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 중국산 송이버섯, ‘북한산·국내산’ 둔갑

입력 2015.10.06 (21:10) 수정 2015.10.06 (2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가을철 별미를 위해, 비싼 값을 주고서라도 송이버섯을 구하는 분들 적지 않은데요.

중국산 송이를 북한산이나 국내산으로 속여 파는 현장이 KBS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현장추적, 김채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서울의 한 버스 터미널에 상자들이 쌓여 있습니다.

중국에서 수입한 송이 버섯을 담은 상자입니다.

<녹취> 버스 회사 직원 : "9월에서 10월 초에, 13년 동안 계속 내가 이 상자를 봤어요. 아침마다 계속, 매일 매일."

버스 출발 시간이 다가오자, 짐칸에 상자가 가득 실립니다.

이 중국산 송이버섯이 어디로 가는지, 버스를 따라가 봤습니다.

버스가 강원도의 한 버스 터미널에 도착하고, 버스에서 내려진 중국산 버섯상자는 이번엔 택시에 실려 지역 버섯판매점으로 향합니다.

그런데, 이곳에서 중국산 송이는 북한산으로 둔갑합니다.

<녹취> 송이 판매업자(음성변조) : "(중국산이라고 돼 있는데. 아니에요?) 북한산이지. 이거나 저거(국산)나, 뭐 차이는 없어요. 신선도가 좋기 때문에. 이것도 향이 좋아."

버섯상자가 배달된 업체의 냉동 창고입니다.

제품에는 이처럼 원산지에 중국산으로 표기돼 있지만, 실제 판매할 때는 스티커를 제거하고 북한산이라고 판매했습니다.

역시 고속버스 편으로 중국산 송이를 받은 충청북도의 또 다른 업체도 원산지를 속여 팔고 있습니다.

<녹취> 송이 판매업자(음성변조) : "북한은 송이가 다 나요. 묘향산, 칠보산, 금강산 다 나죠. 그러니까 송이가 깔끔하고 좋죠."

문제의 버섯소매상들은 중국산 송이를 1킬로그램 당 6만원에서 11만원 정도에 사들인 뒤 북한산으로 속여 15만원에서 22만원 정도에 팔았습니다.

아예 국내산으로 속여 판 소매상이 단속반에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원산지를 속이는 경우가 많아 송이버섯을 살 때는 원산지별 특징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국산 송이는 밝은 색을 띄지만, 중국산 송이는 채취한 지 오래 돼 대개 색이 어둡게 변해 있습니다.

또 국산 송이는 뿌리에 흙이 그대로 묻어 있지만, 중국산은 뿌리 부분의 흙이 제거된 상태에서 수입됩니다.

국내산 송이버섯의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원산지를 속인 수입 송이버섯이 대량으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김채린입니다.

[연관 기사]

☞ [GO! 현장] 추적! ‘원산지 둔갑 송이’ 유통 경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 중국산 송이버섯, ‘북한산·국내산’ 둔갑
    • 입력 2015-10-06 21:11:14
    • 수정2015-10-06 21:16:42
    뉴스 9
<앵커 멘트>

요즘, 가을철 별미를 위해, 비싼 값을 주고서라도 송이버섯을 구하는 분들 적지 않은데요.

중국산 송이를 북한산이나 국내산으로 속여 파는 현장이 KBS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현장추적, 김채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서울의 한 버스 터미널에 상자들이 쌓여 있습니다.

중국에서 수입한 송이 버섯을 담은 상자입니다.

<녹취> 버스 회사 직원 : "9월에서 10월 초에, 13년 동안 계속 내가 이 상자를 봤어요. 아침마다 계속, 매일 매일."

버스 출발 시간이 다가오자, 짐칸에 상자가 가득 실립니다.

이 중국산 송이버섯이 어디로 가는지, 버스를 따라가 봤습니다.

버스가 강원도의 한 버스 터미널에 도착하고, 버스에서 내려진 중국산 버섯상자는 이번엔 택시에 실려 지역 버섯판매점으로 향합니다.

그런데, 이곳에서 중국산 송이는 북한산으로 둔갑합니다.

<녹취> 송이 판매업자(음성변조) : "(중국산이라고 돼 있는데. 아니에요?) 북한산이지. 이거나 저거(국산)나, 뭐 차이는 없어요. 신선도가 좋기 때문에. 이것도 향이 좋아."

버섯상자가 배달된 업체의 냉동 창고입니다.

제품에는 이처럼 원산지에 중국산으로 표기돼 있지만, 실제 판매할 때는 스티커를 제거하고 북한산이라고 판매했습니다.

역시 고속버스 편으로 중국산 송이를 받은 충청북도의 또 다른 업체도 원산지를 속여 팔고 있습니다.

<녹취> 송이 판매업자(음성변조) : "북한은 송이가 다 나요. 묘향산, 칠보산, 금강산 다 나죠. 그러니까 송이가 깔끔하고 좋죠."

문제의 버섯소매상들은 중국산 송이를 1킬로그램 당 6만원에서 11만원 정도에 사들인 뒤 북한산으로 속여 15만원에서 22만원 정도에 팔았습니다.

아예 국내산으로 속여 판 소매상이 단속반에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원산지를 속이는 경우가 많아 송이버섯을 살 때는 원산지별 특징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국산 송이는 밝은 색을 띄지만, 중국산 송이는 채취한 지 오래 돼 대개 색이 어둡게 변해 있습니다.

또 국산 송이는 뿌리에 흙이 그대로 묻어 있지만, 중국산은 뿌리 부분의 흙이 제거된 상태에서 수입됩니다.

국내산 송이버섯의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원산지를 속인 수입 송이버섯이 대량으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김채린입니다.

[연관 기사]

☞ [GO! 현장] 추적! ‘원산지 둔갑 송이’ 유통 경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