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천만 명 스팸 차단 앱…엉뚱한 번호 차단
입력 2015.11.19 (07:21)
수정 2015.11.19 (08: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원치 않는 스팸 전화와 문자가 워낙 많이 오다 보니, '스팸 차단 애플리케이션'이 인기입니다.
앱 다운로드 건수만 해도, 천만 건이 넘어가는데요.
그런데, 정작, 스팸 차단 앱 때문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윤봄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분실 휴대전화를 찾아주는 '핸드폰 찾기 콜센터'입니다.
이 센터는 우체국이나 경찰서 등으로 들어온 분실 휴대전화를 보관하다 주인을 찾아주는데, 최근 주인들이 전화를 받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원기(과장/핸드폰 찾기 콜센터) : "확인을 해 보니, 요새 많이 쓰고 있는 스마트폰 스팸차단 앱에 (저희 콜센터 번호가) 스팸으로 등록돼 있는 번호여서..."
센터는 뒤늦게 앱 운영 업체 측에 연락해 스팸 등록을 해제했습니다.
하지만, 누군가 다시 스팸번호로 등록하는 걸 영구히 막아 줄 수는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비슷한 피해를 보고 있는 개인이나 회사도 적지 않습니다.
평범한 회사원의 번호가 스팸 차단 앱에 '불법 도박' 번호로 등록돼 있는가 하면, 개인 정보가 노출돼 불편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녹취> 서비스 센터 기사 : "제가 처음 전화를 넣었는데, (제 직업을) 아는 거예요.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는 거예요, 자꾸. 개인 프라이버시 같은 게 지켜지지 않고..."
실제로 KBS 사무실에 있는 이 전화기의 번호를 스팸 차단 앱에 등록해 보겠습니다.
스팸 차단 앱을 실행해 '장난전화'라고 등록했습니다.
이후, 이 전화기로 스팸 차단 앱이 깔려 있는 휴대전화에 전화를 걸어 보니, '장난전화'라는 문구가 함께 뜹니다.
잘못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검증 절차는 전혀 없었습니다.
<녹취> 앱 운영 업체 관계자 : "공유 정보를 보여주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고객들에게 더 안 좋은 부분이다, (피해가 발생하면) 바로바로 처리를 해 드리는 방법..."
스팸 차단 앱 다운로드 수가 천만 건을 넘긴 가운데, 엉터리 정보 등록 등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요즘 원치 않는 스팸 전화와 문자가 워낙 많이 오다 보니, '스팸 차단 애플리케이션'이 인기입니다.
앱 다운로드 건수만 해도, 천만 건이 넘어가는데요.
그런데, 정작, 스팸 차단 앱 때문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윤봄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분실 휴대전화를 찾아주는 '핸드폰 찾기 콜센터'입니다.
이 센터는 우체국이나 경찰서 등으로 들어온 분실 휴대전화를 보관하다 주인을 찾아주는데, 최근 주인들이 전화를 받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원기(과장/핸드폰 찾기 콜센터) : "확인을 해 보니, 요새 많이 쓰고 있는 스마트폰 스팸차단 앱에 (저희 콜센터 번호가) 스팸으로 등록돼 있는 번호여서..."
센터는 뒤늦게 앱 운영 업체 측에 연락해 스팸 등록을 해제했습니다.
하지만, 누군가 다시 스팸번호로 등록하는 걸 영구히 막아 줄 수는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비슷한 피해를 보고 있는 개인이나 회사도 적지 않습니다.
평범한 회사원의 번호가 스팸 차단 앱에 '불법 도박' 번호로 등록돼 있는가 하면, 개인 정보가 노출돼 불편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녹취> 서비스 센터 기사 : "제가 처음 전화를 넣었는데, (제 직업을) 아는 거예요.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는 거예요, 자꾸. 개인 프라이버시 같은 게 지켜지지 않고..."
실제로 KBS 사무실에 있는 이 전화기의 번호를 스팸 차단 앱에 등록해 보겠습니다.
스팸 차단 앱을 실행해 '장난전화'라고 등록했습니다.
이후, 이 전화기로 스팸 차단 앱이 깔려 있는 휴대전화에 전화를 걸어 보니, '장난전화'라는 문구가 함께 뜹니다.
잘못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검증 절차는 전혀 없었습니다.
<녹취> 앱 운영 업체 관계자 : "공유 정보를 보여주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고객들에게 더 안 좋은 부분이다, (피해가 발생하면) 바로바로 처리를 해 드리는 방법..."
