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3개 동시 발효…화장품 수혜· 전자 고전?

입력 2015.12.21 (06:09) 수정 2015.12.21 (09: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과 베트남 등 3개 나라와의 FTA가 공식 발효되면서 시장 선점 효과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과의 FTA의 경우 일부 주력 업종은 한동안 고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윤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여성들을 사로잡은 국산 화장품들이 전시돼 있습니다.

이 업체는 이미 540억 원 규모의 중국 수출 계약을 따냈습니다.

올해 수출액의 5배인데, FTA로 5년 뒤부터 관세가 내려가면 가격 경쟁력은 더욱 높아질 전망입니다.

<인터뷰> 윤동한(한국콜마 회장) : "한류와 같이 병행하면. 한국화장품이 품질은 이미 인정받았으니까 (중국 수출)시장 자체가 점점 커갈 가능성은 대단히 높습니다."

ENG 화장품과 패션, 생활가전과 고급식품 등 소비재 품목은 최대 수혜 업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반면 전기전자와 섬유, 생활용품, 철강 등은 무역수지 적자가 예상돼 한동안 고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에 자동차와 고급 석유화학 등 기술력이 앞서가는 일부 품목은 관세 혜택도 받지 못합니다.

<인터뷰> 김형주(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중국 시장이 열렸지만 경쟁의 강도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 기업들이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지금까지 소홀했던 프리미엄 시장에 진출한다든지..."

베트남과의 FTA로 자동차 부품과 화장품, 생활가전 등 270여개 품목이 추가 개방됐고, 뉴질랜드는 가공식품과 사무용품 등 국산 소비재의 현지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FTA 효과를 극대화하는 건 이제 우리 기업들의 몫입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FTA 3개 동시 발효…화장품 수혜· 전자 고전?
    • 입력 2015-12-21 06:08:07
    • 수정2015-12-21 09:08:50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중국과 베트남 등 3개 나라와의 FTA가 공식 발효되면서 시장 선점 효과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과의 FTA의 경우 일부 주력 업종은 한동안 고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윤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여성들을 사로잡은 국산 화장품들이 전시돼 있습니다.

이 업체는 이미 540억 원 규모의 중국 수출 계약을 따냈습니다.

올해 수출액의 5배인데, FTA로 5년 뒤부터 관세가 내려가면 가격 경쟁력은 더욱 높아질 전망입니다.

<인터뷰> 윤동한(한국콜마 회장) : "한류와 같이 병행하면. 한국화장품이 품질은 이미 인정받았으니까 (중국 수출)시장 자체가 점점 커갈 가능성은 대단히 높습니다."

ENG 화장품과 패션, 생활가전과 고급식품 등 소비재 품목은 최대 수혜 업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반면 전기전자와 섬유, 생활용품, 철강 등은 무역수지 적자가 예상돼 한동안 고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에 자동차와 고급 석유화학 등 기술력이 앞서가는 일부 품목은 관세 혜택도 받지 못합니다.

<인터뷰> 김형주(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중국 시장이 열렸지만 경쟁의 강도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 기업들이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지금까지 소홀했던 프리미엄 시장에 진출한다든지..."

베트남과의 FTA로 자동차 부품과 화장품, 생활가전 등 270여개 품목이 추가 개방됐고, 뉴질랜드는 가공식품과 사무용품 등 국산 소비재의 현지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FTA 효과를 극대화하는 건 이제 우리 기업들의 몫입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