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이 났을 때 어떻게 행동하여야 하나
• 불이 나면 누구든지 당황하고 공포감에 쌓이게 되며 때로는 흥분하여 평상시보다 판단력이 떨어져 우왕 좌왕 하다가 연기에 질식되거나, 높은 데서 뛰어내려 귀중한 인명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혼자 불을 끄려고 노력하다 불이 확대되어 미쳐 피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화재 시 행동 요령을 평상시 염두에 두고 훈련 하여 항상 대비하여야 한다.
화재 사고 발생 시
• 불이 났다는 것을 주변에 신속하게 알린다.
• 경보기, 육성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주위 사람에게 알려 긴급 피난하게 하여야 한다.
• 전화로 119에 신고하여 신속히 소방차가 출동하게 하여야 한다.
• 예) 정확하고 침착하게 "여기는 종로구 수송동 100번지 한국 통신 뒤 6층 건물의 지하실에서 불이 났습니다." 신고자의 전화 번호를 알려준다. 가능하면 무엇이 타고 있는지와 사람이 거주하는지를 알려주면 더욱 좋다.
초기소화
• 전기 스위치를 내린다(끈다). - 분전반이나 차단기 등 석유 난로 등에 의한 화재일 때는 담요나 이불을 물에 적셔서 분전반이나 차단기 등 석유 난로 등에 의한 화재일 때는 담요나 이불을 물에 적셔서 뒤집어 씌운다.
• 가스 화재는 용기의 밸브를 잠근다. 이때 주의할 점은
-전기 화재에는 물을 사용하면 안 된다(감전 위험이 있다).
-기름 종류의 화재에 물을 사용하면 불을 키우는 경우가 있다.
-가스화재는 폭발성이 있으므로 갑자기 문을 열거나 전기 스위치등을 조작하면 안됨
• 불이 나면 누구든지 당황하고 공포감에 쌓이게 되며 때로는 흥분하여 평상시보다 판단력이 떨어져 우왕 좌왕 하다가 연기에 질식되거나, 높은 데서 뛰어내려 귀중한 인명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혼자 불을 끄려고 노력하다 불이 확대되어 미쳐 피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화재 시 행동 요령을 평상시 염두에 두고 훈련 하여 항상 대비하여야 한다.
화재 사고 발생 시
• 불이 났다는 것을 주변에 신속하게 알린다.
• 경보기, 육성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주위 사람에게 알려 긴급 피난하게 하여야 한다.
• 전화로 119에 신고하여 신속히 소방차가 출동하게 하여야 한다.
• 예) 정확하고 침착하게 "여기는 종로구 수송동 100번지 한국 통신 뒤 6층 건물의 지하실에서 불이 났습니다." 신고자의 전화 번호를 알려준다. 가능하면 무엇이 타고 있는지와 사람이 거주하는지를 알려주면 더욱 좋다.
초기소화
• 전기 스위치를 내린다(끈다). - 분전반이나 차단기 등 석유 난로 등에 의한 화재일 때는 담요나 이불을 물에 적셔서 분전반이나 차단기 등 석유 난로 등에 의한 화재일 때는 담요나 이불을 물에 적셔서 뒤집어 씌운다.
• 가스 화재는 용기의 밸브를 잠근다. 이때 주의할 점은
-전기 화재에는 물을 사용하면 안 된다(감전 위험이 있다).
-기름 종류의 화재에 물을 사용하면 불을 키우는 경우가 있다.
-가스화재는 폭발성이 있으므로 갑자기 문을 열거나 전기 스위치등을 조작하면 안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재 발생 시 행동요령
-
- 입력 2015-10-16 18:59:43
불이 났을 때 어떻게 행동하여야 하나
• 불이 나면 누구든지 당황하고 공포감에 쌓이게 되며 때로는 흥분하여 평상시보다 판단력이 떨어져 우왕 좌왕 하다가 연기에 질식되거나, 높은 데서 뛰어내려 귀중한 인명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혼자 불을 끄려고 노력하다 불이 확대되어 미쳐 피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화재 시 행동 요령을 평상시 염두에 두고 훈련 하여 항상 대비하여야 한다.
화재 사고 발생 시
• 불이 났다는 것을 주변에 신속하게 알린다.
• 경보기, 육성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주위 사람에게 알려 긴급 피난하게 하여야 한다.
• 전화로 119에 신고하여 신속히 소방차가 출동하게 하여야 한다.
• 예) 정확하고 침착하게 "여기는 종로구 수송동 100번지 한국 통신 뒤 6층 건물의 지하실에서 불이 났습니다." 신고자의 전화 번호를 알려준다. 가능하면 무엇이 타고 있는지와 사람이 거주하는지를 알려주면 더욱 좋다.
초기소화
• 전기 스위치를 내린다(끈다). - 분전반이나 차단기 등 석유 난로 등에 의한 화재일 때는 담요나 이불을 물에 적셔서 분전반이나 차단기 등 석유 난로 등에 의한 화재일 때는 담요나 이불을 물에 적셔서 뒤집어 씌운다.
• 가스 화재는 용기의 밸브를 잠근다. 이때 주의할 점은
-전기 화재에는 물을 사용하면 안 된다(감전 위험이 있다).
-기름 종류의 화재에 물을 사용하면 불을 키우는 경우가 있다.
-가스화재는 폭발성이 있으므로 갑자기 문을 열거나 전기 스위치등을 조작하면 안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