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간토학살 피해자 40명 신원 공식 확인
입력 2015.12.16 (10:53)
수정 2015.12.16 (11: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923년 간토 대지진 때 학살된 조선인 40명의 신원이 공식 확인됐습니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등 지원위원회'는 '일본 진재(震災) 시 피살자 명부'와 '3·1운동 피살자 명부' 등에 수록된 조선인 가운데 40명이 간토 학살 피해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정부가 공식 확인한 간토 학살 조선인 피해자는 올해 초 1차 검증 당시 21명에서 두 배 수준인 40명으로 늘었습니다.
피해자의 출신 지역은 경남이 24명, 경북 13명으로 90% 이상을 차지했고 피살 당시 연령은 18세에서 65세 사이였습니다.
위원회 활동이 올해 말 종료되면 추가 진상 규명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가운데 새누리당 이명수, 새정치연합 유기홍 의원은 '간토 학살' 진상 규명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해 놓은 상태입니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등 지원위원회'는 '일본 진재(震災) 시 피살자 명부'와 '3·1운동 피살자 명부' 등에 수록된 조선인 가운데 40명이 간토 학살 피해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정부가 공식 확인한 간토 학살 조선인 피해자는 올해 초 1차 검증 당시 21명에서 두 배 수준인 40명으로 늘었습니다.
피해자의 출신 지역은 경남이 24명, 경북 13명으로 90% 이상을 차지했고 피살 당시 연령은 18세에서 65세 사이였습니다.
위원회 활동이 올해 말 종료되면 추가 진상 규명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가운데 새누리당 이명수, 새정치연합 유기홍 의원은 '간토 학살' 진상 규명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해 놓은 상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간토학살 피해자 40명 신원 공식 확인
-
- 입력 2015-12-16 10:53:03
- 수정2015-12-16 11:04:28
1923년 간토 대지진 때 학살된 조선인 40명의 신원이 공식 확인됐습니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등 지원위원회'는 '일본 진재(震災) 시 피살자 명부'와 '3·1운동 피살자 명부' 등에 수록된 조선인 가운데 40명이 간토 학살 피해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정부가 공식 확인한 간토 학살 조선인 피해자는 올해 초 1차 검증 당시 21명에서 두 배 수준인 40명으로 늘었습니다.
피해자의 출신 지역은 경남이 24명, 경북 13명으로 90% 이상을 차지했고 피살 당시 연령은 18세에서 65세 사이였습니다.
위원회 활동이 올해 말 종료되면 추가 진상 규명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가운데 새누리당 이명수, 새정치연합 유기홍 의원은 '간토 학살' 진상 규명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해 놓은 상태입니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등 지원위원회'는 '일본 진재(震災) 시 피살자 명부'와 '3·1운동 피살자 명부' 등에 수록된 조선인 가운데 40명이 간토 학살 피해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정부가 공식 확인한 간토 학살 조선인 피해자는 올해 초 1차 검증 당시 21명에서 두 배 수준인 40명으로 늘었습니다.
피해자의 출신 지역은 경남이 24명, 경북 13명으로 90% 이상을 차지했고 피살 당시 연령은 18세에서 65세 사이였습니다.
위원회 활동이 올해 말 종료되면 추가 진상 규명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가운데 새누리당 이명수, 새정치연합 유기홍 의원은 '간토 학살' 진상 규명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해 놓은 상태입니다.
-
-
전종철 기자 jcj@kbs.co.kr
전종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