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야구장 술 판매 허용하려다 ‘제동’
입력 2015.03.19 (15:10)
수정 2015.03.20 (07: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시가 새 야구장인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내에서 술 판매가 가능하도록 도시계획시설 변경을 하려다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제동이 걸렸다.
관련법상 체육시설 내 술과 조리음식 등을 파는 일반음식점 허가는 불가능하지만, 도시계획심의를 거치면 가능한 예외 규정이 있다.
광주시도시계획위원회는 19일 시가 제출한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내 수익시설 변경안에 대해 "기아구단측이 수익평가 자료 공개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수익시설을 허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유보(보류)했다.
시는 현재 11곳의 휴게음식점(편익시설) 중 1층과 5층 각 2곳씩 4곳(130.8㎡)를 일반음식점(수익시설)으로 바꿀 계획이었다.
일반음식점으로 변경되면 술 판매가 가능하며 기아타이거즈측은 생맥주와 통닭 등을 판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이 계획안은 지난해 8월 도시계획 심의에 올려졌으나 '수익시설 변경에 따른 시 재정확충 기여 방안 강구' 조건으로 심의가 유보된 상태다.
시는 기아타이거즈측과 협의, 올해는 생맥주 판매금액 3%를 복지시설 기부하고 내년에는 2015년 판매량에 근거해 정액을 기부하는 조건을 달았다.
따라서 이번 보류 이유는 지난해 심의를 보류한 이유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셈이다.
애초 야구장에는 3층에 1천260㎡에 달하는 2곳의 일반음식점이 있으나 접근 애로 등으로 술 매출로 이어지지 않자 이번에 추가 변경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는 한국야구위원회(KBO)의 'SAFE 캠페인'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캠페인은 야구장 내 술 및 캔·병·1ℓ 초과 페트병 반입 제한 등이 주 내용으로 쾌적한 경기장 환경을 조성하자는 의미다.
더욱이 이번 도시계획변경 주체가 광주시로 야구장 측의 수익확대만을 배려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광주시는 새 야구장 건립비의 30%(297억원)만을 부담한 기아자동차 측에 25년간 무상사용하고 수익 등을 갖도록 하는 등 특혜를 줬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야구팬들은 "외부 반입은 막으면서 비싼 술을 사먹으라고 허가를 추가로 내주려는 의도를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관련법상 체육시설 내 술과 조리음식 등을 파는 일반음식점 허가는 불가능하지만, 도시계획심의를 거치면 가능한 예외 규정이 있다.
광주시도시계획위원회는 19일 시가 제출한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내 수익시설 변경안에 대해 "기아구단측이 수익평가 자료 공개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수익시설을 허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유보(보류)했다.
시는 현재 11곳의 휴게음식점(편익시설) 중 1층과 5층 각 2곳씩 4곳(130.8㎡)를 일반음식점(수익시설)으로 바꿀 계획이었다.
일반음식점으로 변경되면 술 판매가 가능하며 기아타이거즈측은 생맥주와 통닭 등을 판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이 계획안은 지난해 8월 도시계획 심의에 올려졌으나 '수익시설 변경에 따른 시 재정확충 기여 방안 강구' 조건으로 심의가 유보된 상태다.
시는 기아타이거즈측과 협의, 올해는 생맥주 판매금액 3%를 복지시설 기부하고 내년에는 2015년 판매량에 근거해 정액을 기부하는 조건을 달았다.
따라서 이번 보류 이유는 지난해 심의를 보류한 이유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셈이다.
애초 야구장에는 3층에 1천260㎡에 달하는 2곳의 일반음식점이 있으나 접근 애로 등으로 술 매출로 이어지지 않자 이번에 추가 변경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는 한국야구위원회(KBO)의 'SAFE 캠페인'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캠페인은 야구장 내 술 및 캔·병·1ℓ 초과 페트병 반입 제한 등이 주 내용으로 쾌적한 경기장 환경을 조성하자는 의미다.
더욱이 이번 도시계획변경 주체가 광주시로 야구장 측의 수익확대만을 배려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광주시는 새 야구장 건립비의 30%(297억원)만을 부담한 기아자동차 측에 25년간 무상사용하고 수익 등을 갖도록 하는 등 특혜를 줬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야구팬들은 "외부 반입은 막으면서 비싼 술을 사먹으라고 허가를 추가로 내주려는 의도를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주시, 야구장 술 판매 허용하려다 ‘제동’
-
- 입력 2015-03-19 15:10:28
- 수정2015-03-20 07:37:05
광주시가 새 야구장인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내에서 술 판매가 가능하도록 도시계획시설 변경을 하려다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제동이 걸렸다.
