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안 된다면 ‘성묘’라도…”
입력 2015.09.01 (06:21)
수정 2015.09.01 (07: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산 가족들이 고령화하면서 사실상 북한의 가족들이 살아 있다고 기대하기 어려워진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이산가족들은 헤어진 가족 만나는 걸 아예 포기하고, 대신 북의 고향을 찾아 성묘를 하겠다며 방북 신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민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60여 년 전 떠나온 고향 마을이지만 김금옥 할머니는 아직도 집에 가던 길이 생생합니다.
<녹취> "이쪽으로 아주 꼬불꼬불 아주 꼬불꼬불해서 덕바위 고개를 넘어야..."
이미 여든 세 살.
부모님이 살아계시리라는 기대는 품기 어렵지만, 마지막으로 고향에 가서 부모님의 흔적이라도 찾아보고 싶은 것이 할머니의 소원입니다.
<인터뷰> 김금옥(개성 출신 이산가족) : "할머니, 할아버님, 엄마, 아버지. 이제 제가 80이 넘었는데 다 돌아가셨을 거고. 영상 편지를 해도 볼 사람이 있겠어요? 그저 내가 살던 고향 땅 한번 더 밟아보고 오자."
가족을 만나는 것은 포기하고 후손들이 북의 고향을 찾아 성묘라도 할 수 있길 바라는 실향민들도 있습니다.
<녹취> "(안 잊어버리시려고 그려놓으신 거예요?) 아이들이라도 보라고.."
실제로 '성묘 방북'을 추진하기도 합니다.
사단법인 '일천만 이산가족위원회'는 추석을 앞둔 이 달 하순쯤 개성에서 성묘를 하겠다며, 개성 출신 30가족을 선정해 이번 주 중 통일부에 방북 허가를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가 남북 당국에 의해 합의되고, 다양한 차원에서 교류가 활성화되는 그 과정에서 제사나 성묘가 가능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현재, 북한은 2012년부터 2차 대전 종전 후에 북한에 살다 숨진 일본인 유족들의 묘소 방문만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이산 가족들이 고령화하면서 사실상 북한의 가족들이 살아 있다고 기대하기 어려워진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이산가족들은 헤어진 가족 만나는 걸 아예 포기하고, 대신 북의 고향을 찾아 성묘를 하겠다며 방북 신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민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60여 년 전 떠나온 고향 마을이지만 김금옥 할머니는 아직도 집에 가던 길이 생생합니다.
<녹취> "이쪽으로 아주 꼬불꼬불 아주 꼬불꼬불해서 덕바위 고개를 넘어야..."
이미 여든 세 살.
부모님이 살아계시리라는 기대는 품기 어렵지만, 마지막으로 고향에 가서 부모님의 흔적이라도 찾아보고 싶은 것이 할머니의 소원입니다.
<인터뷰> 김금옥(개성 출신 이산가족) : "할머니, 할아버님, 엄마, 아버지. 이제 제가 80이 넘었는데 다 돌아가셨을 거고. 영상 편지를 해도 볼 사람이 있겠어요? 그저 내가 살던 고향 땅 한번 더 밟아보고 오자."
가족을 만나는 것은 포기하고 후손들이 북의 고향을 찾아 성묘라도 할 수 있길 바라는 실향민들도 있습니다.
<녹취> "(안 잊어버리시려고 그려놓으신 거예요?) 아이들이라도 보라고.."
실제로 '성묘 방북'을 추진하기도 합니다.
사단법인 '일천만 이산가족위원회'는 추석을 앞둔 이 달 하순쯤 개성에서 성묘를 하겠다며, 개성 출신 30가족을 선정해 이번 주 중 통일부에 방북 허가를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가 남북 당국에 의해 합의되고, 다양한 차원에서 교류가 활성화되는 그 과정에서 제사나 성묘가 가능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현재, 북한은 2012년부터 2차 대전 종전 후에 북한에 살다 숨진 일본인 유족들의 묘소 방문만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산가족 “상봉 안 된다면 ‘성묘’라도…”
-
- 입력 2015-09-01 06:22:46
- 수정2015-09-01 07:23:11
<앵커 멘트>
이산 가족들이 고령화하면서 사실상 북한의 가족들이 살아 있다고 기대하기 어려워진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이산가족들은 헤어진 가족 만나는 걸 아예 포기하고, 대신 북의 고향을 찾아 성묘를 하겠다며 방북 신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민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60여 년 전 떠나온 고향 마을이지만 김금옥 할머니는 아직도 집에 가던 길이 생생합니다.
