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제의부터 극적 접촉까지…숨가빴던 20시간
입력 2015.08.22 (21:08)
수정 2015.08.23 (06: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떻게 남북 대치 상황에서 고위급 회담이 이뤄졌을까요?
그 숨가빴던 과정을 윤지연 기자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와중에서 먼저 고위급 접촉을 제의한 건 북한이었습니다.
지난(21일) 오후 4시, 북한은 전화 통지문을 통해 김양건 노동당 비서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의 1대1 접촉을 제의했습니다.
<녹취> 김규현(국가안보실 1차장) : "북한은 (21일) 오후 4시 경 김양건 당 비서가 통지문을 통해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김양건 당 비서와의 접촉을 제의해 왔으며..."
2시간 뒤인 오후 6시, 우리 측은 김양건 당 비서 대신 군부 서열 1위인 황병서 총정치국장이 나올 것을 요구했습니다.
밤새 침묵을 이어가던 북한은 어제(22일) 오전 9시 35분, 우리의 수정 제의를 수용하면서 이번에는 참석자 확대를 요청했습니다.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당 비서가 함께 나오겠다며, 김관진 실장과 홍용표 통일부장관의 참석을 제의했습니다.
우리 측이 이를 수용하고, 북측도 12시 45분 답신을 보내오면서 남북은 고위급 접촉에 최종 합의했습니다.
북한의 첫 접촉 제의부터 20시간 45분 만입니다.
이 과정에서 남북은 업무시간이 아닌 엊그제(21일) 저녁과 휴일인 오늘까지 이례적으로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정상 가동하며 전통문을 주고 받았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어떻게 남북 대치 상황에서 고위급 회담이 이뤄졌을까요?
그 숨가빴던 과정을 윤지연 기자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와중에서 먼저 고위급 접촉을 제의한 건 북한이었습니다.
지난(21일) 오후 4시, 북한은 전화 통지문을 통해 김양건 노동당 비서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의 1대1 접촉을 제의했습니다.
<녹취> 김규현(국가안보실 1차장) : "북한은 (21일) 오후 4시 경 김양건 당 비서가 통지문을 통해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김양건 당 비서와의 접촉을 제의해 왔으며..."
2시간 뒤인 오후 6시, 우리 측은 김양건 당 비서 대신 군부 서열 1위인 황병서 총정치국장이 나올 것을 요구했습니다.
밤새 침묵을 이어가던 북한은 어제(22일) 오전 9시 35분, 우리의 수정 제의를 수용하면서 이번에는 참석자 확대를 요청했습니다.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당 비서가 함께 나오겠다며, 김관진 실장과 홍용표 통일부장관의 참석을 제의했습니다.
우리 측이 이를 수용하고, 북측도 12시 45분 답신을 보내오면서 남북은 고위급 접촉에 최종 합의했습니다.
북한의 첫 접촉 제의부터 20시간 45분 만입니다.
이 과정에서 남북은 업무시간이 아닌 엊그제(21일) 저녁과 휴일인 오늘까지 이례적으로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정상 가동하며 전통문을 주고 받았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제의부터 극적 접촉까지…숨가빴던 20시간
-
- 입력 2015-08-22 21:11:40
- 수정2015-08-23 06:58:32
![](/data/news/2015/08/22/3134483_70.jpg)
<앵커 멘트>
어떻게 남북 대치 상황에서 고위급 회담이 이뤄졌을까요?
그 숨가빴던 과정을 윤지연 기자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와중에서 먼저 고위급 접촉을 제의한 건 북한이었습니다.
지난(21일) 오후 4시, 북한은 전화 통지문을 통해 김양건 노동당 비서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의 1대1 접촉을 제의했습니다.
<녹취> 김규현(국가안보실 1차장) : "북한은 (21일) 오후 4시 경 김양건 당 비서가 통지문을 통해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김양건 당 비서와의 접촉을 제의해 왔으며..."
2시간 뒤인 오후 6시, 우리 측은 김양건 당 비서 대신 군부 서열 1위인 황병서 총정치국장이 나올 것을 요구했습니다.
밤새 침묵을 이어가던 북한은 어제(22일) 오전 9시 35분, 우리의 수정 제의를 수용하면서 이번에는 참석자 확대를 요청했습니다.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당 비서가 함께 나오겠다며, 김관진 실장과 홍용표 통일부장관의 참석을 제의했습니다.
우리 측이 이를 수용하고, 북측도 12시 45분 답신을 보내오면서 남북은 고위급 접촉에 최종 합의했습니다.
북한의 첫 접촉 제의부터 20시간 45분 만입니다.
이 과정에서 남북은 업무시간이 아닌 엊그제(21일) 저녁과 휴일인 오늘까지 이례적으로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정상 가동하며 전통문을 주고 받았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어떻게 남북 대치 상황에서 고위급 회담이 이뤄졌을까요?
그 숨가빴던 과정을 윤지연 기자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와중에서 먼저 고위급 접촉을 제의한 건 북한이었습니다.
지난(21일) 오후 4시, 북한은 전화 통지문을 통해 김양건 노동당 비서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의 1대1 접촉을 제의했습니다.
<녹취> 김규현(국가안보실 1차장) : "북한은 (21일) 오후 4시 경 김양건 당 비서가 통지문을 통해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김양건 당 비서와의 접촉을 제의해 왔으며..."
2시간 뒤인 오후 6시, 우리 측은 김양건 당 비서 대신 군부 서열 1위인 황병서 총정치국장이 나올 것을 요구했습니다.
밤새 침묵을 이어가던 북한은 어제(22일) 오전 9시 35분, 우리의 수정 제의를 수용하면서 이번에는 참석자 확대를 요청했습니다.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당 비서가 함께 나오겠다며, 김관진 실장과 홍용표 통일부장관의 참석을 제의했습니다.
우리 측이 이를 수용하고, 북측도 12시 45분 답신을 보내오면서 남북은 고위급 접촉에 최종 합의했습니다.
북한의 첫 접촉 제의부터 20시간 45분 만입니다.
이 과정에서 남북은 업무시간이 아닌 엊그제(21일) 저녁과 휴일인 오늘까지 이례적으로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정상 가동하며 전통문을 주고 받았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
-
윤지연 기자 aeon@kbs.co.kr
윤지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남북 고위급 접촉…극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