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육, 1군 발암물질 가능성”…업계·학계 반발
입력 2015.10.27 (12:18)
수정 2015.10.27 (13: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햄, 베이컨, 소시지.
아이들 급식에도 자주 나오고, 대부분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임에 틀림없습니다.
WHO 세계보건기구가 이런 가공 육류를 우리 몸에 확실히 암을 유발시키는, '1군 발암 물질'로 분류했습니다.
살라미나 파스트라미 같은 고급 가공육, 또 햄버거에 들어가는 고기 패티까지 폭넓게 포함시켰습니다.
다시 말해 이런 음식들을 술, 담배, 석면, 비소와 함께 5대 발암물질로 규정한 겁니다.
쇠고기나 돼지고기 같은 붉은 고기의 탄 부분은 가급적 먹지 말라는 얘기는 익히 들어왔는데, 이번 발표에서는 신선한 부위 역시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당장 축산업계 반발은 물론 일부 학계 반박이 이어지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베를린 이민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간편한 조리와 다양한 맛으로 현대인의 식탁에 단골 메뉴가 된 햄과 소시지.
이런 가공육이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됐습니다.
매일 일정량의 가공육을 먹을 경우 암 발병 확율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쿠르트 스트라이프(WHO 국제 암 연구소) :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발병 확률이 17퍼센트 증가했습니다."
가공육의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해 첨부된 화학물질이 해로운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인터뷰> 압돌라 가바미(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 박사) : "(가공된) 고기를 먹으면, 몸속에 합성물질이 형성되고, 이것이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WHO는 그러면서도 가공육이 1급 발암물질에 속하지만, 술과 담배, 석면 만큼 위험하다는 뜻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고기 역시 암을 유발하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영양 공급을 위해선 붉은 고기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적정한 육류 섭취량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축산업계와 일부 학계에서는 가공육과 암 발병의 관련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이민우입니다.
<앵커 멘트>
당장 북미육류협회가 성명을 냈습니다.
가공육과 붉은 고기를 발암물질로 규정한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고기와 암이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이 이미 수많은 연구에서 밝혀졌다고 반박했습니다.
가공햄인 스팸을 판매하는 '호멜 푸드'사도 WHO 보고서가 고급 단백질과 중요한 영양소를 함유한 고기의 이로운 점을 간과했다며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여태 아무 일 없이 먹어 온 음식이 발암 물질이라고 하니, 다소 걱정이 되실텐데요.
이번에 WHO가 문제로 지목한 건, 대부분 가공육에 들어가는 첨가물. 아질산나트륨입니다.
원래 햄이나 소시지는 죽은 고기니 거무튀튀해질 수 밖에 없는데 이 아질산나트륨을 넣으면 신선한 붉은색을 띠게 해 주고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소를 막아줘서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가공육에 꼭 필요하다 보니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 대부분 국가에서 식품첨가물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 자체가 발암물질은 아니고 우리 몸 속에 들어와 특정 물질로 변형이 됐을 경우 대장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이렇게 한 제품에 넣을 수 있는 양과 하루 최대 섭취량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한국식품안전연구원 홈페이지에도 '아질산나트륨은 15세 미만 어린이와 임산부가 많이 먹으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섭취량에 주의하라'고 돼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이번에 문제가 된 붉은 고기의 경우 WHO 발표를 보면 "하루 70g 이상 섭취했을때 발병 위험이 높다"고 돼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들 하루에 먹는 고기양 남자가 약 130g 정도, 여자가 80g 정도로 섭취를 해서 한국인의 평균 섭취량이 100g 정도 됩니다.
이번 발표에서 제안한 70g 정도로 섭취하려면 여성분들은 괜찮을 것 같고요, 남성분들은 양을 조금 줄이시는게 건강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햄, 베이컨, 소시지.
아이들 급식에도 자주 나오고, 대부분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임에 틀림없습니다.
WHO 세계보건기구가 이런 가공 육류를 우리 몸에 확실히 암을 유발시키는, '1군 발암 물질'로 분류했습니다.
살라미나 파스트라미 같은 고급 가공육, 또 햄버거에 들어가는 고기 패티까지 폭넓게 포함시켰습니다.
다시 말해 이런 음식들을 술, 담배, 석면, 비소와 함께 5대 발암물질로 규정한 겁니다.
쇠고기나 돼지고기 같은 붉은 고기의 탄 부분은 가급적 먹지 말라는 얘기는 익히 들어왔는데, 이번 발표에서는 신선한 부위 역시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당장 축산업계 반발은 물론 일부 학계 반박이 이어지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베를린 이민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간편한 조리와 다양한 맛으로 현대인의 식탁에 단골 메뉴가 된 햄과 소시지.
이런 가공육이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됐습니다.
매일 일정량의 가공육을 먹을 경우 암 발병 확율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쿠르트 스트라이프(WHO 국제 암 연구소) :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발병 확률이 17퍼센트 증가했습니다."
