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세균 전쟁’ 어린이 만화영화 방영으로 경각심
입력 2015.06.06 (07:25)
수정 2015.06.06 (10: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의료 환경이 열악한 북한에서는 특히 사망률이 높은 어린이 건강이 걱정거리인데요.
그래서 '세균 전쟁'을 소재로 한 어린이 만화영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건강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고 있다고 합니다.
박진희 북한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병에 걸린 소년이 알약을 먹자 '약 병사'들이 낙하산을 타고 전선으로 투입됩니다.
몸 곳곳을 장악하고 있던 '세균 병사'들과의 한판 대결이 펼쳐집니다.
<녹취> "야, 이놈들아. 독성 물총을 쏴라, 쏴! (약 물총 사격!)"
'약 병사'들의 공세에 밀린 '세균 병사'들은 시간 끌기 작전으로 전환합니다.
<녹취> "저놈들이 여섯 시간만 지나면 탄약이 떨어진다. 퇴각하면서 시간을 끌라,시간을!"
이 상황을 알 리 없는 주인공 소년은 몸이 다 나은 줄 알고 약을 먹지 않습니다.
감기에 걸린 소년이 알약을 먹기 싫어 반만 잘라 먹은 이야기입니다.
<녹취> "야, 룡남이가 약을 반 알 먹은 덕에 우리가 살았다."
승승장구하던 약 병사들은 더이상의 지원군이 없어 결국은 세균에 지고 맙니다.
약을 꺼리는 아이들에게 왜 약을 끝까지 먹어야 하는지를 세균과의 전쟁에 빗댄 만화영화들입니다.
북한의 5살 이하 어린이 사망률은 2013년 기준으로 천 명에 27명.
우리의 7배에 달할 정도로 취약합니다.
건강문제를 다룬 만화영화를 잇따라 방영하는 것은 열악한 의료 환경에서 어린이 스스로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의료 환경이 열악한 북한에서는 특히 사망률이 높은 어린이 건강이 걱정거리인데요.
그래서 '세균 전쟁'을 소재로 한 어린이 만화영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건강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고 있다고 합니다.
박진희 북한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병에 걸린 소년이 알약을 먹자 '약 병사'들이 낙하산을 타고 전선으로 투입됩니다.
몸 곳곳을 장악하고 있던 '세균 병사'들과의 한판 대결이 펼쳐집니다.
<녹취> "야, 이놈들아. 독성 물총을 쏴라, 쏴! (약 물총 사격!)"
'약 병사'들의 공세에 밀린 '세균 병사'들은 시간 끌기 작전으로 전환합니다.
<녹취> "저놈들이 여섯 시간만 지나면 탄약이 떨어진다. 퇴각하면서 시간을 끌라,시간을!"
이 상황을 알 리 없는 주인공 소년은 몸이 다 나은 줄 알고 약을 먹지 않습니다.
감기에 걸린 소년이 알약을 먹기 싫어 반만 잘라 먹은 이야기입니다.
<녹취> "야, 룡남이가 약을 반 알 먹은 덕에 우리가 살았다."
승승장구하던 약 병사들은 더이상의 지원군이 없어 결국은 세균에 지고 맙니다.
약을 꺼리는 아이들에게 왜 약을 끝까지 먹어야 하는지를 세균과의 전쟁에 빗댄 만화영화들입니다.
북한의 5살 이하 어린이 사망률은 2013년 기준으로 천 명에 27명.
우리의 7배에 달할 정도로 취약합니다.
건강문제를 다룬 만화영화를 잇따라 방영하는 것은 열악한 의료 환경에서 어린이 스스로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세균 전쟁’ 어린이 만화영화 방영으로 경각심
-
- 입력 2015-06-06 07:27:31
- 수정2015-06-06 10:09:30

<앵커 멘트>
의료 환경이 열악한 북한에서는 특히 사망률이 높은 어린이 건강이 걱정거리인데요.
그래서 '세균 전쟁'을 소재로 한 어린이 만화영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건강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고 있다고 합니다.
박진희 북한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병에 걸린 소년이 알약을 먹자 '약 병사'들이 낙하산을 타고 전선으로 투입됩니다.
몸 곳곳을 장악하고 있던 '세균 병사'들과의 한판 대결이 펼쳐집니다.
<녹취> "야, 이놈들아. 독성 물총을 쏴라, 쏴! (약 물총 사격!)"
'약 병사'들의 공세에 밀린 '세균 병사'들은 시간 끌기 작전으로 전환합니다.
<녹취> "저놈들이 여섯 시간만 지나면 탄약이 떨어진다. 퇴각하면서 시간을 끌라,시간을!"
이 상황을 알 리 없는 주인공 소년은 몸이 다 나은 줄 알고 약을 먹지 않습니다.
감기에 걸린 소년이 알약을 먹기 싫어 반만 잘라 먹은 이야기입니다.
<녹취> "야, 룡남이가 약을 반 알 먹은 덕에 우리가 살았다."
승승장구하던 약 병사들은 더이상의 지원군이 없어 결국은 세균에 지고 맙니다.
약을 꺼리는 아이들에게 왜 약을 끝까지 먹어야 하는지를 세균과의 전쟁에 빗댄 만화영화들입니다.
북한의 5살 이하 어린이 사망률은 2013년 기준으로 천 명에 27명.
우리의 7배에 달할 정도로 취약합니다.
건강문제를 다룬 만화영화를 잇따라 방영하는 것은 열악한 의료 환경에서 어린이 스스로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의료 환경이 열악한 북한에서는 특히 사망률이 높은 어린이 건강이 걱정거리인데요.
그래서 '세균 전쟁'을 소재로 한 어린이 만화영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건강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고 있다고 합니다.
박진희 북한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병에 걸린 소년이 알약을 먹자 '약 병사'들이 낙하산을 타고 전선으로 투입됩니다.
몸 곳곳을 장악하고 있던 '세균 병사'들과의 한판 대결이 펼쳐집니다.
<녹취> "야, 이놈들아. 독성 물총을 쏴라, 쏴! (약 물총 사격!)"
'약 병사'들의 공세에 밀린 '세균 병사'들은 시간 끌기 작전으로 전환합니다.
<녹취> "저놈들이 여섯 시간만 지나면 탄약이 떨어진다. 퇴각하면서 시간을 끌라,시간을!"
이 상황을 알 리 없는 주인공 소년은 몸이 다 나은 줄 알고 약을 먹지 않습니다.
감기에 걸린 소년이 알약을 먹기 싫어 반만 잘라 먹은 이야기입니다.
<녹취> "야, 룡남이가 약을 반 알 먹은 덕에 우리가 살았다."
승승장구하던 약 병사들은 더이상의 지원군이 없어 결국은 세균에 지고 맙니다.
약을 꺼리는 아이들에게 왜 약을 끝까지 먹어야 하는지를 세균과의 전쟁에 빗댄 만화영화들입니다.
북한의 5살 이하 어린이 사망률은 2013년 기준으로 천 명에 27명.
우리의 7배에 달할 정도로 취약합니다.
건강문제를 다룬 만화영화를 잇따라 방영하는 것은 열악한 의료 환경에서 어린이 스스로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박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