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여 년 간 무허가 판자촌이던 서울 개포동 영동2교 주변 지역에 대해 대대적인 환경정비가 이뤄집니다.
정비대상 지역은 개포동 일대 266제곱미터 규모의 시유지로 30년 전 오갈 데 없던 주민들이 목재와 비닐, 천 등을 엮어 창고 2개 동의 판잣집을 만들어 7세대가 살던 곳입니다.
서울 강남구는 지난 2월 무허가 판자촌 전담부서를 만들어 도심 속 흉물이었던 이 지역에 대한 정비에 나섰지만 일부 잔여 가구가 임대주택 이주를 거부해 정비가 지연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강남구는 이달 말 정비가 완료되면, 이 곳에 꽃단지를 만들어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비대상 지역은 개포동 일대 266제곱미터 규모의 시유지로 30년 전 오갈 데 없던 주민들이 목재와 비닐, 천 등을 엮어 창고 2개 동의 판잣집을 만들어 7세대가 살던 곳입니다.
서울 강남구는 지난 2월 무허가 판자촌 전담부서를 만들어 도심 속 흉물이었던 이 지역에 대한 정비에 나섰지만 일부 잔여 가구가 임대주택 이주를 거부해 정비가 지연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강남구는 이달 말 정비가 완료되면, 이 곳에 꽃단지를 만들어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남 영동2교 주변 무허가 판자촌 정비 착수
-
- 입력 2015-06-22 09:18:04
30여 년 간 무허가 판자촌이던 서울 개포동 영동2교 주변 지역에 대해 대대적인 환경정비가 이뤄집니다.
정비대상 지역은 개포동 일대 266제곱미터 규모의 시유지로 30년 전 오갈 데 없던 주민들이 목재와 비닐, 천 등을 엮어 창고 2개 동의 판잣집을 만들어 7세대가 살던 곳입니다.
서울 강남구는 지난 2월 무허가 판자촌 전담부서를 만들어 도심 속 흉물이었던 이 지역에 대한 정비에 나섰지만 일부 잔여 가구가 임대주택 이주를 거부해 정비가 지연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강남구는 이달 말 정비가 완료되면, 이 곳에 꽃단지를 만들어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
-
김상협 기자 kshsg89@kbs.co.kr
김상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