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본부 직원 절반 “한국, 신종 감염병 안전국 아니다”

입력 2015.06.04 (14:04) 수정 2015.06.04 (14: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르스 확산에 대한 보건당국의 책임을 묻는 비판 여론이 거센 가운데 질병관리본부 직원 절반은 우리나라가 신종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원의 절반 이상은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비상 대응 업무를 숙지하지 못했으며 이와 관련한 훈련과 교육이 미흡하다고 생각했다.

2014년 12월 강원대 연구팀이 질병관리본부 직원 299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 직원 49.2%는 '우리나라가 신종 감염병에 안전한 나라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안전하다'고 답한 직원은 22.9%로 부정적 응답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나머지는 '보통'이라고 응답했다.

◆ 질병관리본부 직원 46% “신종 감염병 현장 갈 의사 없다”



▲질병관리본부 직원 대상 인식조사 결과. 무응답 표시 안 함

'우리나라가 신종 감염병 비상 대책 체계 구축에 관심이 높다'는 응답률은 26.4%인 반면 '관심이 높지 않다'는 응답은 33.2%로 더 많았다.

질병관리본부 조사 대상자 중 '신종 감염병 발생 시 역할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는 응답은 25.3%에 그친 반면,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44.1%나 됐다.

'신종 감염병 발생에 따른 파견 시 업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응답은 29.6%에 그쳤으며, '신속한 업무 수행이 어렵다'는 응답은 39.4%나 됐다.

신종 감염병 발생 시 검역소 및 대응 현장으로 파견될 의사를 묻는 말에 46%는 '없다'고 답했다.

특히 파견 의사가 없는 이유를 묻는 말에 '참여해도 도움이 되는 업무가 없다'는 답변은 49.6%나 됐다. '현재 업무는 대체 근무가 어렵다'는 응답은 19.7%였으며 '감염 위험성'은 17.5%였다.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비상 대응 업무의 숙지도를 살펴보면, 53.2%가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숙지하고 있다'는 응답은 43.1%에 그쳤다.

'신종 감염병 감시 체계가 (매우) 미흡하다'는 응답자는 30.1%였으며 '신종 감염병 발생 시 상황 전파 체계가 미흡하다'는 응답도 31.4%나 됐다.

'신종 감염병 발생에 따른 부서 간 협조가 미흡하다'는 응답은 37.8%였으며 44.4%는 '전문 인력 보강이 잘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41.4%는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대응할 '물자 준비가 미흡하다'고 했으며 51%는 '신종 감염병에 대응한 교육과 훈련이 미흡하다'고 답했다.

조사 당시인 지난해 12월, 질병관리본부 직원들은 메르스 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을 묻는 말에 응답자의 2%만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라고 답했다. 46%는 '신종플루', 40%는 '조류인플루엔자'의 발병 가능성을 높게 봤다.

◆ “감염병 위기시 체계적 대응 어려워”



조사를 수행한 강원대 연구팀은 질병관리본부 직원의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비상 대응 업무에 대한 숙지와 관심 수준이 낮다고 지적했다.

또 교육과 훈련, 전문 인력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파악돼 위기 시 체계적인 대응이 어렵다고 우려했다.

강원대 연구팀은 "감염병 발생 시 현장 파견 필요성은 높지만 고유 업무 특성과 비상 대응 업무의 낮은 관련성으로 파견 참여도가 낮다"며 "감염병 대응과 관련 없는 인력도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대응 역량을 강화해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팀은 "신종 감염병에 비상 대응할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문 인력 보강 계획을 수립하거나 경험이 있는 전문 인력을 우선적으로 파견하는 세부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대책 마련과 비상 대응과 관련 없는 부서의 참여도 이끌 수 있는 세부 지침 마련도 요구됐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2012년 기준 질병관리본부 전체 직원 844명 가운데 64%(540명)가 비정규직인 점을 명시하며, 비정규직에 의한 사회 안전망 구축이 제 기능을 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병 대응 체계를 손볼 예정이라고 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본부 내에 감염병을 대응하는 인력 외에 만성 질환을 취급하거나 연구 분야의 인력도 많다"며 "비상 대응과 관련이 없는 이 분야 직원도 포함해 조사하다 보니 숙련도 등이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할 부분을 보완하고자 한다"며 "감염병 분야 외 인력도 비상 시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조사는 2014년 12월 방문 및 이메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행정자치부 정책연구관리시스템(http://www.prism.go.kr)을 통해 전체 조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질병본부 직원 절반 “한국, 신종 감염병 안전국 아니다”
    • 입력 2015-06-04 14:04:28
    • 수정2015-06-04 14:21:05
    사회
메르스 확산에 대한 보건당국의 책임을 묻는 비판 여론이 거센 가운데 질병관리본부 직원 절반은 우리나라가 신종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원의 절반 이상은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비상 대응 업무를 숙지하지 못했으며 이와 관련한 훈련과 교육이 미흡하다고 생각했다.