관련법상 체육시설 내 술과 조리음식 등을 파는 일반음식점 허가는 불가능하지만, 도시계획심의를 거치면 가능한 예외 규정이 있다.
광주시도시계획위원회는 19일 시가 제출한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내 수익시설 변경안에 대해 "기아구단측이 수익평가 자료 공개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수익시설을 허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유보(보류)했다.
시는 현재 11곳의 휴게음식점(편익시설) 중 1층과 5층 각 2곳씩 4곳(130.8㎡)를 일반음식점(수익시설)으로 바꿀 계획이었다.
일반음식점으로 변경되면 술 판매가 가능하며 기아타이거즈측은 생맥주와 통닭 등을 판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이 계획안은 지난해 8월 도시계획 심의에 올려졌으나 '수익시설 변경에 따른 시 재정확충 기여 방안 강구' 조건으로 심의가 유보된 상태다.
시는 기아타이거즈측과 협의, 올해는 생맥주 판매금액 3%를 복지시설 기부하고 내년에는 2015년 판매량에 근거해 정액을 기부하는 조건을 달았다.
따라서 이번 보류 이유는 지난해 심의를 보류한 이유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셈이다.
애초 야구장에는 3층에 1천260㎡에 달하는 2곳의 일반음식점이 있으나 접근 애로 등으로 술 매출로 이어지지 않자 이번에 추가 변경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는 한국야구위원회(KBO)의 'SAFE 캠페인'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캠페인은 야구장 내 술 및 캔·병·1ℓ 초과 페트병 반입 제한 등이 주 내용으로 쾌적한 경기장 환경을 조성하자는 의미다.
더욱이 이번 도시계획변경 주체가 광주시로 야구장 측의 수익확대만을 배려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광주시는 새 야구장 건립비의 30%(297억원)만을 부담한 기아자동차 측에 25년간 무상사용하고 수익 등을 갖도록 하는 등 특혜를 줬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야구팬들은 "외부 반입은 막으면서 비싼 술을 사먹으라고 허가를 추가로 내주려는 의도를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관련법상 체육시설 내 술과 조리음식 등을 파는 일반음식점 허가는 불가능하지만, 도시계획심의를 거치면 가능한 예외 규정이 있다.
광주시도시계획위원회는 19일 시가 제출한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내 수익시설 변경안에 대해 "기아구단측이 수익평가 자료 공개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수익시설을 허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유보(보류)했다.
시는 현재 11곳의 휴게음식점(편익시설) 중 1층과 5층 각 2곳씩 4곳(130.8㎡)를 일반음식점(수익시설)으로 바꿀 계획이었다.
일반음식점으로 변경되면 술 판매가 가능하며 기아타이거즈측은 생맥주와 통닭 등을 판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이 계획안은 지난해 8월 도시계획 심의에 올려졌으나 '수익시설 변경에 따른 시 재정확충 기여 방안 강구' 조건으로 심의가 유보된 상태다.
시는 기아타이거즈측과 협의, 올해는 생맥주 판매금액 3%를 복지시설 기부하고 내년에는 2015년 판매량에 근거해 정액을 기부하는 조건을 달았다.
따라서 이번 보류 이유는 지난해 심의를 보류한 이유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셈이다.
애초 야구장에는 3층에 1천260㎡에 달하는 2곳의 일반음식점이 있으나 접근 애로 등으로 술 매출로 이어지지 않자 이번에 추가 변경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는 한국야구위원회(KBO)의 'SAFE 캠페인'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캠페인은 야구장 내 술 및 캔·병·1ℓ 초과 페트병 반입 제한 등이 주 내용으로 쾌적한 경기장 환경을 조성하자는 의미다.
더욱이 이번 도시계획변경 주체가 광주시로 야구장 측의 수익확대만을 배려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광주시는 새 야구장 건립비의 30%(297억원)만을 부담한 기아자동차 측에 25년간 무상사용하고 수익 등을 갖도록 하는 등 특혜를 줬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야구팬들은 "외부 반입은 막으면서 비싼 술을 사먹으라고 허가를 추가로 내주려는 의도를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