<녹취> "이쪽으로 아주 꼬불꼬불 아주 꼬불꼬불해서 덕바위 고개를 넘어야..."
이미 여든 세 살.
부모님이 살아계시리라는 기대는 품기 어렵지만, 마지막으로 고향에 가서 부모님의 흔적이라도 찾아보고 싶은 것이 할머니의 소원입니다.
<인터뷰> 김금옥(개성 출신 이산가족) : "할머니, 할아버님, 엄마, 아버지. 이제 제가 80이 넘었는데 다 돌아가셨을 거고. 영상 편지를 해도 볼 사람이 있겠어요? 그저 내가 살던 고향 땅 한번 더 밟아보고 오자."
가족을 만나는 것은 포기하고 후손들이 북의 고향을 찾아 성묘라도 할 수 있길 바라는 실향민들도 있습니다.
<녹취> "(안 잊어버리시려고 그려놓으신 거예요?) 아이들이라도 보라고.."
실제로 '성묘 방북'을 추진하기도 합니다.
사단법인 '일천만 이산가족위원회'는 추석을 앞둔 이 달 하순쯤 개성에서 성묘를 하겠다며, 개성 출신 30가족을 선정해 이번 주 중 통일부에 방북 허가를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가 남북 당국에 의해 합의되고, 다양한 차원에서 교류가 활성화되는 그 과정에서 제사나 성묘가 가능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현재, 북한은 2012년부터 2차 대전 종전 후에 북한에 살다 숨진 일본인 유족들의 묘소 방문만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이산 가족들이 고령화하면서 사실상 북한의 가족들이 살아 있다고 기대하기 어려워진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이산가족들은 헤어진 가족 만나는 걸 아예 포기하고, 대신 북의 고향을 찾아 성묘를 하겠다며 방북 신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민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60여 년 전 떠나온 고향 마을이지만 김금옥 할머니는 아직도 집에 가던 길이 생생합니다.
<녹취> "이쪽으로 아주 꼬불꼬불 아주 꼬불꼬불해서 덕바위 고개를 넘어야..."
이미 여든 세 살.
부모님이 살아계시리라는 기대는 품기 어렵지만, 마지막으로 고향에 가서 부모님의 흔적이라도 찾아보고 싶은 것이 할머니의 소원입니다.
<인터뷰> 김금옥(개성 출신 이산가족) : "할머니, 할아버님, 엄마, 아버지. 이제 제가 80이 넘었는데 다 돌아가셨을 거고. 영상 편지를 해도 볼 사람이 있겠어요? 그저 내가 살던 고향 땅 한번 더 밟아보고 오자."
가족을 만나는 것은 포기하고 후손들이 북의 고향을 찾아 성묘라도 할 수 있길 바라는 실향민들도 있습니다.
<녹취> "(안 잊어버리시려고 그려놓으신 거예요?) 아이들이라도 보라고.."
실제로 '성묘 방북'을 추진하기도 합니다.
사단법인 '일천만 이산가족위원회'는 추석을 앞둔 이 달 하순쯤 개성에서 성묘를 하겠다며, 개성 출신 30가족을 선정해 이번 주 중 통일부에 방북 허가를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가 남북 당국에 의해 합의되고, 다양한 차원에서 교류가 활성화되는 그 과정에서 제사나 성묘가 가능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현재, 북한은 2012년부터 2차 대전 종전 후에 북한에 살다 숨진 일본인 유족들의 묘소 방문만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
-
김민정 기자 mjnews@kbs.co.kr
김민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