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 주산지 강원도…난방비 부담에 작목 변경
입력 2015.11.25 (09:53)
수정 2015.11.25 (1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강원도 영동지방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백합' 주산지인데요.
정부가 난방용 면세유를 경유에서 열효율이 떨어지는 등유로 바꾸자 연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농민들이 고육지책으로 품종을 바꾸고 있습니다.
조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20년 넘게 백합을 재배해온 양양의 한 화훼농가입니다.
올 여름 재배 작목을 '백합'에서 '카라'로 바꿨습니다.
카라는 백합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 그만큼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잇점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상기(카라 재배 농민) : "15도가 좋은 온도예요, 백합은. 그런데 카라는 7~8도여도 자라요. 그러니까 할 수 없이 저온성 작물로 바꿨는데..."
강릉의 다른 화훼농가가 도입한 '거베라'도 같은 경우입니다.
거베라는 백합에 비해 온도를 3-4도 정도 낮춰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지난 7월 정부가 난방용 면세유를 경유에서 열 효율이 떨어지는 등유로 바꾸면서 농민들은 같은 작물을 재배할 때 난방비용이 10%나 늘었습니다.
늘어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내린 고육지책, 백합을 대신할 수 있는 저온성 꽃 작목은 15종 정도입니다.
농민들은 백합보다 시장성은 떨어지지만, 난방비 부담을 감안하면 수익성은 더 나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인터뷰> 최명식(영동화훼영농조합법인 대표) : "3도 정도 온도를 낮추는데 연료비는 약 20% 절감되고 있습니다."
20년 재배한 작목까지 바꾸며 힘겨운 겨울 나기에 들어간 화훼농민들의 결정이 어떤 결과를 맺을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조연주입니다.
강원도 영동지방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백합' 주산지인데요.
정부가 난방용 면세유를 경유에서 열효율이 떨어지는 등유로 바꾸자 연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농민들이 고육지책으로 품종을 바꾸고 있습니다.
조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20년 넘게 백합을 재배해온 양양의 한 화훼농가입니다.
올 여름 재배 작목을 '백합'에서 '카라'로 바꿨습니다.
카라는 백합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 그만큼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잇점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상기(카라 재배 농민) : "15도가 좋은 온도예요, 백합은. 그런데 카라는 7~8도여도 자라요. 그러니까 할 수 없이 저온성 작물로 바꿨는데..."
강릉의 다른 화훼농가가 도입한 '거베라'도 같은 경우입니다.
거베라는 백합에 비해 온도를 3-4도 정도 낮춰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지난 7월 정부가 난방용 면세유를 경유에서 열 효율이 떨어지는 등유로 바꾸면서 농민들은 같은 작물을 재배할 때 난방비용이 10%나 늘었습니다.
늘어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내린 고육지책, 백합을 대신할 수 있는 저온성 꽃 작목은 15종 정도입니다.
농민들은 백합보다 시장성은 떨어지지만, 난방비 부담을 감안하면 수익성은 더 나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인터뷰> 최명식(영동화훼영농조합법인 대표) : "3도 정도 온도를 낮추는데 연료비는 약 20% 절감되고 있습니다."
20년 재배한 작목까지 바꾸며 힘겨운 겨울 나기에 들어간 화훼농민들의 결정이 어떤 결과를 맺을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조연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합’ 주산지 강원도…난방비 부담에 작목 변경
-
- 입력 2015-11-25 09:55:03
- 수정2015-11-25 10:04:38

<앵커 멘트>
강원도 영동지방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백합' 주산지인데요.
정부가 난방용 면세유를 경유에서 열효율이 떨어지는 등유로 바꾸자 연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농민들이 고육지책으로 품종을 바꾸고 있습니다.
조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20년 넘게 백합을 재배해온 양양의 한 화훼농가입니다.
올 여름 재배 작목을 '백합'에서 '카라'로 바꿨습니다.
카라는 백합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 그만큼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잇점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상기(카라 재배 농민) : "15도가 좋은 온도예요, 백합은. 그런데 카라는 7~8도여도 자라요. 그러니까 할 수 없이 저온성 작물로 바꿨는데..."
강릉의 다른 화훼농가가 도입한 '거베라'도 같은 경우입니다.
거베라는 백합에 비해 온도를 3-4도 정도 낮춰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지난 7월 정부가 난방용 면세유를 경유에서 열 효율이 떨어지는 등유로 바꾸면서 농민들은 같은 작물을 재배할 때 난방비용이 10%나 늘었습니다.
늘어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내린 고육지책, 백합을 대신할 수 있는 저온성 꽃 작목은 15종 정도입니다.
농민들은 백합보다 시장성은 떨어지지만, 난방비 부담을 감안하면 수익성은 더 나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인터뷰> 최명식(영동화훼영농조합법인 대표) : "3도 정도 온도를 낮추는데 연료비는 약 20% 절감되고 있습니다."
20년 재배한 작목까지 바꾸며 힘겨운 겨울 나기에 들어간 화훼농민들의 결정이 어떤 결과를 맺을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조연주입니다.
강원도 영동지방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백합' 주산지인데요.
정부가 난방용 면세유를 경유에서 열효율이 떨어지는 등유로 바꾸자 연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농민들이 고육지책으로 품종을 바꾸고 있습니다.
조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20년 넘게 백합을 재배해온 양양의 한 화훼농가입니다.
올 여름 재배 작목을 '백합'에서 '카라'로 바꿨습니다.
카라는 백합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 그만큼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잇점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상기(카라 재배 농민) : "15도가 좋은 온도예요, 백합은. 그런데 카라는 7~8도여도 자라요. 그러니까 할 수 없이 저온성 작물로 바꿨는데..."
강릉의 다른 화훼농가가 도입한 '거베라'도 같은 경우입니다.
거베라는 백합에 비해 온도를 3-4도 정도 낮춰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지난 7월 정부가 난방용 면세유를 경유에서 열 효율이 떨어지는 등유로 바꾸면서 농민들은 같은 작물을 재배할 때 난방비용이 10%나 늘었습니다.
늘어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내린 고육지책, 백합을 대신할 수 있는 저온성 꽃 작목은 15종 정도입니다.
농민들은 백합보다 시장성은 떨어지지만, 난방비 부담을 감안하면 수익성은 더 나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인터뷰> 최명식(영동화훼영농조합법인 대표) : "3도 정도 온도를 낮추는데 연료비는 약 20% 절감되고 있습니다."
20년 재배한 작목까지 바꾸며 힘겨운 겨울 나기에 들어간 화훼농민들의 결정이 어떤 결과를 맺을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조연주입니다.
-
-
조연주 기자 yeonjoo@kbs.co.kr
조연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