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리콜 지난해 87만대…5년새 5.5배로 껑충

입력 2015.03.13 (06:29) 수정 2015.03.13 (07: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 리콜이 87만대를 기록해 5년만에 약 5.5배로 증가했다.

리콜이 이처럼 늘어난 것은 제작결함 신고 건수가 매년 늘고 있는데다 정부가 결함 조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4년 국내에서 리콜된 차량은 432종, 87만대로 집계됐다. 리콜 건수와 대수 모두 예년보다 대폭 늘었다.

국산차가 35개 차종, 73만4천대였으며 수입차는 397종 13만6천대다.

리콜 대수는 2009년만 해도 15만9천대(74종)에 그쳤다. 하지만 2010년 27만1천대(137종)로 증가했으며 2011년과 2012년에는 각각 26만9천대(196종)와 20만6천대(188종)를 나타냈다.

그러다 2013년 103만7천대(195종)로 급증했다. 다만 이는 현대·기아차의 쏘나타 등 15개 차종 66만3천대가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불량으로 리콜된 것이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수십만대 규모의 대량 리콜은 없었던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리콜 차량 대수는 다소 감소했으나 차종 수는 122% 증가했다. 2009년과 비교하면 차종 수는 484%, 대수는 447% 늘었다.

지난해 리콜 현황을 제작사별로 보면 현대차가 26만5천대로 대수가 가장 많았다. 현대차는 지난 5월 투싼의 에어백 결함으로 12만3천대를 리콜한 바 있다.

SM5의 시동꺼짐 현상으로 16만2천대를 리콜한 르노삼성은 총 리콜 대수가 18만6천대로 2위였다.

그다음으로는 한국GM과 쌍용차가 각각 13만4천대와 13만2천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차는 리콜 대수가 5천대로 국내 완성차 5개 업체 가운데 가장 적었다.

수입차 업체로는 BMW가 2만9천대로 1위였으며 메르세데스벤츠 2만3천대, 도요타 2만대, 아우디폭스바겐 1만7천대, 포드 1만6천대 등의 순이었다.

수입차는 리콜 대수가 2013년까지 4만∼5만대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2배 이상으로 늘었다. 판매 대수가 급증한 데다 해외리콜 보고 의무화 제도가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윤진환 국토부 자동차운영과장은 "국내의 자동차 리콜은 90% 정도가 정부의 권고로 이뤄지고 순수한 자발적 리콜은 10% 정도밖에 안 된다"면서

"지난해 리콜 건수가 많았는데 전보다 결함 신고도 많이 들어오고 있는데다 안전과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결함조사를 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에는 같은 부품을 여러 회사가 쓰기도 해서 한가지 결함이 생기면 여러 차종이 한꺼번에 리콜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리콜 활성화를 위해 자동차 제작사가 제작결함을 확인하고도 리콜을 미루면 벌금을 물리도록 할 방침이다.

또 안전기준 위반 과징금 한도를 현재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올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동차 리콜 지난해 87만대…5년새 5.5배로 껑충
    • 입력 2015-03-13 06:29:21
    • 수정2015-03-13 07:32:18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자동차 리콜이 87만대를 기록해 5년만에 약 5.5배로 증가했다.

리콜이 이처럼 늘어난 것은 제작결함 신고 건수가 매년 늘고 있는데다 정부가 결함 조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4년 국내에서 리콜된 차량은 432종, 87만대로 집계됐다. 리콜 건수와 대수 모두 예년보다 대폭 늘었다.

국산차가 35개 차종, 73만4천대였으며 수입차는 397종 13만6천대다.

리콜 대수는 2009년만 해도 15만9천대(74종)에 그쳤다. 하지만 2010년 27만1천대(137종)로 증가했으며 2011년과 2012년에는 각각 26만9천대(196종)와 20만6천대(188종)를 나타냈다.

그러다 2013년 103만7천대(195종)로 급증했다. 다만 이는 현대·기아차의 쏘나타 등 15개 차종 66만3천대가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불량으로 리콜된 것이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수십만대 규모의 대량 리콜은 없었던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리콜 차량 대수는 다소 감소했으나 차종 수는 122% 증가했다. 2009년과 비교하면 차종 수는 484%, 대수는 447% 늘었다.

지난해 리콜 현황을 제작사별로 보면 현대차가 26만5천대로 대수가 가장 많았다. 현대차는 지난 5월 투싼의 에어백 결함으로 12만3천대를 리콜한 바 있다.

SM5의 시동꺼짐 현상으로 16만2천대를 리콜한 르노삼성은 총 리콜 대수가 18만6천대로 2위였다.

그다음으로는 한국GM과 쌍용차가 각각 13만4천대와 13만2천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차는 리콜 대수가 5천대로 국내 완성차 5개 업체 가운데 가장 적었다.

수입차 업체로는 BMW가 2만9천대로 1위였으며 메르세데스벤츠 2만3천대, 도요타 2만대, 아우디폭스바겐 1만7천대, 포드 1만6천대 등의 순이었다.

수입차는 리콜 대수가 2013년까지 4만∼5만대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2배 이상으로 늘었다. 판매 대수가 급증한 데다 해외리콜 보고 의무화 제도가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윤진환 국토부 자동차운영과장은 "국내의 자동차 리콜은 90% 정도가 정부의 권고로 이뤄지고 순수한 자발적 리콜은 10% 정도밖에 안 된다"면서

"지난해 리콜 건수가 많았는데 전보다 결함 신고도 많이 들어오고 있는데다 안전과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결함조사를 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에는 같은 부품을 여러 회사가 쓰기도 해서 한가지 결함이 생기면 여러 차종이 한꺼번에 리콜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리콜 활성화를 위해 자동차 제작사가 제작결함을 확인하고도 리콜을 미루면 벌금을 물리도록 할 방침이다.

또 안전기준 위반 과징금 한도를 현재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올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