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곳곳 ‘산사태’ 우려 여전

입력 2015.07.15 (21:32) 수정 2015.07.15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제 서울의 한 연립주택에서 옹벽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났습니다.

해마다 산사태 복구 비용으로 수백억 원을 쓰고 있지만 도심 곳곳은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산사태 위험 현장을 임명규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주택가 한편에 흙더미와 돌덩이들이 널브러져 있습니다.

태풍 '찬홈'이 뿌린 비로 지반이 약해져 높이 3미터,길이 10미터의 공사장 옹벽이 붕괴된 겁니다.

<녹취> 담당 공무원 : "터 파기 하면서 비도 오고 그러다 보니까 석축 하단부가 약해져서 무너진 것 같습니다."

가파른 경사지에 다세대 주택을 짓고 있는 또 다른 공사장입니다.

토질과 경사도가 산사태에 취약하다며 주민들이 여러 차례 민원을 제기했지만 공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윤정(인근 주민) : "지금도 공사 도중에 돌이라든가 이런 것이 떨어져서 주민들이 놀라고 이런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앞으로 비가 많이 올 경우에...굉장히 우려되고 있습니다."

16명의 목숨을 앗아간 우면산처럼 산사태가 났던 곳의 사후 조치는 제대로 돼 있는지 점검했습니다.

사고 이후 산사태를 막겠다며 사방댐과 함께 건설된 배수로입니다.

지난 주말부터 30밀리미터 넘는 비가 내렸는데도 물이 별로 보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안형준(건국대학교 건축대학 학장) : "제대로 설계를 했다면 저기에 지금 물이 흘러야 되거든요. 근데 물이 흐르지 않는다는 것은 우면산에 내리는 비가 딴 곳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거죠."

산사태 복구에 쓰이는 예산은 한 해 평균 782억 원이나 되지만, 최근 5년 동안 48명이 산사태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해가 갈수록 산사태는 더 자주 일어나고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보다 철저한 예방조치가 절실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심 곳곳 ‘산사태’ 우려 여전
    • 입력 2015-07-15 21:48:53
    • 수정2015-07-15 21:56:10
    뉴스9(경인)
<앵커 멘트>

어제 서울의 한 연립주택에서 옹벽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났습니다.

해마다 산사태 복구 비용으로 수백억 원을 쓰고 있지만 도심 곳곳은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산사태 위험 현장을 임명규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주택가 한편에 흙더미와 돌덩이들이 널브러져 있습니다.

태풍 '찬홈'이 뿌린 비로 지반이 약해져 높이 3미터,길이 10미터의 공사장 옹벽이 붕괴된 겁니다.

<녹취> 담당 공무원 : "터 파기 하면서 비도 오고 그러다 보니까 석축 하단부가 약해져서 무너진 것 같습니다."

가파른 경사지에 다세대 주택을 짓고 있는 또 다른 공사장입니다.

토질과 경사도가 산사태에 취약하다며 주민들이 여러 차례 민원을 제기했지만 공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윤정(인근 주민) : "지금도 공사 도중에 돌이라든가 이런 것이 떨어져서 주민들이 놀라고 이런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앞으로 비가 많이 올 경우에...굉장히 우려되고 있습니다."

16명의 목숨을 앗아간 우면산처럼 산사태가 났던 곳의 사후 조치는 제대로 돼 있는지 점검했습니다.

사고 이후 산사태를 막겠다며 사방댐과 함께 건설된 배수로입니다.

지난 주말부터 30밀리미터 넘는 비가 내렸는데도 물이 별로 보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안형준(건국대학교 건축대학 학장) : "제대로 설계를 했다면 저기에 지금 물이 흘러야 되거든요. 근데 물이 흐르지 않는다는 것은 우면산에 내리는 비가 딴 곳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거죠."

산사태 복구에 쓰이는 예산은 한 해 평균 782억 원이나 되지만, 최근 5년 동안 48명이 산사태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해가 갈수록 산사태는 더 자주 일어나고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보다 철저한 예방조치가 절실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