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왜 분노해야 하는가’ 외
입력 2015.12.07 (06:19)
수정 2015.12.07 (14: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해 우리나라 '자본주의'의 현실을 진단한 책으로 주목받았던 장하성 교수가 이번엔 분배와 불평등의 문제를 다룬 책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밖에 이번 주 새로 나온 책들을 김 석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눈부신 경제성장의 그늘 속에서 갈수록 양극화되고 불평등이 깊어지는 현실을 바꿔나갈 방법은 정녕 없는 걸까?
전작 '한국자본주의'에서 정의로운 경제를 외쳤던 장하성 교수가 우리 자본주의의 이면에 숨겨진 '분배'의 실패와 불평등 문제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모색했습니다.
민족과 국가의 경계가 갈수록 희미해지는 시대에 역사교육은 과연 어디로 가야 할까?
세계 각국에서 벌어진 첨예한 역사교육 논쟁들 속에서 우리 역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과 여론집중도조사위원 등을 지낸 저자가 미디어의 '공정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책입니다.
세계 각국의 공정성 원칙부터 국내에서 제기되는 갖가지 논란까지 이 시대 언론에 가장 절실한 공정성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뤘습니다.
불혹의 나이, 흔들림 없는 마음을 갈고닦게 해주는 소중한 인생의 지침들을 맹자와 장자 등 동양의 고전에서 찾았습니다.
사군자부터 풍속화까지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 서른 점을 엄선해 그 속에 담긴 조상의 지혜와 정감 어린 삶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최근 우리 문단에서 주목받고 있는 젊은 작가 장강명의 새 장편소설입니다.
국정원의 불법 선거 개입 사건을 소재로 여론조작의 은밀하고도 교활한 폭력성을 경쾌하고 날렵한 문체로 드러냅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자본주의'의 현실을 진단한 책으로 주목받았던 장하성 교수가 이번엔 분배와 불평등의 문제를 다룬 책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밖에 이번 주 새로 나온 책들을 김 석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눈부신 경제성장의 그늘 속에서 갈수록 양극화되고 불평등이 깊어지는 현실을 바꿔나갈 방법은 정녕 없는 걸까?
전작 '한국자본주의'에서 정의로운 경제를 외쳤던 장하성 교수가 우리 자본주의의 이면에 숨겨진 '분배'의 실패와 불평등 문제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모색했습니다.
민족과 국가의 경계가 갈수록 희미해지는 시대에 역사교육은 과연 어디로 가야 할까?
세계 각국에서 벌어진 첨예한 역사교육 논쟁들 속에서 우리 역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과 여론집중도조사위원 등을 지낸 저자가 미디어의 '공정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책입니다.
세계 각국의 공정성 원칙부터 국내에서 제기되는 갖가지 논란까지 이 시대 언론에 가장 절실한 공정성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뤘습니다.
불혹의 나이, 흔들림 없는 마음을 갈고닦게 해주는 소중한 인생의 지침들을 맹자와 장자 등 동양의 고전에서 찾았습니다.
사군자부터 풍속화까지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 서른 점을 엄선해 그 속에 담긴 조상의 지혜와 정감 어린 삶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최근 우리 문단에서 주목받고 있는 젊은 작가 장강명의 새 장편소설입니다.
국정원의 불법 선거 개입 사건을 소재로 여론조작의 은밀하고도 교활한 폭력성을 경쾌하고 날렵한 문체로 드러냅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로 나온 책] ‘왜 분노해야 하는가’ 외
-
- 입력 2015-12-07 06:21:09
- 수정2015-12-07 14:05:47

<앵커 멘트>
지난해 우리나라 '자본주의'의 현실을 진단한 책으로 주목받았던 장하성 교수가 이번엔 분배와 불평등의 문제를 다룬 책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밖에 이번 주 새로 나온 책들을 김 석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눈부신 경제성장의 그늘 속에서 갈수록 양극화되고 불평등이 깊어지는 현실을 바꿔나갈 방법은 정녕 없는 걸까?
전작 '한국자본주의'에서 정의로운 경제를 외쳤던 장하성 교수가 우리 자본주의의 이면에 숨겨진 '분배'의 실패와 불평등 문제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모색했습니다.
민족과 국가의 경계가 갈수록 희미해지는 시대에 역사교육은 과연 어디로 가야 할까?
세계 각국에서 벌어진 첨예한 역사교육 논쟁들 속에서 우리 역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과 여론집중도조사위원 등을 지낸 저자가 미디어의 '공정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책입니다.
세계 각국의 공정성 원칙부터 국내에서 제기되는 갖가지 논란까지 이 시대 언론에 가장 절실한 공정성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뤘습니다.
불혹의 나이, 흔들림 없는 마음을 갈고닦게 해주는 소중한 인생의 지침들을 맹자와 장자 등 동양의 고전에서 찾았습니다.
사군자부터 풍속화까지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 서른 점을 엄선해 그 속에 담긴 조상의 지혜와 정감 어린 삶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최근 우리 문단에서 주목받고 있는 젊은 작가 장강명의 새 장편소설입니다.
국정원의 불법 선거 개입 사건을 소재로 여론조작의 은밀하고도 교활한 폭력성을 경쾌하고 날렵한 문체로 드러냅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자본주의'의 현실을 진단한 책으로 주목받았던 장하성 교수가 이번엔 분배와 불평등의 문제를 다룬 책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밖에 이번 주 새로 나온 책들을 김 석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눈부신 경제성장의 그늘 속에서 갈수록 양극화되고 불평등이 깊어지는 현실을 바꿔나갈 방법은 정녕 없는 걸까?
전작 '한국자본주의'에서 정의로운 경제를 외쳤던 장하성 교수가 우리 자본주의의 이면에 숨겨진 '분배'의 실패와 불평등 문제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모색했습니다.
민족과 국가의 경계가 갈수록 희미해지는 시대에 역사교육은 과연 어디로 가야 할까?
세계 각국에서 벌어진 첨예한 역사교육 논쟁들 속에서 우리 역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과 여론집중도조사위원 등을 지낸 저자가 미디어의 '공정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책입니다.
세계 각국의 공정성 원칙부터 국내에서 제기되는 갖가지 논란까지 이 시대 언론에 가장 절실한 공정성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뤘습니다.
불혹의 나이, 흔들림 없는 마음을 갈고닦게 해주는 소중한 인생의 지침들을 맹자와 장자 등 동양의 고전에서 찾았습니다.
사군자부터 풍속화까지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 서른 점을 엄선해 그 속에 담긴 조상의 지혜와 정감 어린 삶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최근 우리 문단에서 주목받고 있는 젊은 작가 장강명의 새 장편소설입니다.
국정원의 불법 선거 개입 사건을 소재로 여론조작의 은밀하고도 교활한 폭력성을 경쾌하고 날렵한 문체로 드러냅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