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중고차 이력-평균 시세 공개 강화”

입력 2016.01.28 (23:21) 수정 2016.01.29 (00: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고차 살때 가장 큰 걱정이 사고난 차나 주행거리 조작된 차를 속아서 사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실제 소비자들 피해도 늘고 있는데 정부와 여당이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류호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고차 매매 시장을 찾은 30대 남성이 차량 엔진 주위를 꼼꼼히 살핍니다.

<인터뷰> 한명훈(서울시 강북구) : "사고로 인해서 밀고 들어온 흔적이 있는지 그런 거랑 하부에 오일 같은 게 누유가 되는지 그런 걸 좀 중점으로 봤습니다."

소비자들이 이처럼 불안해하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사고 정보를 알려주지 않거나 주행 거리를 조작하는 등 중고차를 산 소비자들의 피해는 최근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한해 340만 대가 거래되는 30조 원의 중고차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불안을 씻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먼저 중고차의 평균 시세를 주기적으로 공개하고 중고차가 압류됐거나 사고가 났는지 여부도 함께 알리도록 했습니다.

허위 미끼 매물을 두 번 올렸다 적발되면 업체의 등록이 취소됩니다.

특히, 매매 종사원이 불법 행위를 3번 하다 적발되면 현장에서 퇴출당합니다.

<녹취> 김성태(새누리당 예결위 정조위원장) : "거짓으로 성능 상태 점검을 하는 경우는 적발 즉시 해당 성능 점검장의 영업을 취소하고"

온라인 중고차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주차장 요건도 완화됩니다.

<녹취> "중고차 시장에 나오는 차량에는 이처럼 일반 차량에 쓰이는 흰색 번호판 대신 빨간색 전용 번호판을 붙이게 됩니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중고차 매매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음 달로 끝나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을 3년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당정 “중고차 이력-평균 시세 공개 강화”
    • 입력 2016-01-28 23:23:54
    • 수정2016-01-29 00:35:04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중고차 살때 가장 큰 걱정이 사고난 차나 주행거리 조작된 차를 속아서 사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실제 소비자들 피해도 늘고 있는데 정부와 여당이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류호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고차 매매 시장을 찾은 30대 남성이 차량 엔진 주위를 꼼꼼히 살핍니다.

<인터뷰> 한명훈(서울시 강북구) : "사고로 인해서 밀고 들어온 흔적이 있는지 그런 거랑 하부에 오일 같은 게 누유가 되는지 그런 걸 좀 중점으로 봤습니다."

소비자들이 이처럼 불안해하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사고 정보를 알려주지 않거나 주행 거리를 조작하는 등 중고차를 산 소비자들의 피해는 최근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한해 340만 대가 거래되는 30조 원의 중고차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불안을 씻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먼저 중고차의 평균 시세를 주기적으로 공개하고 중고차가 압류됐거나 사고가 났는지 여부도 함께 알리도록 했습니다.

허위 미끼 매물을 두 번 올렸다 적발되면 업체의 등록이 취소됩니다.

특히, 매매 종사원이 불법 행위를 3번 하다 적발되면 현장에서 퇴출당합니다.

<녹취> 김성태(새누리당 예결위 정조위원장) : "거짓으로 성능 상태 점검을 하는 경우는 적발 즉시 해당 성능 점검장의 영업을 취소하고"

온라인 중고차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주차장 요건도 완화됩니다.

<녹취> "중고차 시장에 나오는 차량에는 이처럼 일반 차량에 쓰이는 흰색 번호판 대신 빨간색 전용 번호판을 붙이게 됩니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중고차 매매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음 달로 끝나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을 3년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