스팸 차단 앱 다운로드 수가 천만 건을 넘긴 가운데, 엉터리 정보 등록 등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용자 천만 명 스팸 차단 앱…엉뚱한 번호 차단
-
- 입력 2015-11-19 07:22:59
- 수정2015-11-19 08:00:09
<앵커 멘트>
요즘 원치 않는 스팸 전화와 문자가 워낙 많이 오다 보니, '스팸 차단 애플리케이션'이 인기입니다.
앱 다운로드 건수만 해도, 천만 건이 넘어가는데요.
그런데, 정작, 스팸 차단 앱 때문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윤봄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분실 휴대전화를 찾아주는 '핸드폰 찾기 콜센터'입니다.
이 센터는 우체국이나 경찰서 등으로 들어온 분실 휴대전화를 보관하다 주인을 찾아주는데, 최근 주인들이 전화를 받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원기(과장/핸드폰 찾기 콜센터) : "확인을 해 보니, 요새 많이 쓰고 있는 스마트폰 스팸차단 앱에 (저희 콜센터 번호가) 스팸으로 등록돼 있는 번호여서..."
센터는 뒤늦게 앱 운영 업체 측에 연락해 스팸 등록을 해제했습니다.
하지만, 누군가 다시 스팸번호로 등록하는 걸 영구히 막아 줄 수는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비슷한 피해를 보고 있는 개인이나 회사도 적지 않습니다.
평범한 회사원의 번호가 스팸 차단 앱에 '불법 도박' 번호로 등록돼 있는가 하면, 개인 정보가 노출돼 불편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녹취> 서비스 센터 기사 : "제가 처음 전화를 넣었는데, (제 직업을) 아는 거예요.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는 거예요, 자꾸. 개인 프라이버시 같은 게 지켜지지 않고..."
실제로 KBS 사무실에 있는 이 전화기의 번호를 스팸 차단 앱에 등록해 보겠습니다.
스팸 차단 앱을 실행해 '장난전화'라고 등록했습니다.
이후, 이 전화기로 스팸 차단 앱이 깔려 있는 휴대전화에 전화를 걸어 보니, '장난전화'라는 문구가 함께 뜹니다.
잘못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검증 절차는 전혀 없었습니다.
<녹취> 앱 운영 업체 관계자 : "공유 정보를 보여주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고객들에게 더 안 좋은 부분이다, (피해가 발생하면) 바로바로 처리를 해 드리는 방법..."
스팸 차단 앱 다운로드 수가 천만 건을 넘긴 가운데, 엉터리 정보 등록 등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요즘 원치 않는 스팸 전화와 문자가 워낙 많이 오다 보니, '스팸 차단 애플리케이션'이 인기입니다.
앱 다운로드 건수만 해도, 천만 건이 넘어가는데요.
그런데, 정작, 스팸 차단 앱 때문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윤봄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분실 휴대전화를 찾아주는 '핸드폰 찾기 콜센터'입니다.
이 센터는 우체국이나 경찰서 등으로 들어온 분실 휴대전화를 보관하다 주인을 찾아주는데, 최근 주인들이 전화를 받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원기(과장/핸드폰 찾기 콜센터) : "확인을 해 보니, 요새 많이 쓰고 있는 스마트폰 스팸차단 앱에 (저희 콜센터 번호가) 스팸으로 등록돼 있는 번호여서..."
센터는 뒤늦게 앱 운영 업체 측에 연락해 스팸 등록을 해제했습니다.
하지만, 누군가 다시 스팸번호로 등록하는 걸 영구히 막아 줄 수는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비슷한 피해를 보고 있는 개인이나 회사도 적지 않습니다.
평범한 회사원의 번호가 스팸 차단 앱에 '불법 도박' 번호로 등록돼 있는가 하면, 개인 정보가 노출돼 불편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녹취> 서비스 센터 기사 : "제가 처음 전화를 넣었는데, (제 직업을) 아는 거예요.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는 거예요, 자꾸. 개인 프라이버시 같은 게 지켜지지 않고..."
실제로 KBS 사무실에 있는 이 전화기의 번호를 스팸 차단 앱에 등록해 보겠습니다.
스팸 차단 앱을 실행해 '장난전화'라고 등록했습니다.
이후, 이 전화기로 스팸 차단 앱이 깔려 있는 휴대전화에 전화를 걸어 보니, '장난전화'라는 문구가 함께 뜹니다.
잘못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검증 절차는 전혀 없었습니다.
<녹취> 앱 운영 업체 관계자 : "공유 정보를 보여주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고객들에게 더 안 좋은 부분이다, (피해가 발생하면) 바로바로 처리를 해 드리는 방법..."
스팸 차단 앱 다운로드 수가 천만 건을 넘긴 가운데, 엉터리 정보 등록 등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