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쏠린 세계의 눈…외신, 고위급 접촉 재개 소식 타전
입력 2015.08.23 (18:00)
수정 2015.08.23 (18: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한 고위급 접촉이 11시간여 만에 재개되자 미국과 중국, 일본 등 해외 언론들도 이를 관심 있게 다루며 회담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22일 오후 3시 30분쯤 판문점에서 고위급 접촉이 재개되자 CNN과 AP, AFP, 로이터, 교도 등이 대화 재개 소식을 신속하게 보도했다.
cnn
▲ 남북 고위급 대화 재개 소식이 전해진 23일 오후 CNN 홈페이지 첫 화면. 회담 재개 소식을 주의 깊게 다루고 있다.
CNN은 남북한 양국 고위급 접촉 대표자들을 자세히 소개하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대화가 긴장 속에 재개됐다고 자세히 보도했다.
AP통신은 평양발 기사를 통해 "남북한이 벼랑 끝에서 일단 물러섰다"며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가장 심각한 대치 상황을 외교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보도했다.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남북한이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이틀째 고위급 접촉을 이어가면서 한반도 갈등 우려가 당분간이나마 약해졌다"고 보도했다. WP는 다만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 남북한 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르렀다"며 전문가 견해를 보도했다.
관영 신화통신을 비롯한 중국 언론들도 회담 재개 소식을 주의 깊게 다뤘다. 인민일보는 전날 10시간 가까이 이어진 마라톤회담에 이어 이날 오후 고위급 회담이 재개 됨에 따라 한반도 형세에 대한 주요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내달 3일 예정된 전승절 열병식 행사를 앞두고 남북 사태가 악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일본 주요 신문들은 이번 회담 결과를 주시하며 도발을 주의 깊게 분석하는 모습이다. 산케이신문은 "남북이 충돌 회피를 위한 협의를 했다"며 이번 사태를 1면 주요기사로 다뤘다. 요미우리, 니혼게이자이 등 주요 신문들도 남북 고위급 접촉 소식을 1면에 싣고 대화에 나선 북한의 의도를 깊게 분석했다. 교도통신은 "군사적 충돌 우려마저 나왔던 한국과 북한의 회담이 극적으로 개최된 것은 먼저 도발을 한 것으로 보이는 북한이 누그러진 징후를 보이며 대화를 요구해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기문 총장
◆ 반기문 총장, " 고위급 접촉 재개 주목"
한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남북한이 고위급 접촉을 재개하기로 한 것에 주목한다"며 "양쪽은 재개될 논의를 통해 한반도에서의 긴장 완화와 평화, 안정 증진의 길을 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여름휴가 중이던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도 이날 한반도 상황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오후 3시 30분쯤 판문점에서 고위급 접촉이 재개되자 CNN과 AP, AFP, 로이터, 교도 등이 대화 재개 소식을 신속하게 보도했다.
![cnn](/data/fckeditor/image/0823_01.jpg)
▲ 남북 고위급 대화 재개 소식이 전해진 23일 오후 CNN 홈페이지 첫 화면. 회담 재개 소식을 주의 깊게 다루고 있다.
CNN은 남북한 양국 고위급 접촉 대표자들을 자세히 소개하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대화가 긴장 속에 재개됐다고 자세히 보도했다.
AP통신은 평양발 기사를 통해 "남북한이 벼랑 끝에서 일단 물러섰다"며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가장 심각한 대치 상황을 외교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보도했다.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남북한이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이틀째 고위급 접촉을 이어가면서 한반도 갈등 우려가 당분간이나마 약해졌다"고 보도했다. WP는 다만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 남북한 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르렀다"며 전문가 견해를 보도했다.
