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여인의 화가’ 천경자 화백 몇 달 전 타계
입력 2015.10.22 (09:35)
수정 2015.10.22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꽃과 여인의 화가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천경자 화백이 몇 달 전 미국에서 타계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유동엽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리포트>
뇌출혈로 투병 중이던 천경자 화백이 91살을 일기로 몇 달 전 미국 뉴욕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지난 8월 천경자 화백의 딸 이혜선 씨가 천 화백의 유골함을 들고 기증작품이 보관돼 있는 수장고를 방문했으며 이를 외부에 알리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씨는 또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투병중이던 천 화백이 8월 초 미국 뉴욕의 자택에서 숨졌으며,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채 장례를 치렀다고 밝혔습니다.
1924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난 천경자 화백은 일본 유학을 거쳐 화가로 활동해 왔으며, 여성과 꽃을 주제로 한 화려한 색채의 인물화를 선보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화가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천 화백은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돼 있던 작품 미인도가 자신의 작품이 아닌 위작이라고 밝혔으나, 진위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자 절필선언을 하고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이후 서울시립미술관에 자신의 작품 90여 점을 기증한 뒤 뉴욕에서 딸과 머물던 천 화백은 2003년 뇌출혈로 쓰러진 뒤 외부 활동을 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몇 해 전부터 사망설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꽃과 여인의 화가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천경자 화백이 몇 달 전 미국에서 타계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유동엽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리포트>
뇌출혈로 투병 중이던 천경자 화백이 91살을 일기로 몇 달 전 미국 뉴욕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지난 8월 천경자 화백의 딸 이혜선 씨가 천 화백의 유골함을 들고 기증작품이 보관돼 있는 수장고를 방문했으며 이를 외부에 알리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씨는 또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투병중이던 천 화백이 8월 초 미국 뉴욕의 자택에서 숨졌으며,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채 장례를 치렀다고 밝혔습니다.
1924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난 천경자 화백은 일본 유학을 거쳐 화가로 활동해 왔으며, 여성과 꽃을 주제로 한 화려한 색채의 인물화를 선보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화가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천 화백은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돼 있던 작품 미인도가 자신의 작품이 아닌 위작이라고 밝혔으나, 진위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자 절필선언을 하고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이후 서울시립미술관에 자신의 작품 90여 점을 기증한 뒤 뉴욕에서 딸과 머물던 천 화백은 2003년 뇌출혈로 쓰러진 뒤 외부 활동을 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몇 해 전부터 사망설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꽃과 여인의 화가’ 천경자 화백 몇 달 전 타계
-
- 입력 2015-10-22 09:36:01
- 수정2015-10-22 22:07:08

<앵커 멘트>
꽃과 여인의 화가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천경자 화백이 몇 달 전 미국에서 타계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유동엽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리포트>
뇌출혈로 투병 중이던 천경자 화백이 91살을 일기로 몇 달 전 미국 뉴욕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지난 8월 천경자 화백의 딸 이혜선 씨가 천 화백의 유골함을 들고 기증작품이 보관돼 있는 수장고를 방문했으며 이를 외부에 알리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씨는 또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투병중이던 천 화백이 8월 초 미국 뉴욕의 자택에서 숨졌으며,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채 장례를 치렀다고 밝혔습니다.
1924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난 천경자 화백은 일본 유학을 거쳐 화가로 활동해 왔으며, 여성과 꽃을 주제로 한 화려한 색채의 인물화를 선보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화가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천 화백은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돼 있던 작품 미인도가 자신의 작품이 아닌 위작이라고 밝혔으나, 진위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자 절필선언을 하고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이후 서울시립미술관에 자신의 작품 90여 점을 기증한 뒤 뉴욕에서 딸과 머물던 천 화백은 2003년 뇌출혈로 쓰러진 뒤 외부 활동을 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몇 해 전부터 사망설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꽃과 여인의 화가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천경자 화백이 몇 달 전 미국에서 타계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유동엽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리포트>
뇌출혈로 투병 중이던 천경자 화백이 91살을 일기로 몇 달 전 미국 뉴욕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지난 8월 천경자 화백의 딸 이혜선 씨가 천 화백의 유골함을 들고 기증작품이 보관돼 있는 수장고를 방문했으며 이를 외부에 알리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씨는 또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투병중이던 천 화백이 8월 초 미국 뉴욕의 자택에서 숨졌으며,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채 장례를 치렀다고 밝혔습니다.
1924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난 천경자 화백은 일본 유학을 거쳐 화가로 활동해 왔으며, 여성과 꽃을 주제로 한 화려한 색채의 인물화를 선보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화가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천 화백은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돼 있던 작품 미인도가 자신의 작품이 아닌 위작이라고 밝혔으나, 진위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자 절필선언을 하고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이후 서울시립미술관에 자신의 작품 90여 점을 기증한 뒤 뉴욕에서 딸과 머물던 천 화백은 2003년 뇌출혈로 쓰러진 뒤 외부 활동을 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몇 해 전부터 사망설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
유동엽 기자 imhere@kbs.co.kr
유동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