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맞는 내의는?

입력 2015.11.12 (07:33) 수정 2015.11.12 (08: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엥커 멘트>

날씨가 추워지면 내복을 입을까 말까 고민하게 되죠.

요즘에는 겉 옷만큼 예쁜 디자인은 물론 가벼우면서 따뜻한 기능성 내복까지, 선택의 폭이 넓어졌는데요.

본격적인 추위를 앞두고 내복 고르는 법과 관리법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두툼한 이 내복은 안감을 부드러운 털로 덮어 보온성을 높인 '기모 내복'입니다.

면 내복처럼 홑겹이 아닌 2중, 3중 구조인데요.

무릎이나 어깨 등 관절에 천이 덧대어져 있습니다.

<인터뷰> 정성원(한국의류시험연구소 연구원) : "보온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원단이 공기층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인데요. 기모 내의의 경우 발열 내의보다 원단이 훨씬 두껍기 때문에 공기층을 많이 가지고 있고 따라서 보온성이 좋게 나오는 것입니다.”

발열내복은 '흡습 발열' 기능을 가진 원사로 제작되는데요.

때문에 땀과 같은 외부 자극이 있어야만 발열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조성연(스포츠의학과 전문의) : "발열 내의의 경우에는 땀이 났을 경우에 그 수분이 원단과 만나면서 발열 작용을 도와주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일반적인 사람보다는 운동을 많이 하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의 경우 발열 내의의 작용 효과가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기능성 내복은 좀 더 세심한 세탁 관리가 필요합니다.

원단에 보풀이 생기면 발열이나 탈취 등의 기능이 떨어지므로 단독 손세탁하시고요.

섬유유연제를 넣는 것도 기능성 원단의 주요 기능을 유지하는 데 방해되니 피해 주세요.

잘 헹궈 물기를 털어낸 기능성 내복은 직사광선을 피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말려야 변색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다가오는 겨울, 내복으로 건강도 챙기고 난방비도 절감하세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에게 맞는 내의는?
    • 입력 2015-11-12 07:45:01
    • 수정2015-11-12 08:31:44
    뉴스광장
<엥커 멘트>

날씨가 추워지면 내복을 입을까 말까 고민하게 되죠.

요즘에는 겉 옷만큼 예쁜 디자인은 물론 가벼우면서 따뜻한 기능성 내복까지, 선택의 폭이 넓어졌는데요.

본격적인 추위를 앞두고 내복 고르는 법과 관리법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두툼한 이 내복은 안감을 부드러운 털로 덮어 보온성을 높인 '기모 내복'입니다.

면 내복처럼 홑겹이 아닌 2중, 3중 구조인데요.

무릎이나 어깨 등 관절에 천이 덧대어져 있습니다.

<인터뷰> 정성원(한국의류시험연구소 연구원) : "보온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원단이 공기층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인데요. 기모 내의의 경우 발열 내의보다 원단이 훨씬 두껍기 때문에 공기층을 많이 가지고 있고 따라서 보온성이 좋게 나오는 것입니다.”

발열내복은 '흡습 발열' 기능을 가진 원사로 제작되는데요.

때문에 땀과 같은 외부 자극이 있어야만 발열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조성연(스포츠의학과 전문의) : "발열 내의의 경우에는 땀이 났을 경우에 그 수분이 원단과 만나면서 발열 작용을 도와주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일반적인 사람보다는 운동을 많이 하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의 경우 발열 내의의 작용 효과가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기능성 내복은 좀 더 세심한 세탁 관리가 필요합니다.

원단에 보풀이 생기면 발열이나 탈취 등의 기능이 떨어지므로 단독 손세탁하시고요.

섬유유연제를 넣는 것도 기능성 원단의 주요 기능을 유지하는 데 방해되니 피해 주세요.

잘 헹궈 물기를 털어낸 기능성 내복은 직사광선을 피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말려야 변색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다가오는 겨울, 내복으로 건강도 챙기고 난방비도 절감하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