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장수수당, 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

입력 2015.08.19 (07:40) 수정 2015.08.19 (0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상당수 기초자치단체들이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지급하는 '장수 수당'라는 게 있는데요.

정부가 기초연금과 중복된다는 이유료 폐지를 권고하면서 자치단체들이 고민에 빠졌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머리가 희끗한 노인들이 복지관에서 운동을 배우고 있습니다.

60대부터 90대까지 연령층은 다양하지만, 생활비 걱정은 다르지 않습니다.

대부분 정부가 주는 기초연금과 자치단체가 주는 '장수수당'이 주 수입입니다.

이 때문에, 장수수당이 없어질 수 있다는 소식에 걱정이 많습니다.

<인터뷰> 차학윤(90살) : "3만 원이라는 돈을 삭감한다고 했을 때는 크게 실망감을 느낄 수밖에 없잖아요."

장수수당이 사라질 처지에 놓인 건 정부가 기초연금과 혜택이 중복된다며 폐지를 권고했기 때문입니다.

장수수당을 주는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87곳.

경기도에서도 31개 시군 가운데 20곳에 이릅니다.

80~90대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2~3만 원씩 지급됩니다.

성남시를 비롯한 일부 자치단체는 정부 권고대로 폐지 방침을 밝혔지만, 상당수 자치단체들은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녹취> 00시 관계자(음성변조) : "받던 게 중단되면 아무래도 받는 분 입장에선 손해본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거든요."

<녹취> 00군 관계자(음성변조) : "다른 지자체는 어떻게 하는지 이런 걸 보고지금 내부 의견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단돈 몇 푼이라도 벌기 위해 폐지를 줍는 노인이 적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일정 소득 이하의 고령자에게라도 장수수당을 계속 지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자체들 “장수수당, 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
    • 입력 2015-08-19 07:42:56
    • 수정2015-08-19 08:29:53
    뉴스광장(경인)
<앵커 멘트>

상당수 기초자치단체들이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지급하는 '장수 수당'라는 게 있는데요.

정부가 기초연금과 중복된다는 이유료 폐지를 권고하면서 자치단체들이 고민에 빠졌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머리가 희끗한 노인들이 복지관에서 운동을 배우고 있습니다.

60대부터 90대까지 연령층은 다양하지만, 생활비 걱정은 다르지 않습니다.

대부분 정부가 주는 기초연금과 자치단체가 주는 '장수수당'이 주 수입입니다.

이 때문에, 장수수당이 없어질 수 있다는 소식에 걱정이 많습니다.

<인터뷰> 차학윤(90살) : "3만 원이라는 돈을 삭감한다고 했을 때는 크게 실망감을 느낄 수밖에 없잖아요."

장수수당이 사라질 처지에 놓인 건 정부가 기초연금과 혜택이 중복된다며 폐지를 권고했기 때문입니다.

장수수당을 주는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87곳.

경기도에서도 31개 시군 가운데 20곳에 이릅니다.

80~90대 고령의 주민들에게 매달 2~3만 원씩 지급됩니다.

성남시를 비롯한 일부 자치단체는 정부 권고대로 폐지 방침을 밝혔지만, 상당수 자치단체들은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녹취> 00시 관계자(음성변조) : "받던 게 중단되면 아무래도 받는 분 입장에선 손해본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거든요."

<녹취> 00군 관계자(음성변조) : "다른 지자체는 어떻게 하는지 이런 걸 보고지금 내부 의견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단돈 몇 푼이라도 벌기 위해 폐지를 줍는 노인이 적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일정 소득 이하의 고령자에게라도 장수수당을 계속 지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