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거대한 풀밭으로 변한 소양호 강바닥

입력 2015.06.06 (07:40) 수정 2015.06.06 (09: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42년 만의 가뭄 속에서 물이 말라 버린 소양호 상류가 거대한 풀밭으로 변해버렸습니다.

호수에서 고기를 잡던 어민들은 공공 근로사업을 하면서 생계를 버티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가 현장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강 바닥이 사막을 연상시킵니다.

바짝 말라 곳곳이 갈라져 있고, 거대한 강이 흘렀던 자리엔 실개천만 남았습니다.

그 많던 물이 어디로 갔는지, 호수는 거대한 풀밭으로 변해버렸습니다.

강물이 흘러야 할 소양호 바닥에는 물이 빠지면서 어른 허리 높이만큼 수풀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고기를 잡던 배들은 강바닥에 주저 앉은 지 오래입니다.

일터를 잃은 어민은 공공근로 사업으로 생계를 버티고 있습니다.

<녹취> 최재영(소양호 어민) : "하루 일당제 청소하고 있어요. 어민들이 먹을 게 없어서요."

한 방울이라고 찾기 위해 종일 강 바닥을 팠지만, 작은 웅덩이를 만드는 데 그쳤습니다.

급한 마음에 관정도 파 보지만, 지하수 대신 먼지만 날립니다.

<인터뷰> 김수원(농민) : "물을 한두 번 준다고 해도 계속 가물면 죽지요. 타 죽지요. 아주 가물어가지고.."

42년 만의 가뭄 속에서 일부 천수답은 모내기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밭에서 기른 작물은 시들다 못해 타들어 가고 있습니다.

최악의 가뭄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뭄’ 거대한 풀밭으로 변한 소양호 강바닥
    • 입력 2015-06-06 07:41:57
    • 수정2015-06-06 09:25:28
    뉴스광장
<앵커 멘트>

42년 만의 가뭄 속에서 물이 말라 버린 소양호 상류가 거대한 풀밭으로 변해버렸습니다.

호수에서 고기를 잡던 어민들은 공공 근로사업을 하면서 생계를 버티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가 현장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강 바닥이 사막을 연상시킵니다.

바짝 말라 곳곳이 갈라져 있고, 거대한 강이 흘렀던 자리엔 실개천만 남았습니다.

그 많던 물이 어디로 갔는지, 호수는 거대한 풀밭으로 변해버렸습니다.

강물이 흘러야 할 소양호 바닥에는 물이 빠지면서 어른 허리 높이만큼 수풀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고기를 잡던 배들은 강바닥에 주저 앉은 지 오래입니다.

일터를 잃은 어민은 공공근로 사업으로 생계를 버티고 있습니다.

<녹취> 최재영(소양호 어민) : "하루 일당제 청소하고 있어요. 어민들이 먹을 게 없어서요."

한 방울이라고 찾기 위해 종일 강 바닥을 팠지만, 작은 웅덩이를 만드는 데 그쳤습니다.

급한 마음에 관정도 파 보지만, 지하수 대신 먼지만 날립니다.

<인터뷰> 김수원(농민) : "물을 한두 번 준다고 해도 계속 가물면 죽지요. 타 죽지요. 아주 가물어가지고.."

42년 만의 가뭄 속에서 일부 천수답은 모내기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밭에서 기른 작물은 시들다 못해 타들어 가고 있습니다.

최악의 가뭄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