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이 사라진다…‘실버전용관’ 폐관 위기
입력 2015.10.02 (21:38)
수정 2015.10.02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은 '노인의 날'이죠, 노인 인구가 늘고 있지만 즐길 거리가 마땅치 않은 게 현실입니다.
그나마 인천과 경기 안산에는 어르신들을 위한 '실버영화관'이 있는데 인천의 실버영화관은 곧 문을 닫을 위기라고 합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때 번화했으나 지금은 퇴색한 건물, 추억극장이란 간판 아래 문을 열면 젊었던,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갑니다.
비싸서, 젊은 사람들 눈치 보여서, 쉽게 엄두를 못 내던 영화 관람.
이곳에선 어르신들 누구나 단돈 2천 원에 영화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명자(인천시 연수구/73살) : "(옛날 영화) 본 건 또 한번 보고 싶은 생각도 들죠. 그리고 안 봤던 건 가끔 보고 싶은 생각이 있죠. 오늘 와보니까 아주 괜찮아요."
하지만 어르신들만을 위한 추억의 은막은 곧 사라질 처지에 놓였습니다.
하루 평균 백여 명의 손님으로 월 4백만 원에 이르는 임대료와 영화 판권비 등을 감당하긴 역부족입니다.
2년 전 개관한 뒤 인천시와 동구의 지원을 받아 버텨왔지만 지난 3월 지원이 끊겼습니다.
폐관 위기에 처하자 인천시민 2,300여 명이 지원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시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인터뷰> 최현준(추억극장미림 운영부장) : "어르신들이 가실만한 문화공간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 분들에게 단순히 추억을 회상하는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그런 곳이란 생각이기 때문에..."
정기 상영 중인 실버 영화관은 인천과 안산을 비롯해 전국에 6곳 정도로, 자치단체의 지원이 없으면 대부분 적자운영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오늘은 '노인의 날'이죠, 노인 인구가 늘고 있지만 즐길 거리가 마땅치 않은 게 현실입니다.
그나마 인천과 경기 안산에는 어르신들을 위한 '실버영화관'이 있는데 인천의 실버영화관은 곧 문을 닫을 위기라고 합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때 번화했으나 지금은 퇴색한 건물, 추억극장이란 간판 아래 문을 열면 젊었던,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갑니다.
비싸서, 젊은 사람들 눈치 보여서, 쉽게 엄두를 못 내던 영화 관람.
이곳에선 어르신들 누구나 단돈 2천 원에 영화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명자(인천시 연수구/73살) : "(옛날 영화) 본 건 또 한번 보고 싶은 생각도 들죠. 그리고 안 봤던 건 가끔 보고 싶은 생각이 있죠. 오늘 와보니까 아주 괜찮아요."
하지만 어르신들만을 위한 추억의 은막은 곧 사라질 처지에 놓였습니다.
하루 평균 백여 명의 손님으로 월 4백만 원에 이르는 임대료와 영화 판권비 등을 감당하긴 역부족입니다.
2년 전 개관한 뒤 인천시와 동구의 지원을 받아 버텨왔지만 지난 3월 지원이 끊겼습니다.
폐관 위기에 처하자 인천시민 2,300여 명이 지원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시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인터뷰> 최현준(추억극장미림 운영부장) : "어르신들이 가실만한 문화공간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 분들에게 단순히 추억을 회상하는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그런 곳이란 생각이기 때문에..."
정기 상영 중인 실버 영화관은 인천과 안산을 비롯해 전국에 6곳 정도로, 자치단체의 지원이 없으면 대부분 적자운영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억이 사라진다…‘실버전용관’ 폐관 위기
-
- 입력 2015-10-02 21:49:32
- 수정2015-10-02 22:01:22
<앵커 멘트>
오늘은 '노인의 날'이죠, 노인 인구가 늘고 있지만 즐길 거리가 마땅치 않은 게 현실입니다.
그나마 인천과 경기 안산에는 어르신들을 위한 '실버영화관'이 있는데 인천의 실버영화관은 곧 문을 닫을 위기라고 합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때 번화했으나 지금은 퇴색한 건물, 추억극장이란 간판 아래 문을 열면 젊었던,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갑니다.
비싸서, 젊은 사람들 눈치 보여서, 쉽게 엄두를 못 내던 영화 관람.
이곳에선 어르신들 누구나 단돈 2천 원에 영화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명자(인천시 연수구/73살) : "(옛날 영화) 본 건 또 한번 보고 싶은 생각도 들죠. 그리고 안 봤던 건 가끔 보고 싶은 생각이 있죠. 오늘 와보니까 아주 괜찮아요."
하지만 어르신들만을 위한 추억의 은막은 곧 사라질 처지에 놓였습니다.
하루 평균 백여 명의 손님으로 월 4백만 원에 이르는 임대료와 영화 판권비 등을 감당하긴 역부족입니다.
2년 전 개관한 뒤 인천시와 동구의 지원을 받아 버텨왔지만 지난 3월 지원이 끊겼습니다.
폐관 위기에 처하자 인천시민 2,300여 명이 지원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시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인터뷰> 최현준(추억극장미림 운영부장) : "어르신들이 가실만한 문화공간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 분들에게 단순히 추억을 회상하는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그런 곳이란 생각이기 때문에..."
정기 상영 중인 실버 영화관은 인천과 안산을 비롯해 전국에 6곳 정도로, 자치단체의 지원이 없으면 대부분 적자운영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오늘은 '노인의 날'이죠, 노인 인구가 늘고 있지만 즐길 거리가 마땅치 않은 게 현실입니다.
그나마 인천과 경기 안산에는 어르신들을 위한 '실버영화관'이 있는데 인천의 실버영화관은 곧 문을 닫을 위기라고 합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때 번화했으나 지금은 퇴색한 건물, 추억극장이란 간판 아래 문을 열면 젊었던,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갑니다.
비싸서, 젊은 사람들 눈치 보여서, 쉽게 엄두를 못 내던 영화 관람.
이곳에선 어르신들 누구나 단돈 2천 원에 영화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명자(인천시 연수구/73살) : "(옛날 영화) 본 건 또 한번 보고 싶은 생각도 들죠. 그리고 안 봤던 건 가끔 보고 싶은 생각이 있죠. 오늘 와보니까 아주 괜찮아요."
하지만 어르신들만을 위한 추억의 은막은 곧 사라질 처지에 놓였습니다.
하루 평균 백여 명의 손님으로 월 4백만 원에 이르는 임대료와 영화 판권비 등을 감당하긴 역부족입니다.
2년 전 개관한 뒤 인천시와 동구의 지원을 받아 버텨왔지만 지난 3월 지원이 끊겼습니다.
폐관 위기에 처하자 인천시민 2,300여 명이 지원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시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인터뷰> 최현준(추억극장미림 운영부장) : "어르신들이 가실만한 문화공간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 분들에게 단순히 추억을 회상하는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그런 곳이란 생각이기 때문에..."
정기 상영 중인 실버 영화관은 인천과 안산을 비롯해 전국에 6곳 정도로, 자치단체의 지원이 없으면 대부분 적자운영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