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물려도 긁지 마세요”…7~9월 세균성 피부염 급증
입력 2015.08.30 (10:08)
수정 2015.08.30 (13: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와 피하조직에 생기는 급성 세균성 감염증인 '연조직염'이 7~9월 사이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결과 지난해 연조직염 환자는 111만4천 명으로 이 중 37.3%인 41만 5천 명이 7~9월 사이에 발생했습니다.
높은 습도 탓에 모기에 물린 부위에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 특히 여름철에 연조직염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문의들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은 모기에 물렸을 때 해당 부위를 긁거나 침을 바르는 행위를 삼가야 하며 되도록 피부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결과 지난해 연조직염 환자는 111만4천 명으로 이 중 37.3%인 41만 5천 명이 7~9월 사이에 발생했습니다.
높은 습도 탓에 모기에 물린 부위에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 특히 여름철에 연조직염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문의들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은 모기에 물렸을 때 해당 부위를 긁거나 침을 바르는 행위를 삼가야 하며 되도록 피부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모기 물려도 긁지 마세요”…7~9월 세균성 피부염 급증
-
- 입력 2015-08-30 10:08:46
- 수정2015-08-30 13:25:51
피부와 피하조직에 생기는 급성 세균성 감염증인 '연조직염'이 7~9월 사이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결과 지난해 연조직염 환자는 111만4천 명으로 이 중 37.3%인 41만 5천 명이 7~9월 사이에 발생했습니다.
높은 습도 탓에 모기에 물린 부위에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 특히 여름철에 연조직염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문의들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은 모기에 물렸을 때 해당 부위를 긁거나 침을 바르는 행위를 삼가야 하며 되도록 피부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결과 지난해 연조직염 환자는 111만4천 명으로 이 중 37.3%인 41만 5천 명이 7~9월 사이에 발생했습니다.
높은 습도 탓에 모기에 물린 부위에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 특히 여름철에 연조직염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문의들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은 모기에 물렸을 때 해당 부위를 긁거나 침을 바르는 행위를 삼가야 하며 되도록 피부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
김덕훈 기자 standby@kbs.co.kr
김덕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