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산재 신청했더니…” 일자리 잃은 알바생들

입력 2015.04.26 (21:19) 수정 2015.04.27 (08: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아르바이트를 하다 다치면 당연히 치료와 보상을 받을수 있는데도, 아르바이트생들은 일하다 다쳐도 산재보상은 커녕 일자리까지 위협당하고 있습니다.

KBS가 입수한 녹음 파일을 한 번 들어보시죠.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커피 전문점에서 일하다 화상을 입은 신민주 씨.

컵에 뜨거운 물을 붓다가 좁은 선반에서 물건이 떨어져 다쳤습니다.

산재를 신청하려고 하자 주인은 책임을 떠넘겼습니다.

<녹취> 커피전문점 주인(지난 2월/음성변조) : "뜨거운 물에 화상입었다 그러면 네가 손끝이 야물지 않기 때문에, 널 고용하기 불안한거야. 무슨 말인지 알겠지?"

주인은 한발 더 나가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녹취> 커피전문점 주인(지난 2월/음성변조) : "산재 처리해줄 테니까 6개월 계약서를 써. 6개월 안에 관두면 한 달치 급여 못받아 가."

신 씨는 결국 일을 관둘 수 밖에 없었습니다.

<녹취> 신민주(대학생) : "그냥 값싸게 부려먹을 수 있는 존재로 보는 건지 좀 그런 생각이 많이 났어요."

주인은 산재 신청을 의도적으로 거부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인 김 모 씨도 수차례 화상을 입었지만 참고 견딜 수밖에 없었습니다.

<녹취> 김○○(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 : "너무 최소 인원을 뽑고 그 인원 안에서 다쳐도 아무렇지도 않은 척하면서 일을 계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문제인 것 같아요."

지난해 음식점 아르바이트생이 산재를 인정받은 경우는 58건, 전체 산업재해 8만 2천여 건의 0.07%에 그쳤습니다.

<인터뷰> 하정식(근로복지공단 재활보상1부장) :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은 산재 처리를 안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 재해를 은폐하는 사업주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는 법안이 국회에 넘어갔지만 아직도 낮잠을 자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산재 신청했더니…” 일자리 잃은 알바생들
    • 입력 2015-04-26 21:22:18
    • 수정2015-04-27 08:32:54
    뉴스 9
<앵커멘트>

아르바이트를 하다 다치면 당연히 치료와 보상을 받을수 있는데도, 아르바이트생들은 일하다 다쳐도 산재보상은 커녕 일자리까지 위협당하고 있습니다.

KBS가 입수한 녹음 파일을 한 번 들어보시죠.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커피 전문점에서 일하다 화상을 입은 신민주 씨.

컵에 뜨거운 물을 붓다가 좁은 선반에서 물건이 떨어져 다쳤습니다.

산재를 신청하려고 하자 주인은 책임을 떠넘겼습니다.

<녹취> 커피전문점 주인(지난 2월/음성변조) : "뜨거운 물에 화상입었다 그러면 네가 손끝이 야물지 않기 때문에, 널 고용하기 불안한거야. 무슨 말인지 알겠지?"

주인은 한발 더 나가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녹취> 커피전문점 주인(지난 2월/음성변조) : "산재 처리해줄 테니까 6개월 계약서를 써. 6개월 안에 관두면 한 달치 급여 못받아 가."

신 씨는 결국 일을 관둘 수 밖에 없었습니다.

<녹취> 신민주(대학생) : "그냥 값싸게 부려먹을 수 있는 존재로 보는 건지 좀 그런 생각이 많이 났어요."

주인은 산재 신청을 의도적으로 거부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인 김 모 씨도 수차례 화상을 입었지만 참고 견딜 수밖에 없었습니다.

<녹취> 김○○(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 : "너무 최소 인원을 뽑고 그 인원 안에서 다쳐도 아무렇지도 않은 척하면서 일을 계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문제인 것 같아요."

지난해 음식점 아르바이트생이 산재를 인정받은 경우는 58건, 전체 산업재해 8만 2천여 건의 0.07%에 그쳤습니다.

<인터뷰> 하정식(근로복지공단 재활보상1부장) :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은 산재 처리를 안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 재해를 은폐하는 사업주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는 법안이 국회에 넘어갔지만 아직도 낮잠을 자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