관영 신화통신을 비롯한 중국 언론들도 회담 재개 소식을 주의 깊게 다뤘다. 인민일보는 전날 10시간 가까이 이어진 마라톤회담에 이어 이날 오후 고위급 회담이 재개 됨에 따라 한반도 형세에 대한 주요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내달 3일 예정된 전승절 열병식 행사를 앞두고 남북 사태가 악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일본 주요 신문들은 이번 회담 결과를 주시하며 도발을 주의 깊게 분석하는 모습이다. 산케이신문은 "남북이 충돌 회피를 위한 협의를 했다"며 이번 사태를 1면 주요기사로 다뤘다. 요미우리, 니혼게이자이 등 주요 신문들도 남북 고위급 접촉 소식을 1면에 싣고 대화에 나선 북한의 의도를 깊게 분석했다. 교도통신은 "군사적 충돌 우려마저 나왔던 한국과 북한의 회담이 극적으로 개최된 것은 먼저 도발을 한 것으로 보이는 북한이 누그러진 징후를 보이며 대화를 요구해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기문 총장](/data/fckeditor/image/0823_02.jpg)
◆ 반기문 총장, " 고위급 접촉 재개 주목"
한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남북한이 고위급 접촉을 재개하기로 한 것에 주목한다"며 "양쪽은 재개될 논의를 통해 한반도에서의 긴장 완화와 평화, 안정 증진의 길을 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여름휴가 중이던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도 이날 한반도 상황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반도에 쏠린 세계의 눈…외신, 고위급 접촉 재개 소식 타전
-
- 입력 2015-08-23 18:00:39
- 수정2015-08-23 18:02:53
남북한 고위급 접촉이 11시간여 만에 재개되자 미국과 중국, 일본 등 해외 언론들도 이를 관심 있게 다루며 회담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22일 오후 3시 30분쯤 판문점에서 고위급 접촉이 재개되자 CNN과 AP, AFP, 로이터, 교도 등이 대화 재개 소식을 신속하게 보도했다.
▲ 남북 고위급 대화 재개 소식이 전해진 23일 오후 CNN 홈페이지 첫 화면. 회담 재개 소식을 주의 깊게 다루고 있다.
CNN은 남북한 양국 고위급 접촉 대표자들을 자세히 소개하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대화가 긴장 속에 재개됐다고 자세히 보도했다.
AP통신은 평양발 기사를 통해 "남북한이 벼랑 끝에서 일단 물러섰다"며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가장 심각한 대치 상황을 외교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보도했다.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남북한이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이틀째 고위급 접촉을 이어가면서 한반도 갈등 우려가 당분간이나마 약해졌다"고 보도했다. WP는 다만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 남북한 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르렀다"며 전문가 견해를 보도했다.
관영 신화통신을 비롯한 중국 언론들도 회담 재개 소식을 주의 깊게 다뤘다. 인민일보는 전날 10시간 가까이 이어진 마라톤회담에 이어 이날 오후 고위급 회담이 재개 됨에 따라 한반도 형세에 대한 주요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내달 3일 예정된 전승절 열병식 행사를 앞두고 남북 사태가 악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일본 주요 신문들은 이번 회담 결과를 주시하며 도발을 주의 깊게 분석하는 모습이다. 산케이신문은 "남북이 충돌 회피를 위한 협의를 했다"며 이번 사태를 1면 주요기사로 다뤘다. 요미우리, 니혼게이자이 등 주요 신문들도 남북 고위급 접촉 소식을 1면에 싣고 대화에 나선 북한의 의도를 깊게 분석했다. 교도통신은 "군사적 충돌 우려마저 나왔던 한국과 북한의 회담이 극적으로 개최된 것은 먼저 도발을 한 것으로 보이는 북한이 누그러진 징후를 보이며 대화를 요구해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기문 총장](/data/fckeditor/image/0823_02.jpg)
◆ 반기문 총장, " 고위급 접촉 재개 주목"
한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남북한이 고위급 접촉을 재개하기로 한 것에 주목한다"며 "양쪽은 재개될 논의를 통해 한반도에서의 긴장 완화와 평화, 안정 증진의 길을 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여름휴가 중이던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도 이날 한반도 상황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cnn](/data/fckeditor/image/0823_01.jpg)
![반기문 총장](/data/fckeditor/image/0823_02.jpg)
-
-
변기성 기자 byun@kbs.co.kr
변기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남북 고위급 접촉…극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