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베란다 화재 탈출구를 창고로 사용

입력 2015.03.18 (07:19) 수정 2015.03.18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아파트 베란다에는 불이 날 경우 옆 집으로 탈출하거나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이 이런 사실을 모르거나 창고로 활용하는 등 제 기능을 못하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7층에서 검은 연기와 함께 불길이 치솟습니다.

이 불로 어머니와 세 자녀가 베란다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3층 이상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된 '경량 칸막이'입니다.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칸막이를 뚫고 신속하게 옆 집으로 탈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망치 등의 연장을 활용할 경우 보다 손쉽게 경량 칸막이를 부술 수 있습니다.

지난 2005년 이후 지은 아파트에는 '대피 공간'도 설치돼 있습니다.

불이 났을 때 한 시간 정도 유독가스 등을 차단해 구조를 기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량 칸막이'나 '대피 공간'이 있다는 걸 모르는 가정이 많습니다.

심지어 선반이 칸막이를 가로막고 있거나 각종 물건들이 쌓여 있기도 합니다.

<인터뷰> 유경숙(거제시 수월동) : "설마 화재가 나겠나 이 생각을 더 많이 해서 보통 창고로 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설마 우리 집이 사고가 나겠나 하는.."

<인터뷰> 조백수(거제소방서 예방안전과장) : "(경량 칸막이는) 유사시 파괴가 가능토록 하고 대피 공간 내에는 물건을 쌓아 두어서는 안 됩니다."

지난해 아파트 화재로 29명이 숨지고 240명이 다치는 등 인명 피해가 잇따라 비상 탈출구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파트 베란다 화재 탈출구를 창고로 사용
    • 입력 2015-03-18 07:21:12
    • 수정2015-03-18 08:03:32
    뉴스광장
<앵커 멘트>

아파트 베란다에는 불이 날 경우 옆 집으로 탈출하거나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이 이런 사실을 모르거나 창고로 활용하는 등 제 기능을 못하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7층에서 검은 연기와 함께 불길이 치솟습니다.

이 불로 어머니와 세 자녀가 베란다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3층 이상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된 '경량 칸막이'입니다.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칸막이를 뚫고 신속하게 옆 집으로 탈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망치 등의 연장을 활용할 경우 보다 손쉽게 경량 칸막이를 부술 수 있습니다.

지난 2005년 이후 지은 아파트에는 '대피 공간'도 설치돼 있습니다.

불이 났을 때 한 시간 정도 유독가스 등을 차단해 구조를 기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량 칸막이'나 '대피 공간'이 있다는 걸 모르는 가정이 많습니다.

심지어 선반이 칸막이를 가로막고 있거나 각종 물건들이 쌓여 있기도 합니다.

<인터뷰> 유경숙(거제시 수월동) : "설마 화재가 나겠나 이 생각을 더 많이 해서 보통 창고로 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설마 우리 집이 사고가 나겠나 하는.."

<인터뷰> 조백수(거제소방서 예방안전과장) : "(경량 칸막이는) 유사시 파괴가 가능토록 하고 대피 공간 내에는 물건을 쌓아 두어서는 안 됩니다."

지난해 아파트 화재로 29명이 숨지고 240명이 다치는 등 인명 피해가 잇따라 비상 탈출구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