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지난달 대도시 음식점과 쌀 취급업체 1만1천여곳의 농산물 원산지 표시를 점검한 결과, 모두 193건(곳)의 위반 사례를 적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위반 유형별로는 거짓표시가 139건, 미표시 54건이었고 적발 품목으로는 배추김치가 8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쌀 38건, 돼지고기 27건, 소고기 26건 등의 순이었다.
농관원 관계자는 "배추김치는 국산이 중국산에 비해 2~3배 비싸고 수입쌀 가격은 국산의 76~86%에 불과해 업자들이 원산지 조작에 나서는 것"이라며 "쌀 시장 개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쌀 유전자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원산지 판정의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산지 부정유통이 의심될 경우 전화(1588-8112)나 인터넷(www.naqs.go.kr)으로 신고하면 포상금 5만~2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위반 유형별로는 거짓표시가 139건, 미표시 54건이었고 적발 품목으로는 배추김치가 8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쌀 38건, 돼지고기 27건, 소고기 26건 등의 순이었다.
농관원 관계자는 "배추김치는 국산이 중국산에 비해 2~3배 비싸고 수입쌀 가격은 국산의 76~86%에 불과해 업자들이 원산지 조작에 나서는 것"이라며 "쌀 시장 개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쌀 유전자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원산지 판정의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산지 부정유통이 의심될 경우 전화(1588-8112)나 인터넷(www.naqs.go.kr)으로 신고하면 포상금 5만~2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원산지 표시 위반 193곳 적발…김치가 가장 많아
-
- 입력 2015-04-02 13:44:46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지난달 대도시 음식점과 쌀 취급업체 1만1천여곳의 농산물 원산지 표시를 점검한 결과, 모두 193건(곳)의 위반 사례를 적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위반 유형별로는 거짓표시가 139건, 미표시 54건이었고 적발 품목으로는 배추김치가 8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쌀 38건, 돼지고기 27건, 소고기 26건 등의 순이었다.
농관원 관계자는 "배추김치는 국산이 중국산에 비해 2~3배 비싸고 수입쌀 가격은 국산의 76~86%에 불과해 업자들이 원산지 조작에 나서는 것"이라며 "쌀 시장 개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쌀 유전자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원산지 판정의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산지 부정유통이 의심될 경우 전화(1588-8112)나 인터넷(www.naqs.go.kr)으로 신고하면 포상금 5만~2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