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in경인] 무제…해석은 관객 몫?

입력 2015.06.04 (21:40) 수정 2015.06.04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술관에 가면 자주 볼 수 작품 이름이 '무제'인데요,

작품도 어려운데 제목마저 없어 어떻게 이해하고 감상해야할지 난감하신 적 있으시죠?

작가는 왜 제목을 달지 않았을까요?

그 해답을 찾아가는 특별한 전시회를 송명훈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면장갑으로 만든 독특한 입체감과 질감의 조형물.

작품명은 '무제',

작가가 이름을 붙이지 않았으니 해석은 관객의 몫입니다.

<인터뷰> 김장수 : "따뜻한 느낌이 나서 '사랑'이라고 붙이고 싶습니다."

<인터뷰> 김부식 : "저는 '하나'라고 제목을 붙이고 싶습니다. 정선자 <인터뷰> 아버지요. 장갑을 보니까 아버지 손이 생각났고..."

<인터뷰> 민경혜 : "어~고된 노동"

관객이 직접 작품에 제목을 붙여보는 전시회.

각자의 삶의 방식이 다른 것처럼 관점에 따라 제목도 제각각입니다.

그렇다면 작가는 왜 제목을 달지 않았을까?

사실, 늘 심각한 이유가 있는 것만은 아닙니다.

<인터뷰> 김창열(작가) : "그 당시의 멋이에요. 뭔가 아무것도 없는것처럼 하면서도 뭔가 울림이 있을 것 같은.."

<인터뷰> 양주혜(작가) : "저는 할 말이 없었거든요. 그리고 진짜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몰라서..."

뒤집어보면 나만의 방식으로 작품을 보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감상법이라는 얘깁니다.

<인터뷰> 임대근(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 "제목달기의 권한을 대중들에게 돌려줘서 대중이 마음대로 제목을 붙이고 자기의 상상력을 더해서 작품을 해석하라는 의미에서..."

나만의 제목을 곰곰히 생각해 볼 때 관객은 이미 작품과 대화를 시작한 겁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화in경인] 무제…해석은 관객 몫?
    • 입력 2015-06-04 21:49:53
    • 수정2015-06-04 21:58:36
    뉴스9(경인)
<앵커 멘트>

미술관에 가면 자주 볼 수 작품 이름이 '무제'인데요,

작품도 어려운데 제목마저 없어 어떻게 이해하고 감상해야할지 난감하신 적 있으시죠?

작가는 왜 제목을 달지 않았을까요?

그 해답을 찾아가는 특별한 전시회를 송명훈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면장갑으로 만든 독특한 입체감과 질감의 조형물.

작품명은 '무제',

작가가 이름을 붙이지 않았으니 해석은 관객의 몫입니다.

<인터뷰> 김장수 : "따뜻한 느낌이 나서 '사랑'이라고 붙이고 싶습니다."

<인터뷰> 김부식 : "저는 '하나'라고 제목을 붙이고 싶습니다. 정선자 <인터뷰> 아버지요. 장갑을 보니까 아버지 손이 생각났고..."

<인터뷰> 민경혜 : "어~고된 노동"

관객이 직접 작품에 제목을 붙여보는 전시회.

각자의 삶의 방식이 다른 것처럼 관점에 따라 제목도 제각각입니다.

그렇다면 작가는 왜 제목을 달지 않았을까?

사실, 늘 심각한 이유가 있는 것만은 아닙니다.

<인터뷰> 김창열(작가) : "그 당시의 멋이에요. 뭔가 아무것도 없는것처럼 하면서도 뭔가 울림이 있을 것 같은.."

<인터뷰> 양주혜(작가) : "저는 할 말이 없었거든요. 그리고 진짜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몰라서..."

뒤집어보면 나만의 방식으로 작품을 보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감상법이라는 얘깁니다.

<인터뷰> 임대근(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 "제목달기의 권한을 대중들에게 돌려줘서 대중이 마음대로 제목을 붙이고 자기의 상상력을 더해서 작품을 해석하라는 의미에서..."

나만의 제목을 곰곰히 생각해 볼 때 관객은 이미 작품과 대화를 시작한 겁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