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광선은행도 제재 대상에 포함
입력 2016.02.27 (06:30)
수정 2016.02.27 (07: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대상에는 그동안 KBS가 북중 접경에서 운영 사실을 확인했던 '조선광선은행'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은행과 함께 또다른 북한 은행도 북중 접경지역에서 은밀히 운영중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단둥에서 김민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단둥 시내 한 주상복합빌딩입니다.
'조선광선은행'은 이 건물에 사무실 하나를 빌려 간판도 없이 지금도 운영 중입니다.
<녹취> 건물 안내인 : "조선광선은행 찾으세요? 이리 오세요.. (지금 운영 중인가요?) 운영 중이에요."
<녹취> "누구세요? (여기 조선광선은행인가요?) 무슨일이요?"
테러지원과 불법 무기거래와 관련돼 미국과 중국으로부터 거래 금지은행으로 지목된 조선광선은행.
한때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장소만 옮겨 계속 운영해온 사실이 KBS 취재로 확인됐고, 이번에 유엔 안보리의 제재 대상에까지 포함됐습니다.
단둥에는 이 은행 말고도 조선하나은행이 운영 중입니다.
무역업자들 사이엔 은행 안내 전단지까지 돌고 있습니다.
<녹취> "(하나은행 대표 맞으세요?) 네, 지금 송금하면 오후에는 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주소라도 알려줄 수 있나요?) 사무실은... 송금할 때 다시 알려드릴게요."
이 은행도 역시 사무실 노출을 꺼린채 은밀히 대북 송금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안보리 제재로 이 북한은행들의 타격이 적잖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 곳 북중접경 지대에서는 암암리에 운영하며 외화를 본국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단둥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이번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대상에는 그동안 KBS가 북중 접경에서 운영 사실을 확인했던 '조선광선은행'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은행과 함께 또다른 북한 은행도 북중 접경지역에서 은밀히 운영중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단둥에서 김민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단둥 시내 한 주상복합빌딩입니다.
'조선광선은행'은 이 건물에 사무실 하나를 빌려 간판도 없이 지금도 운영 중입니다.
<녹취> 건물 안내인 : "조선광선은행 찾으세요? 이리 오세요.. (지금 운영 중인가요?) 운영 중이에요."
<녹취> "누구세요? (여기 조선광선은행인가요?) 무슨일이요?"
테러지원과 불법 무기거래와 관련돼 미국과 중국으로부터 거래 금지은행으로 지목된 조선광선은행.
한때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장소만 옮겨 계속 운영해온 사실이 KBS 취재로 확인됐고, 이번에 유엔 안보리의 제재 대상에까지 포함됐습니다.
단둥에는 이 은행 말고도 조선하나은행이 운영 중입니다.
무역업자들 사이엔 은행 안내 전단지까지 돌고 있습니다.
<녹취> "(하나은행 대표 맞으세요?) 네, 지금 송금하면 오후에는 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주소라도 알려줄 수 있나요?) 사무실은... 송금할 때 다시 알려드릴게요."
이 은행도 역시 사무실 노출을 꺼린채 은밀히 대북 송금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안보리 제재로 이 북한은행들의 타격이 적잖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 곳 북중접경 지대에서는 암암리에 운영하며 외화를 본국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단둥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선광선은행도 제재 대상에 포함
-
- 입력 2016-02-27 06:33:04
- 수정2016-02-27 07:29:57

<앵커 멘트>
이번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대상에는 그동안 KBS가 북중 접경에서 운영 사실을 확인했던 '조선광선은행'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은행과 함께 또다른 북한 은행도 북중 접경지역에서 은밀히 운영중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단둥에서 김민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단둥 시내 한 주상복합빌딩입니다.
'조선광선은행'은 이 건물에 사무실 하나를 빌려 간판도 없이 지금도 운영 중입니다.
<녹취> 건물 안내인 : "조선광선은행 찾으세요? 이리 오세요.. (지금 운영 중인가요?) 운영 중이에요."
<녹취> "누구세요? (여기 조선광선은행인가요?) 무슨일이요?"
테러지원과 불법 무기거래와 관련돼 미국과 중국으로부터 거래 금지은행으로 지목된 조선광선은행.
한때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장소만 옮겨 계속 운영해온 사실이 KBS 취재로 확인됐고, 이번에 유엔 안보리의 제재 대상에까지 포함됐습니다.
단둥에는 이 은행 말고도 조선하나은행이 운영 중입니다.
무역업자들 사이엔 은행 안내 전단지까지 돌고 있습니다.
<녹취> "(하나은행 대표 맞으세요?) 네, 지금 송금하면 오후에는 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주소라도 알려줄 수 있나요?) 사무실은... 송금할 때 다시 알려드릴게요."
이 은행도 역시 사무실 노출을 꺼린채 은밀히 대북 송금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안보리 제재로 이 북한은행들의 타격이 적잖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 곳 북중접경 지대에서는 암암리에 운영하며 외화를 본국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단둥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이번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대상에는 그동안 KBS가 북중 접경에서 운영 사실을 확인했던 '조선광선은행'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은행과 함께 또다른 북한 은행도 북중 접경지역에서 은밀히 운영중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단둥에서 김민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단둥 시내 한 주상복합빌딩입니다.
'조선광선은행'은 이 건물에 사무실 하나를 빌려 간판도 없이 지금도 운영 중입니다.
<녹취> 건물 안내인 : "조선광선은행 찾으세요? 이리 오세요.. (지금 운영 중인가요?) 운영 중이에요."
<녹취> "누구세요? (여기 조선광선은행인가요?) 무슨일이요?"
테러지원과 불법 무기거래와 관련돼 미국과 중국으로부터 거래 금지은행으로 지목된 조선광선은행.
한때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장소만 옮겨 계속 운영해온 사실이 KBS 취재로 확인됐고, 이번에 유엔 안보리의 제재 대상에까지 포함됐습니다.
단둥에는 이 은행 말고도 조선하나은행이 운영 중입니다.
무역업자들 사이엔 은행 안내 전단지까지 돌고 있습니다.
<녹취> "(하나은행 대표 맞으세요?) 네, 지금 송금하면 오후에는 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주소라도 알려줄 수 있나요?) 사무실은... 송금할 때 다시 알려드릴게요."
이 은행도 역시 사무실 노출을 꺼린채 은밀히 대북 송금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안보리 제재로 이 북한은행들의 타격이 적잖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 곳 북중접경 지대에서는 암암리에 운영하며 외화를 본국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단둥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
김민철 기자 kmc@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