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검사 요구 묵살”…‘메르스’ 부실 대응 질타
입력 2015.05.27 (21:06)
수정 2015.05.29 (22: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회에선 메르스 사태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현안 보고가 있었는데요.
의심환자의 격리요구를 무시했던 당국의 안이한 대응과 허술한 검역 체계 등을 놓고 여야의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윤상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KBS 9시뉴스(5월 21일) : "딸의 요구를 무시한채 집으로 돌려보낸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감염이 의심된다며 검사를 해달라는 세번째 메르스 환자 딸의 요구를 보건당국이 묵살했다는 KBS의 보도가 국회에서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녹취> 김성주(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자가 격리하고 유전자 검사는 나중에 했다는 말이죠. 이게 굉장히 보건당국이 안이한 대응을 했다."
5일 뒤 딸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의원들이 이구동성으로 안이한 대처를 질타하자 복지부 장관은 쩔쩔맸습니다.
<녹취> 김명연(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상황인식이 문제다..의심되는 사람 있으면 검사해야지..무슨 배짱으로 거부하냐..."
<인터뷰> 문형표(보건복지부 장관) : "좀 더 신중하고 철저하게 대비를 했어야 했습니다."
중동지역 등에서 들어오는 입국자에 대한 공항 검역이 허술하다는 비판도 잇따랐습니다.
<인터뷰> 안철수(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항공으로 왔는데 별도 검역 절차 안받아..잠복기 증상 체크도 안된는데 문제다."
<인터뷰> 김현숙(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제3국으로 들어오는 것 본인 요청전에 검역 시스템 구축이 안돼 있어..."
최초 감염자가 증상이 나타난 뒤 확진까지 9일 이나 걸렸다며 검역 공백도 꼬집었습니다.
아울러 메르스같은 신종 감염병은 소규모 병.의원에게도 상세한 정보를 알려 경각심을 높이라고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국회에선 메르스 사태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현안 보고가 있었는데요.
의심환자의 격리요구를 무시했던 당국의 안이한 대응과 허술한 검역 체계 등을 놓고 여야의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윤상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KBS 9시뉴스(5월 21일) : "딸의 요구를 무시한채 집으로 돌려보낸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감염이 의심된다며 검사를 해달라는 세번째 메르스 환자 딸의 요구를 보건당국이 묵살했다는 KBS의 보도가 국회에서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녹취> 김성주(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자가 격리하고 유전자 검사는 나중에 했다는 말이죠. 이게 굉장히 보건당국이 안이한 대응을 했다."
5일 뒤 딸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의원들이 이구동성으로 안이한 대처를 질타하자 복지부 장관은 쩔쩔맸습니다.
<녹취> 김명연(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상황인식이 문제다..의심되는 사람 있으면 검사해야지..무슨 배짱으로 거부하냐..."
<인터뷰> 문형표(보건복지부 장관) : "좀 더 신중하고 철저하게 대비를 했어야 했습니다."
중동지역 등에서 들어오는 입국자에 대한 공항 검역이 허술하다는 비판도 잇따랐습니다.
<인터뷰> 안철수(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항공으로 왔는데 별도 검역 절차 안받아..잠복기 증상 체크도 안된는데 문제다."
<인터뷰> 김현숙(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제3국으로 들어오는 것 본인 요청전에 검역 시스템 구축이 안돼 있어..."
최초 감염자가 증상이 나타난 뒤 확진까지 9일 이나 걸렸다며 검역 공백도 꼬집었습니다.
아울러 메르스같은 신종 감염병은 소규모 병.의원에게도 상세한 정보를 알려 경각심을 높이라고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격리검사 요구 묵살”…‘메르스’ 부실 대응 질타
-
- 입력 2015-05-27 21:07:11
- 수정2015-05-29 22:33:16
<앵커 멘트>
국회에선 메르스 사태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현안 보고가 있었는데요.
의심환자의 격리요구를 무시했던 당국의 안이한 대응과 허술한 검역 체계 등을 놓고 여야의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윤상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KBS 9시뉴스(5월 21일) : "딸의 요구를 무시한채 집으로 돌려보낸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감염이 의심된다며 검사를 해달라는 세번째 메르스 환자 딸의 요구를 보건당국이 묵살했다는 KBS의 보도가 국회에서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녹취> 김성주(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자가 격리하고 유전자 검사는 나중에 했다는 말이죠. 이게 굉장히 보건당국이 안이한 대응을 했다."
5일 뒤 딸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의원들이 이구동성으로 안이한 대처를 질타하자 복지부 장관은 쩔쩔맸습니다.
<녹취> 김명연(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상황인식이 문제다..의심되는 사람 있으면 검사해야지..무슨 배짱으로 거부하냐..."
<인터뷰> 문형표(보건복지부 장관) : "좀 더 신중하고 철저하게 대비를 했어야 했습니다."
중동지역 등에서 들어오는 입국자에 대한 공항 검역이 허술하다는 비판도 잇따랐습니다.
<인터뷰> 안철수(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항공으로 왔는데 별도 검역 절차 안받아..잠복기 증상 체크도 안된는데 문제다."
<인터뷰> 김현숙(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제3국으로 들어오는 것 본인 요청전에 검역 시스템 구축이 안돼 있어..."
최초 감염자가 증상이 나타난 뒤 확진까지 9일 이나 걸렸다며 검역 공백도 꼬집었습니다.
아울러 메르스같은 신종 감염병은 소규모 병.의원에게도 상세한 정보를 알려 경각심을 높이라고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국회에선 메르스 사태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현안 보고가 있었는데요.
의심환자의 격리요구를 무시했던 당국의 안이한 대응과 허술한 검역 체계 등을 놓고 여야의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윤상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KBS 9시뉴스(5월 21일) : "딸의 요구를 무시한채 집으로 돌려보낸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감염이 의심된다며 검사를 해달라는 세번째 메르스 환자 딸의 요구를 보건당국이 묵살했다는 KBS의 보도가 국회에서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녹취> 김성주(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자가 격리하고 유전자 검사는 나중에 했다는 말이죠. 이게 굉장히 보건당국이 안이한 대응을 했다."
5일 뒤 딸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의원들이 이구동성으로 안이한 대처를 질타하자 복지부 장관은 쩔쩔맸습니다.
<녹취> 김명연(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상황인식이 문제다..의심되는 사람 있으면 검사해야지..무슨 배짱으로 거부하냐..."
<인터뷰> 문형표(보건복지부 장관) : "좀 더 신중하고 철저하게 대비를 했어야 했습니다."
중동지역 등에서 들어오는 입국자에 대한 공항 검역이 허술하다는 비판도 잇따랐습니다.
<인터뷰> 안철수(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항공으로 왔는데 별도 검역 절차 안받아..잠복기 증상 체크도 안된는데 문제다."
<인터뷰> 김현숙(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제3국으로 들어오는 것 본인 요청전에 검역 시스템 구축이 안돼 있어..."
최초 감염자가 증상이 나타난 뒤 확진까지 9일 이나 걸렸다며 검역 공백도 꼬집었습니다.
아울러 메르스같은 신종 감염병은 소규모 병.의원에게도 상세한 정보를 알려 경각심을 높이라고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메르스 바이러스 확산 종식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