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세계는] 중국, ‘한 자녀 정책’ 폐기 임박…“그래도 안 낳겠다”
입력 2015.08.04 (07:25)
수정 2015.08.04 (0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14억 인구 대국 중국, 인구 억제를 위해 30년 넘게 한 자녀 정책을 고수해 왔지만 조만간 이 원칙을 폐기하고 두 자녀를 전면 허용할 태세입니다.
아기를 적게 낳다 보니 경제활동 인구는 줄고 노인 인구 비율이 늘어나기 때문인데, 경제성장 둔화와 함께 새 인구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베이징 김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요즘 중국 젊은 부부들의 화두는 둘째를 낳을 거냐입니다.
두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소식이 일단 반갑긴 하지만 실제 둘째를 갖는 데는 주저합니다.
치솟는 주거비와 교육비 때문입니다.
<인터뷰> 시빙팅(베이징 시민) : "국가에서 보육정책에 도움을 주지도 않는 데, 둘째 아이를 낳아서 부모님과 우리 부부에게 부담을 주지는 않을 겁니다."
0살부터 14살까지의 중국 인구 비율은 16.5%, 전 세계 평균 수치 26%에 한참 모자랍니다.
그러나 60살 이상 노인 비율은 2억 천 2백만 명으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한 자녀가 최고 6명을 부양해야 하는 '한 자녀 정책'을 더는 유지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더구나 노인 복지 체계가 미흡한 중국 정부로서는 엄청난 복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장상췬(교수/런민대학) : "지금 중국 노인 계층에서 정부의 노인 복지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은 1%도 안 되는 실정입니다."
중국 경제활동인구는 2011년 이후 급속하게 줄고 있고, 올해 7% 성장도 어렵다는 분석들이 적잖습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2자녀 낳기 허용과 늙어가는 중국,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셈법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진우입니다.
14억 인구 대국 중국, 인구 억제를 위해 30년 넘게 한 자녀 정책을 고수해 왔지만 조만간 이 원칙을 폐기하고 두 자녀를 전면 허용할 태세입니다.
아기를 적게 낳다 보니 경제활동 인구는 줄고 노인 인구 비율이 늘어나기 때문인데, 경제성장 둔화와 함께 새 인구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베이징 김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요즘 중국 젊은 부부들의 화두는 둘째를 낳을 거냐입니다.
두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소식이 일단 반갑긴 하지만 실제 둘째를 갖는 데는 주저합니다.
치솟는 주거비와 교육비 때문입니다.
<인터뷰> 시빙팅(베이징 시민) : "국가에서 보육정책에 도움을 주지도 않는 데, 둘째 아이를 낳아서 부모님과 우리 부부에게 부담을 주지는 않을 겁니다."
0살부터 14살까지의 중국 인구 비율은 16.5%, 전 세계 평균 수치 26%에 한참 모자랍니다.
그러나 60살 이상 노인 비율은 2억 천 2백만 명으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한 자녀가 최고 6명을 부양해야 하는 '한 자녀 정책'을 더는 유지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더구나 노인 복지 체계가 미흡한 중국 정부로서는 엄청난 복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장상췬(교수/런민대학) : "지금 중국 노인 계층에서 정부의 노인 복지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은 1%도 안 되는 실정입니다."
중국 경제활동인구는 2011년 이후 급속하게 줄고 있고, 올해 7% 성장도 어렵다는 분석들이 적잖습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2자녀 낳기 허용과 늙어가는 중국,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셈법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진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금 세계는] 중국, ‘한 자녀 정책’ 폐기 임박…“그래도 안 낳겠다”
-
- 입력 2015-08-04 07:26:55
- 수정2015-08-04 08:07:09

<앵커 멘트>
14억 인구 대국 중국, 인구 억제를 위해 30년 넘게 한 자녀 정책을 고수해 왔지만 조만간 이 원칙을 폐기하고 두 자녀를 전면 허용할 태세입니다.
아기를 적게 낳다 보니 경제활동 인구는 줄고 노인 인구 비율이 늘어나기 때문인데, 경제성장 둔화와 함께 새 인구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베이징 김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요즘 중국 젊은 부부들의 화두는 둘째를 낳을 거냐입니다.
두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소식이 일단 반갑긴 하지만 실제 둘째를 갖는 데는 주저합니다.
치솟는 주거비와 교육비 때문입니다.
<인터뷰> 시빙팅(베이징 시민) : "국가에서 보육정책에 도움을 주지도 않는 데, 둘째 아이를 낳아서 부모님과 우리 부부에게 부담을 주지는 않을 겁니다."
0살부터 14살까지의 중국 인구 비율은 16.5%, 전 세계 평균 수치 26%에 한참 모자랍니다.
그러나 60살 이상 노인 비율은 2억 천 2백만 명으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한 자녀가 최고 6명을 부양해야 하는 '한 자녀 정책'을 더는 유지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더구나 노인 복지 체계가 미흡한 중국 정부로서는 엄청난 복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장상췬(교수/런민대학) : "지금 중국 노인 계층에서 정부의 노인 복지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은 1%도 안 되는 실정입니다."
중국 경제활동인구는 2011년 이후 급속하게 줄고 있고, 올해 7% 성장도 어렵다는 분석들이 적잖습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2자녀 낳기 허용과 늙어가는 중국,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셈법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진우입니다.
14억 인구 대국 중국, 인구 억제를 위해 30년 넘게 한 자녀 정책을 고수해 왔지만 조만간 이 원칙을 폐기하고 두 자녀를 전면 허용할 태세입니다.
아기를 적게 낳다 보니 경제활동 인구는 줄고 노인 인구 비율이 늘어나기 때문인데, 경제성장 둔화와 함께 새 인구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베이징 김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요즘 중국 젊은 부부들의 화두는 둘째를 낳을 거냐입니다.
두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소식이 일단 반갑긴 하지만 실제 둘째를 갖는 데는 주저합니다.
치솟는 주거비와 교육비 때문입니다.
<인터뷰> 시빙팅(베이징 시민) : "국가에서 보육정책에 도움을 주지도 않는 데, 둘째 아이를 낳아서 부모님과 우리 부부에게 부담을 주지는 않을 겁니다."
0살부터 14살까지의 중국 인구 비율은 16.5%, 전 세계 평균 수치 26%에 한참 모자랍니다.
그러나 60살 이상 노인 비율은 2억 천 2백만 명으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한 자녀가 최고 6명을 부양해야 하는 '한 자녀 정책'을 더는 유지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더구나 노인 복지 체계가 미흡한 중국 정부로서는 엄청난 복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장상췬(교수/런민대학) : "지금 중국 노인 계층에서 정부의 노인 복지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은 1%도 안 되는 실정입니다."
중국 경제활동인구는 2011년 이후 급속하게 줄고 있고, 올해 7% 성장도 어렵다는 분석들이 적잖습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2자녀 낳기 허용과 늙어가는 중국,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셈법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진우입니다.
-
-
김진우 기자 kjinwoo@kbs.co.kr
김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