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북한, 2000년 이후 1,382명 공개 처형”

입력 2015.07.01 (16:29) 수정 2015.07.01 (16: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지난 2천년 이후 공개처형한 주민이 천3백명을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은 오늘 발간한 '2015 북한인권백서'에서 2천년부터 지난해까지 15년 동안 누적된 공개처형자 숫자가 모두 천382명으로 추산됐다고 밝혔습니다.

공개처형자 수는 2008년과 2009년에 각각 161명과 160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에는 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같은 수치는 통일연구원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7년간 매년 200~250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를 통해 파악한 결과입니다.

통일연구원은

북한이 지난해 1월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사형이 예외적인 경우에만 시행된다고 밝혔지만, 이번 조사 결과 실제로는 광범위한 범죄에 대해서 사형이 부과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한국 영상물 시청과 유포, 마약 밀수·밀매 등의 행위에 대한 사형 집행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진술을 다수 확보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습니다.

백서에서는 또 동일한 범죄 혐의로 다수의 피고인에 대해 공개재판을 실시하면서 일부는 사형을 집행하고 나머지는 김정은의 배려에 따라 무죄를 선고하고 석방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연구원은 지난 1996년부터 해마다 국문과 영문으로 북한인권백서를 발간해 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통일연구원 “북한, 2000년 이후 1,382명 공개 처형”
    • 입력 2015-07-01 16:29:01
    • 수정2015-07-01 16:35:45
    정치
북한이 지난 2천년 이후 공개처형한 주민이 천3백명을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은 오늘 발간한 '2015 북한인권백서'에서 2천년부터 지난해까지 15년 동안 누적된 공개처형자 숫자가 모두 천382명으로 추산됐다고 밝혔습니다.

공개처형자 수는 2008년과 2009년에 각각 161명과 160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에는 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같은 수치는 통일연구원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7년간 매년 200~250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를 통해 파악한 결과입니다.

통일연구원은

북한이 지난해 1월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사형이 예외적인 경우에만 시행된다고 밝혔지만, 이번 조사 결과 실제로는 광범위한 범죄에 대해서 사형이 부과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한국 영상물 시청과 유포, 마약 밀수·밀매 등의 행위에 대한 사형 집행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진술을 다수 확보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습니다.

백서에서는 또 동일한 범죄 혐의로 다수의 피고인에 대해 공개재판을 실시하면서 일부는 사형을 집행하고 나머지는 김정은의 배려에 따라 무죄를 선고하고 석방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연구원은 지난 1996년부터 해마다 국문과 영문으로 북한인권백서를 발간해 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