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생계 걱정 ‘또 다른 고통’

입력 2015.06.16 (23:14) 수정 2015.06.17 (0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실제로 격리자들은 감염의 두려움과 활동의 제한으로 마음 고생이 심합니다.

특히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과 생활비를 그날 그날 벌어야하는 빈곤층은 생계마저 위협받는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삼성서울병원 응급 이송요원인 50대 남성이 발열 등 메르스 증세를 처음 느낀 건 지난 2일입니다.

하지만, 약으로만 버티면서 9일 동안이나 일했고 뒤늦게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동료 요원들은 같은 상황에 처하면 자신들도 증상을 쉬쉬할 수 밖에 없었을 거라고 말합니다.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녹취> 병원 비정규직 이송요원(음성변조) : "메르스 감염됐다고 하면 재계약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최대한 혼자 숨기고 나으려고 한 걸 거예요. 저 역시도 그런 생각을…"

하루 벌어 하루 생활하는 일용직은 사정이 더 절박합니다.

최대 2주 동안 자가 격리에 처해 있다 결국 일자리를 잃고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녹취> 메르스 자가격리자(음성변조) : "일자리까지 잘려가면서 집에 있었어요. 저희 사장님이 겁먹어서 '안 되겠다 네가 쉬어라'고. 지금 3일 동안 화장실에서 물 떠먹고 있고…"

정부는 자가 격리자에게 10만 원 상당의 생필품을 지급하고 긴급 생계비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서울만 해도 자가 격리자 천 7백여 명 가운데 생계비를 신청한 경우는 아직 10여 가구에 불과합니다.

자가격리자가 5천 명 선을 넘어서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빈곤층이 얼마나 되는 지는 아직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연관기사]

☞ [인터랙티브] ‘국민안심병원’ 어디? 쉽게 확인하세요

☞ [인터랙티브] 메르스 감염 실태, 한눈에 보기

☞ [인터랙티브] 추적! ‘메르스’ 이렇게 퍼졌다!

☞ [인포그래픽] 지도와 통계로 보는 메르스

☞ [인포그래픽] 그림으로 보는 메르스 발생 현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자리·생계 걱정 ‘또 다른 고통’
    • 입력 2015-06-16 23:18:21
    • 수정2015-06-17 01:41:43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실제로 격리자들은 감염의 두려움과 활동의 제한으로 마음 고생이 심합니다.

특히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과 생활비를 그날 그날 벌어야하는 빈곤층은 생계마저 위협받는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삼성서울병원 응급 이송요원인 50대 남성이 발열 등 메르스 증세를 처음 느낀 건 지난 2일입니다.

하지만, 약으로만 버티면서 9일 동안이나 일했고 뒤늦게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동료 요원들은 같은 상황에 처하면 자신들도 증상을 쉬쉬할 수 밖에 없었을 거라고 말합니다.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녹취> 병원 비정규직 이송요원(음성변조) : "메르스 감염됐다고 하면 재계약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최대한 혼자 숨기고 나으려고 한 걸 거예요. 저 역시도 그런 생각을…"

하루 벌어 하루 생활하는 일용직은 사정이 더 절박합니다.

최대 2주 동안 자가 격리에 처해 있다 결국 일자리를 잃고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녹취> 메르스 자가격리자(음성변조) : "일자리까지 잘려가면서 집에 있었어요. 저희 사장님이 겁먹어서 '안 되겠다 네가 쉬어라'고. 지금 3일 동안 화장실에서 물 떠먹고 있고…"

정부는 자가 격리자에게 10만 원 상당의 생필품을 지급하고 긴급 생계비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서울만 해도 자가 격리자 천 7백여 명 가운데 생계비를 신청한 경우는 아직 10여 가구에 불과합니다.

자가격리자가 5천 명 선을 넘어서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빈곤층이 얼마나 되는 지는 아직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연관기사]

☞ [인터랙티브] ‘국민안심병원’ 어디? 쉽게 확인하세요

☞ [인터랙티브] 메르스 감염 실태, 한눈에 보기

☞ [인터랙티브] 추적! ‘메르스’ 이렇게 퍼졌다!

☞ [인포그래픽] 지도와 통계로 보는 메르스

☞ [인포그래픽] 그림으로 보는 메르스 발생 현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