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영삼 전 대통령 입관식…조문객 이어져
입력 2015.11.23 (11:56)
수정 2015.11.23 (13: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 입관식이 유족과 측근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대 병원에서 치러졌습니다.
오늘 오전 11시 예배와 함께 거행된 입관식에는 손명순 여사와 차남 김현철 씨, 김수한 전 국회의장, 홍인길 전 청와대 수석 등이 참석해 고인을 기렸습니다.
정재계 인사와 일반 시민 등의 조문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등이 빈소를 찾았습니다.
또 정운찬, 김황식, 정홍원 전 국무총리와 구본무 LG그룹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의 발길도 이어졌습니다.
오후에는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와 박지원 의원,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남 건호 씨 등이 빈소를 찾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 상도동계 인사들은 오늘도 빈소를 지키며 상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총리,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여야 인사 뿐 아니라 사회 각계 인사와 일반인 등 3천2백여 명이 빈소를 방문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의 장례는 5일장으로 치러지며 발인은 오는 26일입니다.
오늘 오전 11시 예배와 함께 거행된 입관식에는 손명순 여사와 차남 김현철 씨, 김수한 전 국회의장, 홍인길 전 청와대 수석 등이 참석해 고인을 기렸습니다.
정재계 인사와 일반 시민 등의 조문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등이 빈소를 찾았습니다.
또 정운찬, 김황식, 정홍원 전 국무총리와 구본무 LG그룹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의 발길도 이어졌습니다.
오후에는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와 박지원 의원,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남 건호 씨 등이 빈소를 찾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 상도동계 인사들은 오늘도 빈소를 지키며 상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총리,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여야 인사 뿐 아니라 사회 각계 인사와 일반인 등 3천2백여 명이 빈소를 방문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의 장례는 5일장으로 치러지며 발인은 오는 26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故 김영삼 전 대통령 입관식…조문객 이어져
-
- 입력 2015-11-23 11:56:44
- 수정2015-11-23 13:47:39

김영삼 전 대통령 입관식이 유족과 측근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대 병원에서 치러졌습니다.
오늘 오전 11시 예배와 함께 거행된 입관식에는 손명순 여사와 차남 김현철 씨, 김수한 전 국회의장, 홍인길 전 청와대 수석 등이 참석해 고인을 기렸습니다.
정재계 인사와 일반 시민 등의 조문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등이 빈소를 찾았습니다.
또 정운찬, 김황식, 정홍원 전 국무총리와 구본무 LG그룹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의 발길도 이어졌습니다.
오후에는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와 박지원 의원,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남 건호 씨 등이 빈소를 찾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 상도동계 인사들은 오늘도 빈소를 지키며 상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총리,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여야 인사 뿐 아니라 사회 각계 인사와 일반인 등 3천2백여 명이 빈소를 방문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의 장례는 5일장으로 치러지며 발인은 오는 26일입니다.
오늘 오전 11시 예배와 함께 거행된 입관식에는 손명순 여사와 차남 김현철 씨, 김수한 전 국회의장, 홍인길 전 청와대 수석 등이 참석해 고인을 기렸습니다.
정재계 인사와 일반 시민 등의 조문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등이 빈소를 찾았습니다.
또 정운찬, 김황식, 정홍원 전 국무총리와 구본무 LG그룹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의 발길도 이어졌습니다.
오후에는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와 박지원 의원,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남 건호 씨 등이 빈소를 찾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 상도동계 인사들은 오늘도 빈소를 지키며 상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총리,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여야 인사 뿐 아니라 사회 각계 인사와 일반인 등 3천2백여 명이 빈소를 방문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의 장례는 5일장으로 치러지며 발인은 오는 26일입니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김영삼 前 대통령 역사속으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