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회복센터, 열악한 지원에 운영난
입력 2015.09.14 (07:25)
수정 2015.09.14 (08: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재판받은 청소년이 부모 대신 돌봐줄 어른들과 살며 다시 비행에 빠지지 않게 하는 청소년 회복쉼터라는 곳이 있습니다.
효과가 확인돼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열악한 지원탓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얘들아 일어나"
종소리에 청소년들이 하나 둘 잠에서 깹니다.
여느 가정의 아침과 다를 바 없는 없지만 임시 부모님들이 재판받은 청소년을 돌보는 청소년 회복센터의 모습입니다.
<인터뷰> 최○○(청소년 회복센터 입소자) : "제가 부모님이 안 계시다 보니까 부모님처대해주셔서 너무 감사하죠. 만날 따뜻하게 대해주셔서."
회복센터 청소년의 재비행률은 38%로, 결손가정의 재비행률 66%는 물론 비결손가정 45%보다 낮았습니다.
효과가 입증되며 5년만에 전국에 14곳으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법원에서 한 달에 청소년 한 명에게 40만 원 지원하는 게 전부입니다.
전체 운영비 가운데 50.7%만 되고 나머지는 운영자의 사비나 후원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순옥(청소년 회복센터 운영자) : "환경, 시설이 저희들이 자력으로 하다보니 미비한 것도 많고 해서 아이들한테 늘 미안하거든요."
실제로 두 곳은 운영난 등으로 문을 닫았습니다.
<인터뷰> 이주영(창원지법 소년부 부장판사) : "저희 법원은 이것을 위한 별도의 예산을 받거나 하는게 없어요. 공탁지원금에서 상당부분 여기를 지원해 왔는데, 그것도 한계가 있고."
국회에서 회복센터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려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논의는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재판받은 청소년이 부모 대신 돌봐줄 어른들과 살며 다시 비행에 빠지지 않게 하는 청소년 회복쉼터라는 곳이 있습니다.
효과가 확인돼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열악한 지원탓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얘들아 일어나"
종소리에 청소년들이 하나 둘 잠에서 깹니다.
여느 가정의 아침과 다를 바 없는 없지만 임시 부모님들이 재판받은 청소년을 돌보는 청소년 회복센터의 모습입니다.
<인터뷰> 최○○(청소년 회복센터 입소자) : "제가 부모님이 안 계시다 보니까 부모님처대해주셔서 너무 감사하죠. 만날 따뜻하게 대해주셔서."
회복센터 청소년의 재비행률은 38%로, 결손가정의 재비행률 66%는 물론 비결손가정 45%보다 낮았습니다.
효과가 입증되며 5년만에 전국에 14곳으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법원에서 한 달에 청소년 한 명에게 40만 원 지원하는 게 전부입니다.
전체 운영비 가운데 50.7%만 되고 나머지는 운영자의 사비나 후원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순옥(청소년 회복센터 운영자) : "환경, 시설이 저희들이 자력으로 하다보니 미비한 것도 많고 해서 아이들한테 늘 미안하거든요."
실제로 두 곳은 운영난 등으로 문을 닫았습니다.
<인터뷰> 이주영(창원지법 소년부 부장판사) : "저희 법원은 이것을 위한 별도의 예산을 받거나 하는게 없어요. 공탁지원금에서 상당부분 여기를 지원해 왔는데, 그것도 한계가 있고."
국회에서 회복센터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려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논의는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소년 회복센터, 열악한 지원에 운영난
-
- 입력 2015-09-14 07:30:33
- 수정2015-09-14 08:23:53
<앵커 멘트>
재판받은 청소년이 부모 대신 돌봐줄 어른들과 살며 다시 비행에 빠지지 않게 하는 청소년 회복쉼터라는 곳이 있습니다.
효과가 확인돼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열악한 지원탓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얘들아 일어나"
종소리에 청소년들이 하나 둘 잠에서 깹니다.
여느 가정의 아침과 다를 바 없는 없지만 임시 부모님들이 재판받은 청소년을 돌보는 청소년 회복센터의 모습입니다.
<인터뷰> 최○○(청소년 회복센터 입소자) : "제가 부모님이 안 계시다 보니까 부모님처대해주셔서 너무 감사하죠. 만날 따뜻하게 대해주셔서."
회복센터 청소년의 재비행률은 38%로, 결손가정의 재비행률 66%는 물론 비결손가정 45%보다 낮았습니다.
효과가 입증되며 5년만에 전국에 14곳으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법원에서 한 달에 청소년 한 명에게 40만 원 지원하는 게 전부입니다.
전체 운영비 가운데 50.7%만 되고 나머지는 운영자의 사비나 후원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순옥(청소년 회복센터 운영자) : "환경, 시설이 저희들이 자력으로 하다보니 미비한 것도 많고 해서 아이들한테 늘 미안하거든요."
실제로 두 곳은 운영난 등으로 문을 닫았습니다.
<인터뷰> 이주영(창원지법 소년부 부장판사) : "저희 법원은 이것을 위한 별도의 예산을 받거나 하는게 없어요. 공탁지원금에서 상당부분 여기를 지원해 왔는데, 그것도 한계가 있고."
국회에서 회복센터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려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논의는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재판받은 청소년이 부모 대신 돌봐줄 어른들과 살며 다시 비행에 빠지지 않게 하는 청소년 회복쉼터라는 곳이 있습니다.
효과가 확인돼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열악한 지원탓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얘들아 일어나"
종소리에 청소년들이 하나 둘 잠에서 깹니다.
여느 가정의 아침과 다를 바 없는 없지만 임시 부모님들이 재판받은 청소년을 돌보는 청소년 회복센터의 모습입니다.
<인터뷰> 최○○(청소년 회복센터 입소자) : "제가 부모님이 안 계시다 보니까 부모님처대해주셔서 너무 감사하죠. 만날 따뜻하게 대해주셔서."
회복센터 청소년의 재비행률은 38%로, 결손가정의 재비행률 66%는 물론 비결손가정 45%보다 낮았습니다.
효과가 입증되며 5년만에 전국에 14곳으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법원에서 한 달에 청소년 한 명에게 40만 원 지원하는 게 전부입니다.
전체 운영비 가운데 50.7%만 되고 나머지는 운영자의 사비나 후원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순옥(청소년 회복센터 운영자) : "환경, 시설이 저희들이 자력으로 하다보니 미비한 것도 많고 해서 아이들한테 늘 미안하거든요."
실제로 두 곳은 운영난 등으로 문을 닫았습니다.
<인터뷰> 이주영(창원지법 소년부 부장판사) : "저희 법원은 이것을 위한 별도의 예산을 받거나 하는게 없어요. 공탁지원금에서 상당부분 여기를 지원해 왔는데, 그것도 한계가 있고."
국회에서 회복센터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려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논의는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
-
박상현 기자 sanghyun@kbs.co.kr
박상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