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타결에 합의하자마자 일본 우익과 보수 진영에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에 대한 물타기 작업에 나섰습니다.
하시모토 도루 전 일본 오사카 시장은 트위터에 "군의 관여란 문언이 들어갔어도 강제 연행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란 의미가 현재 국민 다수에 스며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군이 관여한 전장과 성 문제는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강변했습니다.
요미우리 신문도 오늘 '위안소 주로 민간에서 경영'이란 제목의 기사를 싣고 일본이 위안부 문제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아온 배경에는 "일본군이 많은 여성을 강제연행해 위안부로 삼았다"는 오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일 양국은 합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군의 관여 하에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이 깊이 손상된 문제"로 규정했을 뿐 '강제성'에 관해서는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하시모토 도루 전 일본 오사카 시장은 트위터에 "군의 관여란 문언이 들어갔어도 강제 연행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란 의미가 현재 국민 다수에 스며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군이 관여한 전장과 성 문제는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강변했습니다.
요미우리 신문도 오늘 '위안소 주로 민간에서 경영'이란 제목의 기사를 싣고 일본이 위안부 문제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아온 배경에는 "일본군이 많은 여성을 강제연행해 위안부로 삼았다"는 오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일 양국은 합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군의 관여 하에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이 깊이 손상된 문제"로 규정했을 뿐 '강제성'에 관해서는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우익, 위안부 합의 ‘물타기’…“민간 운영·강제성 없어”
-
- 입력 2015-12-29 16:45:05
한국과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타결에 합의하자마자 일본 우익과 보수 진영에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에 대한 물타기 작업에 나섰습니다.
하시모토 도루 전 일본 오사카 시장은 트위터에 "군의 관여란 문언이 들어갔어도 강제 연행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란 의미가 현재 국민 다수에 스며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군이 관여한 전장과 성 문제는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강변했습니다.
요미우리 신문도 오늘 '위안소 주로 민간에서 경영'이란 제목의 기사를 싣고 일본이 위안부 문제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아온 배경에는 "일본군이 많은 여성을 강제연행해 위안부로 삼았다"는 오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일 양국은 합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군의 관여 하에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이 깊이 손상된 문제"로 규정했을 뿐 '강제성'에 관해서는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