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나도 모르는 사이 보이스피싱 인출책?

입력 2015.03.19 (23:19) 수정 2015.03.20 (0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또 신종 보이스 피싱 범죄입니다.

이번엔 전세난 속 전세금 대출이 필요한 사람들을 속여 보이스 피싱 범죄로 끌어들이는 사롑니다.

사회 2부 계현우 기자의 설명 들어보입니다.

<질문>
계현우 기자, 이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속은 사람들은 자신들도 모르게 현금 인출책이 됐다면서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오늘 자신도 모르게 보이스피싱 일당의 인출책이 돼버렸다는 70살 이 모 씨를 만났는데요.

이 씨에게는 이달 초 대부업체 직원이라는 사람의 전화가 잇따라 걸려왔다고 합니다.

"이 전화통화에서 일당은 이 씨에게 전세자금이 필요하지 않으시냐"며 신용 등급을 올려줘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게 해주겠다고 제안했는데요.

때마침, 아들의 결혼을 앞두고 전세자금이 필요했던 이 씨는 선뜻 제안에 응했답니다.

목돈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출이 쉽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이 대부업체 직원을 사칭한 사람은 대출을 위해선 계좌 입출금 거래를 늘려 신용등급을 올려야 한다고 했답니다.

이에 따라 이 씨 계좌로 회사 돈을 임시로 보내줄 테니 돈을 인출해 다시 반환하라고 했는데요.

얼마 뒤, 통장에 실제로 1억 6천9백만 원이 들어왔고, 이 씨는 돈을 찾아 지정해 준 사람에게 넘겼습니다.

하지만, 이 씨가 인출한 건 다름 아닌 전화금융사기 피해자들이 속아서 송금한 돈이었던 겁니다.

<질문>
1억 6천 9백만원이면 정말 큰 돈인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현금 인출책' 노릇을 한거네요.

보통 보이스피싱 조직은 차명 통장, 이른바 대포 통장을 범행에 이용하지 않나요?

<답변>
네, 이번에는 그 점이 예전과 달랐던 건데요.

일당은 대포통장이 아니라 직접 계좌 주인을 은행 창구에 가게 해서 보이스피싱 피해금을 인출하게 만든 겁니다.

<인터뷰> 염태진(서울 강동경찰서 지능팀장) : "(단속 강화로) 대포 통장을 구입하기가 힘들고, 자동지급기에서 현금을 인출할 때는 인출 금액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금액을 뽑을 수 있게 이렇게 사람들을 유인해서 창구에서 직접 인출하게 한 겁니다."

이번 사건에서는 전세대출 자금이 필요한 5명이 일당에게 속았는데요.

경찰은 억대의 피해금액이 중국의 보이스피싱 조직에게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찰은 보이스피싱으로 빼낸 8억 9천만 원을 중국에 보낸 한 모 씨 등 3명을 사기 등의 혐의로 구속하는 한편, 정상적인 방법을 통해 대출해 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현장] 나도 모르는 사이 보이스피싱 인출책?
    • 입력 2015-03-19 23:26:38
    • 수정2015-03-20 00:21:18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또 신종 보이스 피싱 범죄입니다.

이번엔 전세난 속 전세금 대출이 필요한 사람들을 속여 보이스 피싱 범죄로 끌어들이는 사롑니다.

사회 2부 계현우 기자의 설명 들어보입니다.

<질문>
계현우 기자, 이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속은 사람들은 자신들도 모르게 현금 인출책이 됐다면서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오늘 자신도 모르게 보이스피싱 일당의 인출책이 돼버렸다는 70살 이 모 씨를 만났는데요.

이 씨에게는 이달 초 대부업체 직원이라는 사람의 전화가 잇따라 걸려왔다고 합니다.

"이 전화통화에서 일당은 이 씨에게 전세자금이 필요하지 않으시냐"며 신용 등급을 올려줘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게 해주겠다고 제안했는데요.

때마침, 아들의 결혼을 앞두고 전세자금이 필요했던 이 씨는 선뜻 제안에 응했답니다.

목돈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출이 쉽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이 대부업체 직원을 사칭한 사람은 대출을 위해선 계좌 입출금 거래를 늘려 신용등급을 올려야 한다고 했답니다.

이에 따라 이 씨 계좌로 회사 돈을 임시로 보내줄 테니 돈을 인출해 다시 반환하라고 했는데요.

얼마 뒤, 통장에 실제로 1억 6천9백만 원이 들어왔고, 이 씨는 돈을 찾아 지정해 준 사람에게 넘겼습니다.

하지만, 이 씨가 인출한 건 다름 아닌 전화금융사기 피해자들이 속아서 송금한 돈이었던 겁니다.

<질문>
1억 6천 9백만원이면 정말 큰 돈인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현금 인출책' 노릇을 한거네요.

보통 보이스피싱 조직은 차명 통장, 이른바 대포 통장을 범행에 이용하지 않나요?

<답변>
네, 이번에는 그 점이 예전과 달랐던 건데요.

일당은 대포통장이 아니라 직접 계좌 주인을 은행 창구에 가게 해서 보이스피싱 피해금을 인출하게 만든 겁니다.

<인터뷰> 염태진(서울 강동경찰서 지능팀장) : "(단속 강화로) 대포 통장을 구입하기가 힘들고, 자동지급기에서 현금을 인출할 때는 인출 금액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금액을 뽑을 수 있게 이렇게 사람들을 유인해서 창구에서 직접 인출하게 한 겁니다."

이번 사건에서는 전세대출 자금이 필요한 5명이 일당에게 속았는데요.

경찰은 억대의 피해금액이 중국의 보이스피싱 조직에게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찰은 보이스피싱으로 빼낸 8억 9천만 원을 중국에 보낸 한 모 씨 등 3명을 사기 등의 혐의로 구속하는 한편, 정상적인 방법을 통해 대출해 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