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인지 염전인지…” 가뭄에 염해까지 ‘이중고’
입력 2015.06.17 (09:40)
수정 2015.06.17 (1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극심한 가뭄이 길어지면서, 논이 소금기에 찌드는 '염해'까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게 논인지 염전인지… 헷갈릴 정도인 곳도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도 가도 사방이 말라 죽어가는 모뿐입니다.
해갈의 기미조차 없는 강화도 농지입니다.
그 중에서도 바닷가 농지가 가장 심각합니다.
논 곳곳이 희멀겋게 변했습니다.
<녹취> "이게 다 염(소금)기에요. 소금물이죠."
논물이 마르자 소금기가 논을 뒤덮은 겁니다.
<인터뷰> 김형근(강화군 농민) : "내년에도 피해가 있죠. 이런 논은. (내년까지 피해? 왜 그렇습니까?) 염(소금)기가 계속 남아 있으니까…"
아무리 가뭄이 심하다지만, 논이 염전처럼 된 이유는 뭘까?
인근의 유일한 농업 용수가 짠물로 변해버렸기 때문입니다.
소금기를 못 견딘 민물고기 사체가 가득합니다.
염도를 재보니 0.5%대, 농업 허용치 2배를 넘었습니다.
바닷물 절반 수준이 넘는 2%인 곳도 있을 정도입니다.
강물이 워낙 줄다 보니 바닷물이 강으로 계속 들어오는데, 하구 갑문이 바닷물을 완전히 막지 못하는 탓입니다.
갑문 사이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건 사리 때가 아닌 평상시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바닷물이 유입되는 소리를 귀로도 쉽게 들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인터뷰> 김태용(강화군 망월리 이장) : "(염해가)30만평 정도 돼요. 거의 반 이상은 우리 부락 주민의 반 정도는 피해를 본 거예요."
강화 뿐 아니라 김포,파주 등의 해안 농지에서도 염해가 속출하고 있지만 피해 규모를 집계하는 기관조차 없는 게 현실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극심한 가뭄이 길어지면서, 논이 소금기에 찌드는 '염해'까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게 논인지 염전인지… 헷갈릴 정도인 곳도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도 가도 사방이 말라 죽어가는 모뿐입니다.
해갈의 기미조차 없는 강화도 농지입니다.
그 중에서도 바닷가 농지가 가장 심각합니다.
논 곳곳이 희멀겋게 변했습니다.
<녹취> "이게 다 염(소금)기에요. 소금물이죠."
논물이 마르자 소금기가 논을 뒤덮은 겁니다.
<인터뷰> 김형근(강화군 농민) : "내년에도 피해가 있죠. 이런 논은. (내년까지 피해? 왜 그렇습니까?) 염(소금)기가 계속 남아 있으니까…"
아무리 가뭄이 심하다지만, 논이 염전처럼 된 이유는 뭘까?
인근의 유일한 농업 용수가 짠물로 변해버렸기 때문입니다.
소금기를 못 견딘 민물고기 사체가 가득합니다.
염도를 재보니 0.5%대, 농업 허용치 2배를 넘었습니다.
바닷물 절반 수준이 넘는 2%인 곳도 있을 정도입니다.
강물이 워낙 줄다 보니 바닷물이 강으로 계속 들어오는데, 하구 갑문이 바닷물을 완전히 막지 못하는 탓입니다.
갑문 사이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건 사리 때가 아닌 평상시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바닷물이 유입되는 소리를 귀로도 쉽게 들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인터뷰> 김태용(강화군 망월리 이장) : "(염해가)30만평 정도 돼요. 거의 반 이상은 우리 부락 주민의 반 정도는 피해를 본 거예요."