2014년 12월 강원대 연구팀이 질병관리본부 직원 299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 직원 49.2%는 '우리나라가 신종 감염병에 안전한 나라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안전하다'고 답한 직원은 22.9%로 부정적 응답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나머지는 '보통'이라고 응답했다.

◆ 질병관리본부 직원 46% “신종 감염병 현장 갈 의사 없다”



▲질병관리본부 직원 대상 인식조사 결과. 무응답 표시 안 함

'우리나라가 신종 감염병 비상 대책 체계 구축에 관심이 높다'는 응답률은 26.4%인 반면 '관심이 높지 않다'는 응답은 33.2%로 더 많았다.

질병관리본부 조사 대상자 중 '신종 감염병 발생 시 역할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는 응답은 25.3%에 그친 반면,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44.1%나 됐다.

'신종 감염병 발생에 따른 파견 시 업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응답은 29.6%에 그쳤으며, '신속한 업무 수행이 어렵다'는 응답은 39.4%나 됐다.

신종 감염병 발생 시 검역소 및 대응 현장으로 파견될 의사를 묻는 말에 46%는 '없다'고 답했다.

특히 파견 의사가 없는 이유를 묻는 말에 '참여해도 도움이 되는 업무가 없다'는 답변은 49.6%나 됐다. '현재 업무는 대체 근무가 어렵다'는 응답은 19.7%였으며 '감염 위험성'은 17.5%였다.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비상 대응 업무의 숙지도를 살펴보면, 53.2%가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숙지하고 있다'는 응답은 43.1%에 그쳤다.

'신종 감염병 감시 체계가 (매우) 미흡하다'는 응답자는 30.1%였으며 '신종 감염병 발생 시 상황 전파 체계가 미흡하다'는 응답도 31.4%나 됐다.

'신종 감염병 발생에 따른 부서 간 협조가 미흡하다'는 응답은 37.8%였으며 44.4%는 '전문 인력 보강이 잘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41.4%는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대응할 '물자 준비가 미흡하다'고 했으며 51%는 '신종 감염병에 대응한 교육과 훈련이 미흡하다'고 답했다.

조사 당시인 지난해 12월, 질병관리본부 직원들은 메르스 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을 묻는 말에 응답자의 2%만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라고 답했다. 46%는 '신종플루', 40%는 '조류인플루엔자'의 발병 가능성을 높게 봤다.

◆ “감염병 위기시 체계적 대응 어려워”



조사를 수행한 강원대 연구팀은 질병관리본부 직원의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비상 대응 업무에 대한 숙지와 관심 수준이 낮다고 지적했다.

또 교육과 훈련, 전문 인력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파악돼 위기 시 체계적인 대응이 어렵다고 우려했다.

강원대 연구팀은 "감염병 발생 시 현장 파견 필요성은 높지만 고유 업무 특성과 비상 대응 업무의 낮은 관련성으로 파견 참여도가 낮다"며 "감염병 대응과 관련 없는 인력도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대응 역량을 강화해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팀은 "신종 감염병에 비상 대응할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문 인력 보강 계획을 수립하거나 경험이 있는 전문 인력을 우선적으로 파견하는 세부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대책 마련과 비상 대응과 관련 없는 부서의 참여도 이끌 수 있는 세부 지침 마련도 요구됐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2012년 기준 질병관리본부 전체 직원 844명 가운데 64%(540명)가 비정규직인 점을 명시하며, 비정규직에 의한 사회 안전망 구축이 제 기능을 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병 대응 체계를 손볼 예정이라고 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본부 내에 감염병을 대응하는 인력 외에 만성 질환을 취급하거나 연구 분야의 인력도 많다"며 "비상 대응과 관련이 없는 이 분야 직원도 포함해 조사하다 보니 숙련도 등이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할 부분을 보완하고자 한다"며 "감염병 분야 외 인력도 비상 시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조사는 2014년 12월 방문 및 이메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행정자치부 정책연구관리시스템(http://www.prism.go.kr)을 통해 전체 조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