가공육의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해 첨부된 화학물질이 해로운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인터뷰> 압돌라 가바미(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 박사) : "(가공된) 고기를 먹으면, 몸속에 합성물질이 형성되고, 이것이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WHO는 그러면서도 가공육이 1급 발암물질에 속하지만, 술과 담배, 석면 만큼 위험하다는 뜻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고기 역시 암을 유발하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영양 공급을 위해선 붉은 고기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적정한 육류 섭취량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축산업계와 일부 학계에서는 가공육과 암 발병의 관련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이민우입니다.
<앵커 멘트>
당장 북미육류협회가 성명을 냈습니다.
가공육과 붉은 고기를 발암물질로 규정한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고기와 암이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이 이미 수많은 연구에서 밝혀졌다고 반박했습니다.
가공햄인 스팸을 판매하는 '호멜 푸드'사도 WHO 보고서가 고급 단백질과 중요한 영양소를 함유한 고기의 이로운 점을 간과했다며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여태 아무 일 없이 먹어 온 음식이 발암 물질이라고 하니, 다소 걱정이 되실텐데요.
이번에 WHO가 문제로 지목한 건, 대부분 가공육에 들어가는 첨가물. 아질산나트륨입니다.
원래 햄이나 소시지는 죽은 고기니 거무튀튀해질 수 밖에 없는데 이 아질산나트륨을 넣으면 신선한 붉은색을 띠게 해 주고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소를 막아줘서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가공육에 꼭 필요하다 보니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 대부분 국가에서 식품첨가물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 자체가 발암물질은 아니고 우리 몸 속에 들어와 특정 물질로 변형이 됐을 경우 대장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이렇게 한 제품에 넣을 수 있는 양과 하루 최대 섭취량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한국식품안전연구원 홈페이지에도 '아질산나트륨은 15세 미만 어린이와 임산부가 많이 먹으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섭취량에 주의하라'고 돼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이번에 문제가 된 붉은 고기의 경우 WHO 발표를 보면 "하루 70g 이상 섭취했을때 발병 위험이 높다"고 돼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들 하루에 먹는 고기양 남자가 약 130g 정도, 여자가 80g 정도로 섭취를 해서 한국인의 평균 섭취량이 100g 정도 됩니다.
이번 발표에서 제안한 70g 정도로 섭취하려면 여성분들은 괜찮을 것 같고요, 남성분들은 양을 조금 줄이시는게 건강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공육, 1군 발암물질 가능성”…업계·학계 반발
-
- 입력 2015-10-27 12:20:04
- 수정2015-10-27 13:00:56

<앵커 멘트>
햄, 베이컨, 소시지.
아이들 급식에도 자주 나오고, 대부분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임에 틀림없습니다.
WHO 세계보건기구가 이런 가공 육류를 우리 몸에 확실히 암을 유발시키는, '1군 발암 물질'로 분류했습니다.
살라미나 파스트라미 같은 고급 가공육, 또 햄버거에 들어가는 고기 패티까지 폭넓게 포함시켰습니다.
다시 말해 이런 음식들을 술, 담배, 석면, 비소와 함께 5대 발암물질로 규정한 겁니다.
쇠고기나 돼지고기 같은 붉은 고기의 탄 부분은 가급적 먹지 말라는 얘기는 익히 들어왔는데, 이번 발표에서는 신선한 부위 역시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당장 축산업계 반발은 물론 일부 학계 반박이 이어지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베를린 이민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간편한 조리와 다양한 맛으로 현대인의 식탁에 단골 메뉴가 된 햄과 소시지.
이런 가공육이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됐습니다.
매일 일정량의 가공육을 먹을 경우 암 발병 확율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쿠르트 스트라이프(WHO 국제 암 연구소) :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발병 확률이 17퍼센트 증가했습니다."
가공육의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해 첨부된 화학물질이 해로운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인터뷰> 압돌라 가바미(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 박사) : "(가공된) 고기를 먹으면, 몸속에 합성물질이 형성되고, 이것이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WHO는 그러면서도 가공육이 1급 발암물질에 속하지만, 술과 담배, 석면 만큼 위험하다는 뜻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고기 역시 암을 유발하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영양 공급을 위해선 붉은 고기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적정한 육류 섭취량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축산업계와 일부 학계에서는 가공육과 암 발병의 관련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이민우입니다.
<앵커 멘트>
당장 북미육류협회가 성명을 냈습니다.
가공육과 붉은 고기를 발암물질로 규정한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고기와 암이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이 이미 수많은 연구에서 밝혀졌다고 반박했습니다.
가공햄인 스팸을 판매하는 '호멜 푸드'사도 WHO 보고서가 고급 단백질과 중요한 영양소를 함유한 고기의 이로운 점을 간과했다며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여태 아무 일 없이 먹어 온 음식이 발암 물질이라고 하니, 다소 걱정이 되실텐데요.