강화 뿐 아니라 김포,파주 등의 해안 농지에서도 염해가 속출하고 있지만 피해 규모를 집계하는 기관조차 없는 게 현실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논인지 염전인지…” 가뭄에 염해까지 ‘이중고’
-
- 입력 2015-06-17 09:41:56
- 수정2015-06-17 10:03:13
<앵커 멘트>
극심한 가뭄이 길어지면서, 논이 소금기에 찌드는 '염해'까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게 논인지 염전인지… 헷갈릴 정도인 곳도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도 가도 사방이 말라 죽어가는 모뿐입니다.
해갈의 기미조차 없는 강화도 농지입니다.
그 중에서도 바닷가 농지가 가장 심각합니다.
논 곳곳이 희멀겋게 변했습니다.
<녹취> "이게 다 염(소금)기에요. 소금물이죠."
논물이 마르자 소금기가 논을 뒤덮은 겁니다.
<인터뷰> 김형근(강화군 농민) : "내년에도 피해가 있죠. 이런 논은. (내년까지 피해? 왜 그렇습니까?) 염(소금)기가 계속 남아 있으니까…"
아무리 가뭄이 심하다지만, 논이 염전처럼 된 이유는 뭘까?
인근의 유일한 농업 용수가 짠물로 변해버렸기 때문입니다.
소금기를 못 견딘 민물고기 사체가 가득합니다.
염도를 재보니 0.5%대, 농업 허용치 2배를 넘었습니다.
바닷물 절반 수준이 넘는 2%인 곳도 있을 정도입니다.
강물이 워낙 줄다 보니 바닷물이 강으로 계속 들어오는데, 하구 갑문이 바닷물을 완전히 막지 못하는 탓입니다.
갑문 사이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건 사리 때가 아닌 평상시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바닷물이 유입되는 소리를 귀로도 쉽게 들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인터뷰> 김태용(강화군 망월리 이장) : "(염해가)30만평 정도 돼요. 거의 반 이상은 우리 부락 주민의 반 정도는 피해를 본 거예요."
강화 뿐 아니라 김포,파주 등의 해안 농지에서도 염해가 속출하고 있지만 피해 규모를 집계하는 기관조차 없는 게 현실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극심한 가뭄이 길어지면서, 논이 소금기에 찌드는 '염해'까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게 논인지 염전인지… 헷갈릴 정도인 곳도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도 가도 사방이 말라 죽어가는 모뿐입니다.
해갈의 기미조차 없는 강화도 농지입니다.
그 중에서도 바닷가 농지가 가장 심각합니다.
논 곳곳이 희멀겋게 변했습니다.
<녹취> "이게 다 염(소금)기에요. 소금물이죠."
논물이 마르자 소금기가 논을 뒤덮은 겁니다.
<인터뷰> 김형근(강화군 농민) : "내년에도 피해가 있죠. 이런 논은. (내년까지 피해? 왜 그렇습니까?) 염(소금)기가 계속 남아 있으니까…"
아무리 가뭄이 심하다지만, 논이 염전처럼 된 이유는 뭘까?
인근의 유일한 농업 용수가 짠물로 변해버렸기 때문입니다.
소금기를 못 견딘 민물고기 사체가 가득합니다.
염도를 재보니 0.5%대, 농업 허용치 2배를 넘었습니다.
바닷물 절반 수준이 넘는 2%인 곳도 있을 정도입니다.
강물이 워낙 줄다 보니 바닷물이 강으로 계속 들어오는데, 하구 갑문이 바닷물을 완전히 막지 못하는 탓입니다.
갑문 사이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건 사리 때가 아닌 평상시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바닷물이 유입되는 소리를 귀로도 쉽게 들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인터뷰> 김태용(강화군 망월리 이장) : "(염해가)30만평 정도 돼요. 거의 반 이상은 우리 부락 주민의 반 정도는 피해를 본 거예요."
강화 뿐 아니라 김포,파주 등의 해안 농지에서도 염해가 속출하고 있지만 피해 규모를 집계하는 기관조차 없는 게 현실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
김준범 기자 jbkim@kbs.co.kr
김준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