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의 부활,‘혈세 블랙홀’ 벗어날까?
입력 2015.09.23 (07:38)
수정 2015.09.23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누적되는 적자로 인천시 재정에 부담을 준다며 사라졌던 인천관광공사가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인천 관광의 새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인데, 수익구조가 딱히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도 적지 않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관광의 전략을 세우고 관광 콘텐츠 개발에 앞장설 인천관광공사가 다시 출범했습니다.
매년 100억 원 안팎 적자를 기록하며 도시공사에 사실상 흡수된 지 4년 만입니다.
인천관광공사는 중국 관광객 연간 천만 시대를 앞두고 인천이 관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여객터미널 면세점 사업과 월미케이블카 조성 등 4가지 수익사업으로 흑자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내놨습니다.
<인터뷰> 황준기(인천관광공사 사장) : "(인천은)다양한 역사 문화 자원과 섬. 해양 자원, 경제자유구역 등 국제적 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갖고 있는 도시입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게 장밋빛 전망에 불과하다는 목소리도 큽니다.
여객터미널 면세점 등 아직 존재하지도 않는 사업들에 수익을 기대하는 건 지나친 낙관이라는 겁니다.
시민단체들은 아무리 긍정적으로 봐도 2018년에 가서야 겨우 소폭 흑자가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심각한 재정난에 빠진 인천시가 산하 공기업을 줄여도 모자란 판국에 오히려 늘리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관광공사가 수익이 나올 수 없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은 유 시장의 공약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속에 출범한 인천관광공사, 신규 사업이 수익을 내느냐에 따라 운명이 엇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누적되는 적자로 인천시 재정에 부담을 준다며 사라졌던 인천관광공사가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인천 관광의 새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인데, 수익구조가 딱히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도 적지 않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관광의 전략을 세우고 관광 콘텐츠 개발에 앞장설 인천관광공사가 다시 출범했습니다.
매년 100억 원 안팎 적자를 기록하며 도시공사에 사실상 흡수된 지 4년 만입니다.
인천관광공사는 중국 관광객 연간 천만 시대를 앞두고 인천이 관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여객터미널 면세점 사업과 월미케이블카 조성 등 4가지 수익사업으로 흑자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내놨습니다.
<인터뷰> 황준기(인천관광공사 사장) : "(인천은)다양한 역사 문화 자원과 섬. 해양 자원, 경제자유구역 등 국제적 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갖고 있는 도시입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게 장밋빛 전망에 불과하다는 목소리도 큽니다.
여객터미널 면세점 등 아직 존재하지도 않는 사업들에 수익을 기대하는 건 지나친 낙관이라는 겁니다.
시민단체들은 아무리 긍정적으로 봐도 2018년에 가서야 겨우 소폭 흑자가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심각한 재정난에 빠진 인천시가 산하 공기업을 줄여도 모자란 판국에 오히려 늘리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관광공사가 수익이 나올 수 없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은 유 시장의 공약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속에 출범한 인천관광공사, 신규 사업이 수익을 내느냐에 따라 운명이 엇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년 만의 부활,‘혈세 블랙홀’ 벗어날까?
-
- 입력 2015-09-23 07:46:12
- 수정2015-09-23 07:52:56

<앵커 멘트>
누적되는 적자로 인천시 재정에 부담을 준다며 사라졌던 인천관광공사가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인천 관광의 새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인데, 수익구조가 딱히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도 적지 않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관광의 전략을 세우고 관광 콘텐츠 개발에 앞장설 인천관광공사가 다시 출범했습니다.
매년 100억 원 안팎 적자를 기록하며 도시공사에 사실상 흡수된 지 4년 만입니다.
인천관광공사는 중국 관광객 연간 천만 시대를 앞두고 인천이 관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여객터미널 면세점 사업과 월미케이블카 조성 등 4가지 수익사업으로 흑자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내놨습니다.
<인터뷰> 황준기(인천관광공사 사장) : "(인천은)다양한 역사 문화 자원과 섬. 해양 자원, 경제자유구역 등 국제적 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갖고 있는 도시입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게 장밋빛 전망에 불과하다는 목소리도 큽니다.
여객터미널 면세점 등 아직 존재하지도 않는 사업들에 수익을 기대하는 건 지나친 낙관이라는 겁니다.
시민단체들은 아무리 긍정적으로 봐도 2018년에 가서야 겨우 소폭 흑자가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심각한 재정난에 빠진 인천시가 산하 공기업을 줄여도 모자란 판국에 오히려 늘리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관광공사가 수익이 나올 수 없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은 유 시장의 공약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속에 출범한 인천관광공사, 신규 사업이 수익을 내느냐에 따라 운명이 엇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누적되는 적자로 인천시 재정에 부담을 준다며 사라졌던 인천관광공사가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인천 관광의 새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인데, 수익구조가 딱히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도 적지 않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관광의 전략을 세우고 관광 콘텐츠 개발에 앞장설 인천관광공사가 다시 출범했습니다.
매년 100억 원 안팎 적자를 기록하며 도시공사에 사실상 흡수된 지 4년 만입니다.
인천관광공사는 중국 관광객 연간 천만 시대를 앞두고 인천이 관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여객터미널 면세점 사업과 월미케이블카 조성 등 4가지 수익사업으로 흑자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내놨습니다.
<인터뷰> 황준기(인천관광공사 사장) : "(인천은)다양한 역사 문화 자원과 섬. 해양 자원, 경제자유구역 등 국제적 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갖고 있는 도시입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게 장밋빛 전망에 불과하다는 목소리도 큽니다.
여객터미널 면세점 등 아직 존재하지도 않는 사업들에 수익을 기대하는 건 지나친 낙관이라는 겁니다.
시민단체들은 아무리 긍정적으로 봐도 2018년에 가서야 겨우 소폭 흑자가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심각한 재정난에 빠진 인천시가 산하 공기업을 줄여도 모자란 판국에 오히려 늘리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관광공사가 수익이 나올 수 없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은 유 시장의 공약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속에 출범한 인천관광공사, 신규 사업이 수익을 내느냐에 따라 운명이 엇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