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다시 ‘양성’…“추가 감염 가능성 낮아”
입력 2015.10.13 (19:04)
수정 2015.10.13 (19: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았던 30대 남성이 다시 메르스 양성 반응을 보여 국가격리병상으로 옮겨졌는데요,
보건당국은 추가 감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틀 전,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은 30대 남성이 구토와 발열 증세를 보여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찾았습니다.
이 환자는 곧 국가격리병상으로 이송돼 유전자 검사를 받았는데, 바이러스 수치가 기준 이상으로 올라갔습니다.
메르스 감염 뒤 116일 만에 완치돼 퇴원했지만 열 하루만에 다시 양성 반응을 보인 겁니다.
<녹취> 양병국(질병관리본부장) : "격리병상에 입원하고 있으며 만약을 대비해서 접촉자에 대해 취해진 격리조치 등은 철저하게 유지할 것임을 밝힙니다."
보건당국은 이 남성이 격리되기 전 접촉했던 가족과 의료진 가운데 61명은 자가격리하도록 하고, 68명은 능동 감시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추가 감염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지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몸 속에 잠복해 있던 극소량의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는 겁니다.
<녹취> 김남중(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감염력은 거의 0%에 가까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메르스 마지막 환자에게 다시 양성 반응이 나오면서 당초 이달 말로 예상됐던 공식적인 메르스 종식 선언은 더 늦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보건당국은 세계보건기구와 종식 선언 시점 등에 대해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았던 30대 남성이 다시 메르스 양성 반응을 보여 국가격리병상으로 옮겨졌는데요,
보건당국은 추가 감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틀 전,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은 30대 남성이 구토와 발열 증세를 보여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찾았습니다.
이 환자는 곧 국가격리병상으로 이송돼 유전자 검사를 받았는데, 바이러스 수치가 기준 이상으로 올라갔습니다.
메르스 감염 뒤 116일 만에 완치돼 퇴원했지만 열 하루만에 다시 양성 반응을 보인 겁니다.
<녹취> 양병국(질병관리본부장) : "격리병상에 입원하고 있으며 만약을 대비해서 접촉자에 대해 취해진 격리조치 등은 철저하게 유지할 것임을 밝힙니다."
보건당국은 이 남성이 격리되기 전 접촉했던 가족과 의료진 가운데 61명은 자가격리하도록 하고, 68명은 능동 감시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추가 감염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지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몸 속에 잠복해 있던 극소량의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는 겁니다.
<녹취> 김남중(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감염력은 거의 0%에 가까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메르스 마지막 환자에게 다시 양성 반응이 나오면서 당초 이달 말로 예상됐던 공식적인 메르스 종식 선언은 더 늦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보건당국은 세계보건기구와 종식 선언 시점 등에 대해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메르스 다시 ‘양성’…“추가 감염 가능성 낮아”
-
- 입력 2015-10-13 19:05:55
- 수정2015-10-13 19:40:47

<앵커 멘트>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았던 30대 남성이 다시 메르스 양성 반응을 보여 국가격리병상으로 옮겨졌는데요,
보건당국은 추가 감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틀 전,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은 30대 남성이 구토와 발열 증세를 보여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찾았습니다.
이 환자는 곧 국가격리병상으로 이송돼 유전자 검사를 받았는데, 바이러스 수치가 기준 이상으로 올라갔습니다.
메르스 감염 뒤 116일 만에 완치돼 퇴원했지만 열 하루만에 다시 양성 반응을 보인 겁니다.
<녹취> 양병국(질병관리본부장) : "격리병상에 입원하고 있으며 만약을 대비해서 접촉자에 대해 취해진 격리조치 등은 철저하게 유지할 것임을 밝힙니다."
보건당국은 이 남성이 격리되기 전 접촉했던 가족과 의료진 가운데 61명은 자가격리하도록 하고, 68명은 능동 감시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추가 감염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지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몸 속에 잠복해 있던 극소량의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는 겁니다.
<녹취> 김남중(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감염력은 거의 0%에 가까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메르스 마지막 환자에게 다시 양성 반응이 나오면서 당초 이달 말로 예상됐던 공식적인 메르스 종식 선언은 더 늦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보건당국은 세계보건기구와 종식 선언 시점 등에 대해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았던 30대 남성이 다시 메르스 양성 반응을 보여 국가격리병상으로 옮겨졌는데요,
보건당국은 추가 감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틀 전,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은 30대 남성이 구토와 발열 증세를 보여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찾았습니다.
이 환자는 곧 국가격리병상으로 이송돼 유전자 검사를 받았는데, 바이러스 수치가 기준 이상으로 올라갔습니다.
메르스 감염 뒤 116일 만에 완치돼 퇴원했지만 열 하루만에 다시 양성 반응을 보인 겁니다.
<녹취> 양병국(질병관리본부장) : "격리병상에 입원하고 있으며 만약을 대비해서 접촉자에 대해 취해진 격리조치 등은 철저하게 유지할 것임을 밝힙니다."
보건당국은 이 남성이 격리되기 전 접촉했던 가족과 의료진 가운데 61명은 자가격리하도록 하고, 68명은 능동 감시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추가 감염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지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몸 속에 잠복해 있던 극소량의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는 겁니다.
<녹취> 김남중(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감염력은 거의 0%에 가까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메르스 마지막 환자에게 다시 양성 반응이 나오면서 당초 이달 말로 예상됐던 공식적인 메르스 종식 선언은 더 늦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보건당국은 세계보건기구와 종식 선언 시점 등에 대해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