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주 중 총기 자살…권총 어디서 구했나?

입력 2015.12.29 (15:28) 수정 2015.12.29 (16: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25일 정차 중인 차량에 난입해 운전자에게 총을 쏘고 달아났던 용의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총기류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해당 사건 용의자였던 A(59)씨가 사용한 총기가 스페인제 권총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수사기관이보고 있어 우리나라도 총기 사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에 따르면 A 씨는 성탄절이던 25일 대전 유성구의 한 도로에서 30대 운전자에게 총상을 입히고 달아났다.
경찰은 공개 수배한 지 9시간 만인 어제(28일) 저녁 7시 10분쯤 A 씨의 차량을 경기도 광주시에서 발견 추격전을 벌였다.
순찰차를 피해 곤지암 읍사무소 주차장으로 도주한 A 씨는 막다른 길에 도착하자 소지하고 있던 권총으로 스스로 머리를 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저녁 8시 50분쯤 숨졌다.


▲ [영상] ‘성탄절 총격’ 용의자 도주 중 자살 시도…결국 사망(2015.12.29)


■ 권총 어디서 구했나?

밀반출되거나 등록되지 않은 불법 총기류는 해마다 꾸준히 적발되고 있다.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이 지난해 발표한 '5년간 불법 총기 자진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 5년간 회수된 불법 총기는 2010년 6,048정, 2011년 4,728정, 2012년 4,192정, 2013년 2,748정, 지난해 4,484정 등 한 해 평균 4,400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등록된 총기는 법망의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 성능 향상을 위한 개·변조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데 있다.
특히 권총의 경우 소총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조가 쉬워 범죄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한편 검찰은 A 씨가 사용한 권총이 스페인제 권총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입수 경위를 파악하도록 경찰에 수사 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경찰은 A 씨가 사용한 권총은 군부대나 경찰에서 사용하는 국내산 권총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었다.

경찰은 피해자 몸에서 발견된 실탄 탄두를 국과수에 의뢰, 감식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A 씨가 숨져 그를 상대로 한 조사가 불가능해 입수 경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총기와 실탄의 출처를 밝히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더 이상 총기안전국이라 할수 없다며 관세청 등을 통한 총기류 밀수를 근절하기 위한 단속 강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권총의 경우 개·변조 방법이 인터넷을 통해 공유되고 있다며 인터넷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주 중 총기 자살…권총 어디서 구했나?
    • 입력 2015-12-29 15:28:23
    • 수정2015-12-29 16:30:33
    사회
지난 25일 정차 중인 차량에 난입해 운전자에게 총을 쏘고 달아났던 용의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총기류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해당 사건 용의자였던 A(59)씨가 사용한 총기가 스페인제 권총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수사기관이보고 있어 우리나라도 총기 사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에 따르면 A 씨는 성탄절이던 25일 대전 유성구의 한 도로에서 30대 운전자에게 총상을 입히고 달아났다.
경찰은 공개 수배한 지 9시간 만인 어제(28일) 저녁 7시 10분쯤 A 씨의 차량을 경기도 광주시에서 발견 추격전을 벌였다.
순찰차를 피해 곤지암 읍사무소 주차장으로 도주한 A 씨는 막다른 길에 도착하자 소지하고 있던 권총으로 스스로 머리를 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저녁 8시 50분쯤 숨졌다.


▲ [영상] ‘성탄절 총격’ 용의자 도주 중 자살 시도…결국 사망(2015.12.29)


■ 권총 어디서 구했나?

밀반출되거나 등록되지 않은 불법 총기류는 해마다 꾸준히 적발되고 있다.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이 지난해 발표한 '5년간 불법 총기 자진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 5년간 회수된 불법 총기는 2010년 6,048정, 2011년 4,728정, 2012년 4,192정, 2013년 2,748정, 지난해 4,484정 등 한 해 평균 4,400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등록된 총기는 법망의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 성능 향상을 위한 개·변조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데 있다.
특히 권총의 경우 소총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조가 쉬워 범죄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한편 검찰은 A 씨가 사용한 권총이 스페인제 권총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입수 경위를 파악하도록 경찰에 수사 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경찰은 A 씨가 사용한 권총은 군부대나 경찰에서 사용하는 국내산 권총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었다.

경찰은 피해자 몸에서 발견된 실탄 탄두를 국과수에 의뢰, 감식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A 씨가 숨져 그를 상대로 한 조사가 불가능해 입수 경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총기와 실탄의 출처를 밝히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더 이상 총기안전국이라 할수 없다며 관세청 등을 통한 총기류 밀수를 근절하기 위한 단속 강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권총의 경우 개·변조 방법이 인터넷을 통해 공유되고 있다며 인터넷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