니다.

경제도 살리고 환경도 보호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동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철을 강철로 만들때 발생한 액체 상태의 철 잔재물을 수거합니다.

잔재물을 강한 바람으로 급속 냉각시키자 고체 알갱이들만 남습니다.

잘게 부수고 불순물을 제거하면 빨리 굳는 시멘트가 나옵니다.

산에서 캔 시멘트 광물에 열을 가해 시멘트를 얻는 기존 방식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비용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철강 폐기물을 급랭시켜 시멘트를 만든건 세계 최초입니다.

<인터뷰> 조봉규(기술개발 사업단) : "급랭된 유리구슬에 속경(빨리 굳는) 시멘트가 가지고 있는 칼슘 성분이 있다는 사실을 주목한 것이 저희가 최초입니다."

그동안 철강을 만들때 발생한 잔재물은 대부분 매립 처리했습니다.

이 기술 개발로 연 72만톤의 폐기물을 재활용 하면 2800억 원대의 시멘트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빨리 굳는 시멘트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왔습니다.

기존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도 줄여 대기오염 방지 효과도 있습니다.

<인터뷰> 환경산업기술원 본부장 : "무의미하게 버려지던 폐기물을 자원화 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환경 기술의 가치를 크게 높였다고 할수 있습니다."

인도 등 몇몇 나라에서도 이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향후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도 높습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철강 폐기물 시멘트 제조 기술 세계 최초로 개발
    • 입력 2015-03-11 19:24:34
    • 수정2015-03-11 20:18:14
    뉴스 7
<앵커 멘트>

고철을 철로 만들때 나오는 폐기물을 재활용 해 시멘트를 만드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습니다.

경제도 살리고 환경도 보호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동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철을 강철로 만들때 발생한 액체 상태의 철 잔재물을 수거합니다.

잔재물을 강한 바람으로 급속 냉각시키자 고체 알갱이들만 남습니다.

잘게 부수고 불순물을 제거하면 빨리 굳는 시멘트가 나옵니다.

산에서 캔 시멘트 광물에 열을 가해 시멘트를 얻는 기존 방식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비용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철강 폐기물을 급랭시켜 시멘트를 만든건 세계 최초입니다.

<인터뷰> 조봉규(기술개발 사업단) : "급랭된 유리구슬에 속경(빨리 굳는) 시멘트가 가지고 있는 칼슘 성분이 있다는 사실을 주목한 것이 저희가 최초입니다."

그동안 철강을 만들때 발생한 잔재물은 대부분 매립 처리했습니다.

이 기술 개발로 연 72만톤의 폐기물을 재활용 하면 2800억 원대의 시멘트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빨리 굳는 시멘트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왔습니다.

기존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도 줄여 대기오염 방지 효과도 있습니다.

<인터뷰> 환경산업기술원 본부장 : "무의미하게 버려지던 폐기물을 자원화 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환경 기술의 가치를 크게 높였다고 할수 있습니다."

인도 등 몇몇 나라에서도 이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향후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도 높습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