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노인 목 혈관벽 두께, 2배 이상 두꺼워”

입력 2015.07.16 (17:31) 수정 2015.07.16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치매환자는 43만여 명으로 지난해보다 13%나 증가했습니다.

치매가 무서운 건 어떤 사람이 취약하고 왜 걸리는지 그 원인을 아직 알 수 없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치매에 걸릴 확률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곧 나올 것 같다고 합니다.

분당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300명이 넘는 노인들을 5년 동안 관찰해 봤는데요.

혈압과 혈답, 콜레스테롤이나 간수치 모두 정상 노인과 치매 노인은 차이가 없었는데 단 한 가지에서 차이가 났다고 합니다.

바로 목 혈관벽 두께가 정상 노인에 비해서 2배 이상 두꺼웠던 겁니다.

이 목 혈관은 머리로 피를 보내주는데요.

노폐물이 쌓여 혈관벽이 두꺼워지면 뇌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고 이게 치매로 이어진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습니다.

목 혈관이 0.1mm 두꺼워질 때마다 치매에 걸릴 위험은 25%씩 높아진다고 하니까 이 혈관성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유산소운동을 열심히 하면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치매 노인 목 혈관벽 두께, 2배 이상 두꺼워”
    • 입력 2015-07-16 18:08:16
    • 수정2015-07-16 22:30:59
    시사진단
지난해 치매환자는 43만여 명으로 지난해보다 13%나 증가했습니다.

치매가 무서운 건 어떤 사람이 취약하고 왜 걸리는지 그 원인을 아직 알 수 없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치매에 걸릴 확률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곧 나올 것 같다고 합니다.

분당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300명이 넘는 노인들을 5년 동안 관찰해 봤는데요.

혈압과 혈답, 콜레스테롤이나 간수치 모두 정상 노인과 치매 노인은 차이가 없었는데 단 한 가지에서 차이가 났다고 합니다.

바로 목 혈관벽 두께가 정상 노인에 비해서 2배 이상 두꺼웠던 겁니다.

이 목 혈관은 머리로 피를 보내주는데요.

노폐물이 쌓여 혈관벽이 두꺼워지면 뇌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고 이게 치매로 이어진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습니다.

목 혈관이 0.1mm 두꺼워질 때마다 치매에 걸릴 위험은 25%씩 높아진다고 하니까 이 혈관성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유산소운동을 열심히 하면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