이번에 WHO가 문제로 지목한 건, 대부분 가공육에 들어가는 첨가물. 아질산나트륨입니다.
원래 햄이나 소시지는 죽은 고기니 거무튀튀해질 수 밖에 없는데 이 아질산나트륨을 넣으면 신선한 붉은색을 띠게 해 주고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소를 막아줘서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가공육에 꼭 필요하다 보니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 대부분 국가에서 식품첨가물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 자체가 발암물질은 아니고 우리 몸 속에 들어와 특정 물질로 변형이 됐을 경우 대장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이렇게 한 제품에 넣을 수 있는 양과 하루 최대 섭취량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한국식품안전연구원 홈페이지에도 '아질산나트륨은 15세 미만 어린이와 임산부가 많이 먹으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섭취량에 주의하라'고 돼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이번에 문제가 된 붉은 고기의 경우 WHO 발표를 보면 "하루 70g 이상 섭취했을때 발병 위험이 높다"고 돼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들 하루에 먹는 고기양 남자가 약 130g 정도, 여자가 80g 정도로 섭취를 해서 한국인의 평균 섭취량이 100g 정도 됩니다.
이번 발표에서 제안한 70g 정도로 섭취하려면 여성분들은 괜찮을 것 같고요, 남성분들은 양을 조금 줄이시는게 건강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햄, 베이컨, 소시지.
아이들 급식에도 자주 나오고, 대부분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임에 틀림없습니다.
WHO 세계보건기구가 이런 가공 육류를 우리 몸에 확실히 암을 유발시키는, '1군 발암 물질'로 분류했습니다.
살라미나 파스트라미 같은 고급 가공육, 또 햄버거에 들어가는 고기 패티까지 폭넓게 포함시켰습니다.
다시 말해 이런 음식들을 술, 담배, 석면, 비소와 함께 5대 발암물질로 규정한 겁니다.
쇠고기나 돼지고기 같은 붉은 고기의 탄 부분은 가급적 먹지 말라는 얘기는 익히 들어왔는데, 이번 발표에서는 신선한 부위 역시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당장 축산업계 반발은 물론 일부 학계 반박이 이어지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베를린 이민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간편한 조리와 다양한 맛으로 현대인의 식탁에 단골 메뉴가 된 햄과 소시지.
이런 가공육이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됐습니다.
매일 일정량의 가공육을 먹을 경우 암 발병 확율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쿠르트 스트라이프(WHO 국제 암 연구소) :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발병 확률이 17퍼센트 증가했습니다."
가공육의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해 첨부된 화학물질이 해로운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인터뷰> 압돌라 가바미(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 박사) : "(가공된) 고기를 먹으면, 몸속에 합성물질이 형성되고, 이것이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WHO는 그러면서도 가공육이 1급 발암물질에 속하지만, 술과 담배, 석면 만큼 위험하다는 뜻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고기 역시 암을 유발하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영양 공급을 위해선 붉은 고기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적정한 육류 섭취량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축산업계와 일부 학계에서는 가공육과 암 발병의 관련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이민우입니다.
<앵커 멘트>
당장 북미육류협회가 성명을 냈습니다.
가공육과 붉은 고기를 발암물질로 규정한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고기와 암이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이 이미 수많은 연구에서 밝혀졌다고 반박했습니다.
가공햄인 스팸을 판매하는 '호멜 푸드'사도 WHO 보고서가 고급 단백질과 중요한 영양소를 함유한 고기의 이로운 점을 간과했다며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여태 아무 일 없이 먹어 온 음식이 발암 물질이라고 하니, 다소 걱정이 되실텐데요.
이번에 WHO가 문제로 지목한 건, 대부분 가공육에 들어가는 첨가물. 아질산나트륨입니다.
원래 햄이나 소시지는 죽은 고기니 거무튀튀해질 수 밖에 없는데 이 아질산나트륨을 넣으면 신선한 붉은색을 띠게 해 주고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소를 막아줘서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가공육에 꼭 필요하다 보니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 대부분 국가에서 식품첨가물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 자체가 발암물질은 아니고 우리 몸 속에 들어와 특정 물질로 변형이 됐을 경우 대장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이렇게 한 제품에 넣을 수 있는 양과 하루 최대 섭취량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한국식품안전연구원 홈페이지에도 '아질산나트륨은 15세 미만 어린이와 임산부가 많이 먹으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섭취량에 주의하라'고 돼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이번에 문제가 된 붉은 고기의 경우 WHO 발표를 보면 "하루 70g 이상 섭취했을때 발병 위험이 높다"고 돼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들 하루에 먹는 고기양 남자가 약 130g 정도, 여자가 80g 정도로 섭취를 해서 한국인의 평균 섭취량이 100g 정도 됩니다.
이번 발표에서 제안한 70g 정도로 섭취하려면 여성분들은 괜찮을 것 같고요, 남성분들은 양을 조금 줄이시는게 건강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
이민우 기자 kbsminoo@gmail.com
이민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