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장수수당, 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
입력 2015.08.19 (07:40)
수정 2015.08.19 (0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상당수 기초자치단체들이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지급하는 '장수 수당'라는 게 있는데요.
정부가 기초연금과 중복된다는 이유료 폐지를 권고하면서 자치단체들이 고민에 빠졌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머리가 희끗한 노인들이 복지관에서 운동을 배우고 있습니다.
60대부터 90대까지 연령층은 다양하지만, 생활비 걱정은 다르지 않습니다.
대부분 정부가 주는 기초연금과 자치단체가 주는 '장수수당'이 주 수입입니다.
이 때문에, 장수수당이 없어질 수 있다는 소식에 걱정이 많습니다.
<인터뷰> 차학윤(90살) : "3만 원이라는 돈을 삭감한다고 했을 때는 크게 실망감을 느낄 수밖에 없잖아요."
장수수당이 사라질 처지에 놓인 건 정부가 기초연금과 혜택이 중복된다며 폐지를 권고했기 때문입니다.
장수수당을 주는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87곳.
경기도에서도 31개 시군 가운데 20곳에 이릅니다.
80~90대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2~3만 원씩 지급됩니다.
성남시를 비롯한 일부 자치단체는 정부 권고대로 폐지 방침을 밝혔지만, 상당수 자치단체들은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녹취> 00시 관계자(음성변조) : "받던 게 중단되면 아무래도 받는 분 입장에선 손해본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거든요."
<녹취> 00군 관계자(음성변조) : "다른 지자체는 어떻게 하는지 이런 걸 보고지금 내부 의견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단돈 몇 푼이라도 벌기 위해 폐지를 줍는 노인이 적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일정 소득 이하의 고령자에게라도 장수수당을 계속 지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상당수 기초자치단체들이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지급하는 '장수 수당'라는 게 있는데요.
정부가 기초연금과 중복된다는 이유료 폐지를 권고하면서 자치단체들이 고민에 빠졌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머리가 희끗한 노인들이 복지관에서 운동을 배우고 있습니다.
60대부터 90대까지 연령층은 다양하지만, 생활비 걱정은 다르지 않습니다.
대부분 정부가 주는 기초연금과 자치단체가 주는 '장수수당'이 주 수입입니다.
이 때문에, 장수수당이 없어질 수 있다는 소식에 걱정이 많습니다.
<인터뷰> 차학윤(90살) : "3만 원이라는 돈을 삭감한다고 했을 때는 크게 실망감을 느낄 수밖에 없잖아요."
장수수당이 사라질 처지에 놓인 건 정부가 기초연금과 혜택이 중복된다며 폐지를 권고했기 때문입니다.
장수수당을 주는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87곳.
경기도에서도 31개 시군 가운데 20곳에 이릅니다.
80~90대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2~3만 원씩 지급됩니다.
성남시를 비롯한 일부 자치단체는 정부 권고대로 폐지 방침을 밝혔지만, 상당수 자치단체들은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녹취> 00시 관계자(음성변조) : "받던 게 중단되면 아무래도 받는 분 입장에선 손해본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거든요."
<녹취> 00군 관계자(음성변조) : "다른 지자체는 어떻게 하는지 이런 걸 보고지금 내부 의견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단돈 몇 푼이라도 벌기 위해 폐지를 줍는 노인이 적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일정 소득 이하의 고령자에게라도 장수수당을 계속 지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자체들 “장수수당, 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
-
- 입력 2015-08-19 07:42:56
- 수정2015-08-19 08:29:53

<앵커 멘트>
상당수 기초자치단체들이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지급하는 '장수 수당'라는 게 있는데요.
정부가 기초연금과 중복된다는 이유료 폐지를 권고하면서 자치단체들이 고민에 빠졌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머리가 희끗한 노인들이 복지관에서 운동을 배우고 있습니다.
60대부터 90대까지 연령층은 다양하지만, 생활비 걱정은 다르지 않습니다.
대부분 정부가 주는 기초연금과 자치단체가 주는 '장수수당'이 주 수입입니다.
이 때문에, 장수수당이 없어질 수 있다는 소식에 걱정이 많습니다.
<인터뷰> 차학윤(90살) : "3만 원이라는 돈을 삭감한다고 했을 때는 크게 실망감을 느낄 수밖에 없잖아요."
장수수당이 사라질 처지에 놓인 건 정부가 기초연금과 혜택이 중복된다며 폐지를 권고했기 때문입니다.
장수수당을 주는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87곳.
경기도에서도 31개 시군 가운데 20곳에 이릅니다.
80~90대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2~3만 원씩 지급됩니다.
성남시를 비롯한 일부 자치단체는 정부 권고대로 폐지 방침을 밝혔지만, 상당수 자치단체들은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녹취> 00시 관계자(음성변조) : "받던 게 중단되면 아무래도 받는 분 입장에선 손해본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거든요."
<녹취> 00군 관계자(음성변조) : "다른 지자체는 어떻게 하는지 이런 걸 보고지금 내부 의견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단돈 몇 푼이라도 벌기 위해 폐지를 줍는 노인이 적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일정 소득 이하의 고령자에게라도 장수수당을 계속 지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상당수 기초자치단체들이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지급하는 '장수 수당'라는 게 있는데요.
정부가 기초연금과 중복된다는 이유료 폐지를 권고하면서 자치단체들이 고민에 빠졌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머리가 희끗한 노인들이 복지관에서 운동을 배우고 있습니다.
60대부터 90대까지 연령층은 다양하지만, 생활비 걱정은 다르지 않습니다.
대부분 정부가 주는 기초연금과 자치단체가 주는 '장수수당'이 주 수입입니다.
이 때문에, 장수수당이 없어질 수 있다는 소식에 걱정이 많습니다.
<인터뷰> 차학윤(90살) : "3만 원이라는 돈을 삭감한다고 했을 때는 크게 실망감을 느낄 수밖에 없잖아요."
장수수당이 사라질 처지에 놓인 건 정부가 기초연금과 혜택이 중복된다며 폐지를 권고했기 때문입니다.
장수수당을 주는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87곳.
경기도에서도 31개 시군 가운데 20곳에 이릅니다.
80~90대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2~3만 원씩 지급됩니다.
성남시를 비롯한 일부 자치단체는 정부 권고대로 폐지 방침을 밝혔지만, 상당수 자치단체들은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녹취> 00시 관계자(음성변조) : "받던 게 중단되면 아무래도 받는 분 입장에선 손해본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거든요."
<녹취> 00군 관계자(음성변조) : "다른 지자체는 어떻게 하는지 이런 걸 보고지금 내부 의견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단돈 몇 푼이라도 벌기 위해 폐지를 줍는 노인이 적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일정 소득 이하의 고령자에게라도 장수수당을 계속 지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
김지선 기자 3rdline@kbs.co.kr
김지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