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해요”…한국 온돌,日 ‘건축 한류’ 등장
입력 2016.01.30 (21:23)
수정 2016.01.30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홋카이도를 비롯한 일본 북부 지방은 춥고 눈도 많이 오지요.
하지만, 일본식 주택은 추위에 약한 구조여서 난방비 부담이 아주 큰데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요즘 한국식 온돌을 설치하는 집들이 늘고 있습니다.
'건축 한류' 삿포로에서 이재호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본 본토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아오모리 현.
1년에 5개월 가량이 겨울이어서 한파와 폭설 속에 살아야 됩니다.
난방에 취약한 일본 집의 특성상,연료비 부담이 커 집 안에서도 추위에 떨어야 됩니다.
하지만,한국식 온돌을 설치한 이 집은 실내 온도가 25도 정도로 따뜻합니다.
양말을 신지 않아도 될 정도입니다.
<녹취> 미우라 사치코(주부/아오모리) : "발바닥부터 따뜻해져서 추위는 커녕 땀이 날 정도예요."
일본 최북단으로 가장 추운 홋카이도 지역에서 온돌 보급이 특히 활발합니다.
자갈을 붓고 그 속에 열을 내는 파이프를 묻습니다.
설치비는 3.3㎡ 당 100만 원 정도.
심야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24시간 따뜻하면서도 난방비를 6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녹취> 사레키(주부/삿포로) : "등유나 (심야전력이 아닌) 다른 전기라면 40~50만 원 정도 드는데요, 온돌은 한 달에 15~20만 원 정도입니다."
이런 인기를 바탕으로 온돌 모델하우스까지 세워졌습니다.
10년 전 일본에 처음 보급된 온돌은 이제 설치 가구가 만 채에 육박할 정도로 인기를 끌면서 건축 한류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삿포로에서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홋카이도를 비롯한 일본 북부 지방은 춥고 눈도 많이 오지요.
하지만, 일본식 주택은 추위에 약한 구조여서 난방비 부담이 아주 큰데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요즘 한국식 온돌을 설치하는 집들이 늘고 있습니다.
'건축 한류' 삿포로에서 이재호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본 본토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아오모리 현.
1년에 5개월 가량이 겨울이어서 한파와 폭설 속에 살아야 됩니다.
난방에 취약한 일본 집의 특성상,연료비 부담이 커 집 안에서도 추위에 떨어야 됩니다.
하지만,한국식 온돌을 설치한 이 집은 실내 온도가 25도 정도로 따뜻합니다.
양말을 신지 않아도 될 정도입니다.
<녹취> 미우라 사치코(주부/아오모리) : "발바닥부터 따뜻해져서 추위는 커녕 땀이 날 정도예요."
일본 최북단으로 가장 추운 홋카이도 지역에서 온돌 보급이 특히 활발합니다.
자갈을 붓고 그 속에 열을 내는 파이프를 묻습니다.
설치비는 3.3㎡ 당 100만 원 정도.
심야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24시간 따뜻하면서도 난방비를 6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녹취> 사레키(주부/삿포로) : "등유나 (심야전력이 아닌) 다른 전기라면 40~50만 원 정도 드는데요, 온돌은 한 달에 15~20만 원 정도입니다."
이런 인기를 바탕으로 온돌 모델하우스까지 세워졌습니다.
10년 전 일본에 처음 보급된 온돌은 이제 설치 가구가 만 채에 육박할 정도로 인기를 끌면서 건축 한류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삿포로에서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따뜻해요”…한국 온돌,日 ‘건축 한류’ 등장
-
- 입력 2016-01-30 21:26:17
- 수정2016-01-30 22:05:52

<앵커 멘트>
홋카이도를 비롯한 일본 북부 지방은 춥고 눈도 많이 오지요.
하지만, 일본식 주택은 추위에 약한 구조여서 난방비 부담이 아주 큰데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요즘 한국식 온돌을 설치하는 집들이 늘고 있습니다.
'건축 한류' 삿포로에서 이재호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본 본토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아오모리 현.
1년에 5개월 가량이 겨울이어서 한파와 폭설 속에 살아야 됩니다.
난방에 취약한 일본 집의 특성상,연료비 부담이 커 집 안에서도 추위에 떨어야 됩니다.
하지만,한국식 온돌을 설치한 이 집은 실내 온도가 25도 정도로 따뜻합니다.
양말을 신지 않아도 될 정도입니다.
<녹취> 미우라 사치코(주부/아오모리) : "발바닥부터 따뜻해져서 추위는 커녕 땀이 날 정도예요."
일본 최북단으로 가장 추운 홋카이도 지역에서 온돌 보급이 특히 활발합니다.
자갈을 붓고 그 속에 열을 내는 파이프를 묻습니다.
설치비는 3.3㎡ 당 100만 원 정도.
심야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24시간 따뜻하면서도 난방비를 6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녹취> 사레키(주부/삿포로) : "등유나 (심야전력이 아닌) 다른 전기라면 40~50만 원 정도 드는데요, 온돌은 한 달에 15~20만 원 정도입니다."
이런 인기를 바탕으로 온돌 모델하우스까지 세워졌습니다.
10년 전 일본에 처음 보급된 온돌은 이제 설치 가구가 만 채에 육박할 정도로 인기를 끌면서 건축 한류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삿포로에서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홋카이도를 비롯한 일본 북부 지방은 춥고 눈도 많이 오지요.
하지만, 일본식 주택은 추위에 약한 구조여서 난방비 부담이 아주 큰데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요즘 한국식 온돌을 설치하는 집들이 늘고 있습니다.
'건축 한류' 삿포로에서 이재호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본 본토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아오모리 현.
1년에 5개월 가량이 겨울이어서 한파와 폭설 속에 살아야 됩니다.
난방에 취약한 일본 집의 특성상,연료비 부담이 커 집 안에서도 추위에 떨어야 됩니다.
하지만,한국식 온돌을 설치한 이 집은 실내 온도가 25도 정도로 따뜻합니다.
양말을 신지 않아도 될 정도입니다.
<녹취> 미우라 사치코(주부/아오모리) : "발바닥부터 따뜻해져서 추위는 커녕 땀이 날 정도예요."
일본 최북단으로 가장 추운 홋카이도 지역에서 온돌 보급이 특히 활발합니다.
자갈을 붓고 그 속에 열을 내는 파이프를 묻습니다.
설치비는 3.3㎡ 당 100만 원 정도.
심야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24시간 따뜻하면서도 난방비를 6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녹취> 사레키(주부/삿포로) : "등유나 (심야전력이 아닌) 다른 전기라면 40~50만 원 정도 드는데요, 온돌은 한 달에 15~20만 원 정도입니다."
이런 인기를 바탕으로 온돌 모델하우스까지 세워졌습니다.
10년 전 일본에 처음 보급된 온돌은 이제 설치 가구가 만 채에 육박할 정도로 인기를 끌면서 건축 한류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삿포로에서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
-
이재호 기자 ho3000@kbs.co.kr
이재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